View : 141 Download: 0

영어 격차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영어 격차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Study on English Proficiency Gaps: A Case Study of A-national research institute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한국은 최근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발전을 이루고 있지만, 영어 능력 측면에서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연구 분야에서는 영어 능력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가 연구기관에서는 구성원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연구기관 내에서의 구성원들의 영어 능력 차이가 크기 때문에 연구원 업무의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기관 내의 영어 능력의 격차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글로벌 시대 속에서 연구기관에서의 영어 격차 현상은 해당 분야의 국제화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영어 격차는 개인이나 집단 간에 외국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서로 차이가 나는 현상으로, 인적자원,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차이를 일으킬 수 있다. 글로벌 비즈니스, 국제 학술교류,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육 등에서 영어 능력이 필수적인 요소인 글로벌 환경에서 영어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연구 성과의 공유가 어렵고, 글로벌 비즈니스에서는 협상이나 소통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기관에서는 영어 능력 격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이는 연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영어 격차가 해당 분야에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영어 격차 현상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기관 내에서 어떤 직원들이 어느 정도의 영어 격차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격차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영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원들 간의 영어 능력 차이를 줄여 기관의 업무 효율성과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기관이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성공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영어 격차에 대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환경분야 연구를 담당하는 A국가 연구기관 내에서 영어 격차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구성원들은 영어 격차를 어떻게 인식 하는지 알아본다. 다음으로는 기관 내에서 영어 능력의 차이가 업무측면과 기회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영어 능력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 내의 영어 격차를 직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기관 내의 영어 격차가 직원들의 직장 생활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영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자 전원이 기관 내에서 영어 격차를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영어 능력의 격차는 직원들의 기회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기회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서 개인은 자신의 부족한 영어 능력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업무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어 자체적으로 영어 능력 향상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관은 직원들이 필요로 하는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제공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직원들의 수준과 니즈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교육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맞춤형 교육이 중요할 것이다. 아울러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는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참여, 해외 교류 프로그램 참여, 혹은 다국적 팀에서의 경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영어 격차 현상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여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영어 격차 현상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Korea has been making progress in line with the global era; however, there are still significant challenges in terms of English proficiency. Particularly in the research field, English proficiency plays a crucial role,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are actively working to enhance the English skills of their members. Nevertheless, due to substantial differences in English proficiency among members within research institutions, difficulties arise in the execution of research tasks.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English proficiency gaps within a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 seeking to understand and address these gaps.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era, English proficiency gaps within research institutions have become a highlighted issue, especially concerning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global networks within the respective field. English proficiency gaps refer to the varying abilities of individuals or groups in using a foreign language, which can lead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fields such as human resources, economics, and culture. In a global environment where English proficiency is essential for global business,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cation, and education targeting foreign students, a lack of English proficiency may result in disadvantages. For instance, ineffective communication in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cation hinders the sharing of research outcomes, and challenges may arise in negotiations or communication within global business. Due to these reasons, there is an increasing focus on English proficiency gaps within research institutions, and various efforts and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to address them. This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earch tasks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given the significant impact of English proficiency gaps in the field.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English proficiency gaps is crucial. Through such understanding, it becomes possible to identify the extent of these gaps among employees within an institution, recognize their impact on organizational activities, and explore ways to mitigate these gaps. Developing effective Englis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can help reduce the gap in English proficiency among employees, there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institutional task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the global era, proactive and systematic responses to English proficiency gaps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functioning of research institutions. This study focuses on A-country's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research, aiming to investigate whether English proficiency gaps exist among its members and how these gaps are perceived.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English proficiency on work-related and opportunity-related aspects within the institution. Finally, the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to reduce English proficiency gap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mployees within the institution perceive English proficiency gaps? Second, How do employees within the institution perceive the impact of English proficiency gaps on their professional lives? Third, What strategies can be identified to reduce English proficiency gap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all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English proficiency gaps within the institution. Moreover, they recognized that these proficiency gaps impact opportunities for employees. To address this imbalance in opportunities, individuals need to acknowledge their own English proficiency limitations and actively work towards improvement. Emphasizing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 and focusing on individual efforts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are essential. Additionally, institutions should prioritize selecting and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and proficiency levels of employees. Customized education becomes crucial as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may require diverse approaches. Motiv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project participation for English proficiency enhancement, engagement in overseas exchange programs, or experiences in multinational teams, should also be provided to employees. This study contributes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English proficiency gaps and anticipates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nvolving diverse group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