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 Download: 0

NFT 마켓플레이스의 온보딩 사용자경험 개선

Title
NFT 마켓플레이스의 온보딩 사용자경험 개선
Other Titles
Enhancing Onboarding User Experience in NFT Market Place : Focusing on the Work Exploration Stage of the OpenSea Market Place
Authors
임혜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Keywords
NFT, UX, onboarding, 온보딩, 마켓플레이스, marketplace, 사용자경험, opensea, 오픈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NFT(Non Fungible Token)는 위조와 복사를 할 수 없는 대체 불가능 토큰으로, 문화와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NFT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NFT를 사고파는 NFT 마켓플레이스(market place)를 신설하여 NFT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다. NFT 산업이 지금보다 더 큰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NFT의 대중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NFT 마켓플레이스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초보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과 전문 용어 때문에 대중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NFT에 관심있는 초보 사용자들이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처음 겪게 되는 작품 탐색 단계에서 NFT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어렵고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고 원하는 작품을 찾을 수 있도록 온보딩(onboarding)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제도, 문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NFT의 대중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NFT의 사용성 분야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특히 온보딩 관련 연구는 전혀 없으며 연구의 범위 또한 거래 단계로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과 다르게 작품 탐색 단계를 연구 범위로 설정하여 NFT 사용성 분야 연구의 발전과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재 NFT 마켓플레이스들 중 구매자 수와 거래 대금이 가장 높은 OpenSea를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정보 검색 분야의 전문가인 Peter Morville의 허니콤(honey comb) 모델을 사용성 평가의 기준 및 연구 가설로 삼아 온보딩이 없는 OpenSea와 온보딩이 있는 OpenSea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온보딩의 사용성 개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NFT의 개념과 특징, NFT 마켓플레이스의 현황을 조사하여 NFT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온보딩의 개념과 특징을 조사하고, 온보딩 가이드라인 선행연구를 통해 온보딩 사례분석 기준을 정한 뒤, 이를 토대로 NFT마켓플레이스 온보딩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사용자 조사를 통해 OpenSea에서 사용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사용성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셋째,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퍼소나(persona), 사용자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를 진행한 후, 온보딩의 디자인 방향성과 온보딩의 기능 및 세부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1차 프로토 타입(prototype)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1차 프로토타입을 전문가 평가를 통해 보완한 후 최종 프로토 타입을 완성하였다. 넷째, 온보딩을 추가한 OpenSea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고, 온보딩이 없는 OpenSea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와 점수를 비교하여 온보딩의 사용성 개선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온보딩이 있는 OpenSea는 온보딩이 없는 OpenSea보다 사용성 만족도 평가 점수가 향상되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NFT 마켓플레이스의 온보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보 사용자들이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처음 접하는 단계인 작품 탐색 단계의 온보딩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여 초보 사용자들의 NFT 마켓플레이스 진입 장벽을 낮추고 NFT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로는 사용성 평가 비교를 위해 동일 대상자에게 두 번의 사용성 평가를 진행했는데, 첫 번째 사용성 평가가 학습 효과를 일으켜 두 번째 사용성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배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NFT 마켓플레이스의 작품 탐색 단계 외에 사용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작품 구매 단계에서의 온보딩 연구가 진행되어 NFT 사용성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NFTs, or also known as Non-Fungible Tokens, are irreplaceable and unique token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ulture and art, due to the fact that they cannot be copied or forged. The NFT market is growing rapidly, with many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rporations establishing NFT marketplaces to buy and sell NFTs, which is developing the NFT ecosystem. To support the growth of the NFT industry, widespread adoption of NFTs is indispensable. However, NFT market places are designed with a focus on experts, using concepts and specialized terms that make it difficult for rookies to understand, acting as a significant barrier to the needed widespread adop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ist beginners in understanding NFTs and provide guidelines for onboarding that facilitate a successful experience. While prevalent research on the popularization of NFTs is diverse, covering areas such as regulations, culture, and technology, research on the usability of NFTs is finite, especially in the onboarding-related aspec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NFT usability research, the study focuses on the artwork exploration stage, setting it as the scope of the entire research. The chosen subject for the research is OpenSea, currently the top NFT market place in terms of buyers and transactions. The research is going to rely on Honeycomb model devised by Peter Morville, a pioneer of the fields of information architecture and user experience as the standard for usability evaluation and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compares the usability satisfaction scores of OpenSea with and without onboarding, validating the improvement in onboarding usability. Th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process involves theoretical discussions on NFT concepts, features, and the current status of NFT market places. Additionally, onboarding concepts and features are investigated, and onboarding case analysis criteria are established through pre-existing research. The study then analyzes onboarding cases within NFT market places. Secondly, user surveys are conducted to identify difficulties users face on OpenSea and to assess usability satisfaction. Thirdl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ffinity diagrams, personas, and user journey maps are created. Subsequently, design strategies and detailed guidelines for onboarding are derived,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first prototype. The prototype undergoes refinement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ing in the final prototype. Fourthly, the usability satisfaction of OpenSea with added onboarding is evaluated, and the scores are compared with OpenSea without onboarding to validate the improvement in onboarding usability.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OpenSea with onboarding achieves higher usability satisfaction scores than OpenSea without onboarding, confirming the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proposed onboarding design strategies and detailed guidelines for NFT market places. This study holds its value in the sense that it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NFT ecosystem by lowering entry barriers for beginners through the suggestion of onboarding guidelines within the NFT market place. It also acknowledges limitations, such as the potential influence of learning effects on the second usability evaluation compared to the first one due to conducting two usability evaluations with the same participants. As a follow-up, the research suggests conducting onboarding studies in various stages beyond the artwork exploration stage in NFT marketplaces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FT usability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