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 Download: 0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사회적응 간의 종단관계

Title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사회적응 간의 종단관계
Other Titles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in Disaster Survivors : Comparison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Groups
Authors
최서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는 재난피해자가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사회적응의 종단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정신건강사회복지, 더 나아가서 재난피해 자를 돕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난은 그 유형과 심각도에 따라 재난피해자의 다양한 영역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난피해자들의 대부분은 재난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함께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내외에서 재난피해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검증하여 이들의 회복과 적응을 돕기 위한 시도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수행된 선행연구는 보통 한 시점에서의 변인 간의 일방향 관계를 검증하거나 경로를 탐색하는 것에 그쳤다. 하지만 재난의 영향은 매우 장기적이고 복잡하다는 점을 토대로 재난 이후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이 지난 이후 재난피해자의 온전한 회복과 적응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특히 재난취약성을 고려한 연령 기준으로 다차원적이고 통합된 개입 지점과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 2차-4차 자료(2017~2019)를 활용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사회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65세를 기준으로 노인과 비노인으로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다양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응은 모두 자기지연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난피해자의 회복탄력성,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응의 예측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각 변인 간의 상호인과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전 시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이후 시점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을 낮추지 않았다. 반대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은 이후 시점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이전 시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이후 시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전 시점의 사회적응의 또한 이후 시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응은 종단적 상호인과 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사회적응의 수준도 높아지고 사회적응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회복탄력성의 수준 또한 높아짐을 뜻한다. 셋째, 본 연구 모형은 노인과 비노인으로 나눈 두 집단 모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사회적응의 자기지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비노인집단과 노인집단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이후 시점의 사회적응으로 가는 경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로 가는 경로에서는 노인집단을 제외한 비노인 집단에서만 그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사회적응으로 가는 경로는 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응이 외상 후 스트레스로 가는 경로와 사회적응이 회복탄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비노인 집단을 제외한 노인집단에서만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변화를 통해 재난피해자의 주요 변인의 영향요인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재난피해자의 시간 경과에 따른 심리적 요인의 변화 및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는 점에 있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모델을 기반으로 변인중심접근을 통해 위험요인으로서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보호요인으로서의 회복탄력성, 해당 요인 간의 결과로서 적응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넷째, 재난피해자 중 노인 집단의 특성을 입증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노인의 사회적응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기반으로 재난 이후 노인의 사회적응의 수준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유지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피해자의 장기적인 시간 영향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학술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광범위하고 장기간의 재난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와 협력하여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중요한 보호요인임을 확인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활용을 제시하며 동시에 전국민을 대상으로 재난을 대비하고 대응을 위해 안내와 교육 등을 통한 안전하고 친화적인 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전통적으로 수행되어왔던 대면 서비스의 특성을 비대면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발생 당시 기존의 대면 프로그램이 수행되지 못했던 경험을 토대로 비대면 프로그램을 개발, 배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비대면 프로그램의 전달체계 또한 재난취약계층을 충분히 고려하여 배포되어야 함을 함께 제안하였다. 넷째, 재난과 관련하여 각 대상에 맞는 맞춤형 대응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노인과 비노인 집단 결과 차이를 기반으로 각 집단에 맞는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재난 관련 정보와 심리적 지원 내용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해당 교육은 재난피해자 당사자와 피해당사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무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회복탄력성 장애, 사회적응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이를 재난취약성의 기준인 연령을 기준으로 다집단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재난피해자의 보다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개입방안의 학술적 근거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in disaster survivors, with the goal of exploring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encompassing mental health and social welfare. Disasters exert a complex impact on various aspects of survivors' lives, leading to not only psychological difficulties but also negative effects on daily life.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of disaster survivors to facilitate their recovery and adaptation.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often examined one-tim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r explored pathways at a single time point. Recognizing the long-term and intricate nature of the effects of disast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longed impa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recovery and adaptation of disaster survivors over time. Specifica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alysis is employed using data from the "Long-term survey on the change of life of Disaster victim" (2nd-4th waves, 2017-2019). Further, multigroup analysis is conducted by categorizing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age criterion of 65.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firstly, an examination of variation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variable. Secondly, all three variables—PTSD,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exhibited autoregressive effects, indicating that the impact of factors on each variable remains stable over time. Thirdly, reciproc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showing that previous PTSD did not significantly lower subsequent resilience levels, while higher previous resilience significantly reduced subsequent PTSD. Moreover, previous PTSD did not influence subsequent social adaptation, and previous social adap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ubsequent PTSD. Finally, a positive bidirectional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suggesting that higher resilience led to increased subsequent social adaptation, and higher social adapta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ubsequent resilience. Importantly, the model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autoregressive effects for both the elderly and non-elderly groups, indicating the stability of PTSD,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over time for both groups. In terms of intergroup relationships, PTSD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subsequent resilience in either group, and the paths from PTSD to subsequent social adaptation were similar for both groups. Conversely, the path from resilience to subsequent PTSD was only significant for the non-elderly group, while the paths from resilience to subsequent social adaptation were significant for both groups. Additionally, the paths from social adaptation to subsequent PTSD and from social adaptation to subsequent resilience were only significant for the non-elderly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verification of chang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s investigation of long-term changes in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and its use of a resilience model to examine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and adaptation outcomes.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group among disaster survivors. Specifically, the results emphasize the need to actively protect and maintain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in elderly individuals following a disaster.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policies considering the long-term impact of disasters on survivors are essential, with a need for a scientific foundation to support such policies. Secondly, collaborative efforts with local communities are crucial, taking into account the extensive and prolonged nature of disasters. Thirdly, the application of resilience programs as a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 is suggested, alongside the importance of preparing the entire population for disaster readiness and response through guidance,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afe and friendly environments. Notably, the proposal include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online programs based on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mphasizing the need for a delivery system that adequately considers vulnerable populations. Fourthly, tailor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various target groups based on findings are crucial. Finally, enhanced education on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is emphasized, targeting both direct and indirect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manager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a scholarly foundation for more prolonged and specific intervention approaches for disaster survivors by verifying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resilience impairment, and social adaptation. By conducting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the criterion of age, a vulnerable factor in the context of disasters, this research offers insights into the enduring implications of disasters on diverse age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