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 Download: 0

노인의 노인낙인인식과 사회적 고립의 관계

Title
노인의 노인낙인인식과 사회적 고립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lderly Stigma and Social Isolation in Older People
Authors
박민선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여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 맥락 안에서 형성된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노인의 자기와 관련된 인식으로 내재화되어 노인의 심리정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고정관념전형이론에 근거하여 종속변수인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노인낙인인식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자아존중감, 노후불안인식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각 변수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낙인인식의 속성과 노인집단의 질적인 차이를 고려하고자 노인낙인인식의 유형을 분석하고, 노인낙인인식 유형에 따른 사회적 고립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에서 2020년에 실시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2차 자료가 사용되었다. 원 조사는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대일 대면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00명의 데이터 자료 중 만 65세 이상 노인 6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M-plus 8.0을 사용하였고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구조모형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사회적 고립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낙인인식과 자아존중감, 노후불안인식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의 모형이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독립변수인 노인낙인인식과 종속변수인 사회적 고립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노인낙인인식은 사회적 고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 및 노후불안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노인낙인인식과 사회적 고립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후불안인식 또한 노인낙인인식과 사회적 고립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자아존중감과 노후불안인식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노인낙인인식은 자아존중감과 노후불안인식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적 고립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노인낙인인식의 유형 및 유형에 따른 사회적 고립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노인낙인인식은 고수준형, 중저수준형, 저수준형 3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고수준형과 저수준형 간 사회적 고립 수준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노인낙인인식이 자아존중감, 노후불안인식을 매개로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는 고정관념전형이론의 내용에 부합하는 것이며, 노인낙인인식의 내재화 과정에서 개인의 본질적인 가치평가와 관련한 자아개념과 노화와 관련한 자기인식의 개념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노인낙인인식이라는 사회문화적인 맥락이 고려되어야 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노인낙인인식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적 노력이 요구되며, 사회 전반의 노인낙인인식을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낙인인식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노후불안인식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적 고립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자아존중감은 노인낙인인식을 완화할 뿐 아니라 노후불안인식을 해소함으로써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의 사회적 고립 문제에 개입하는데 있어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선제적 개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체계적인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기기나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하여 자녀와 일상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낙인인식과 사회적 고립의 관계에서 노후불안인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노후불안인식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노인의 노인낙인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노인의 사회참여활동 기회와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노년기 적응 프로그램의 강화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노인낙인인식 수준에 따라 유형이 분류되었고, 고수준형과 저수준형 간 사회적 고립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고립 수준이 높은 노인낙인인식 고수준형의 경우 연령이 높고 건강 및 경제적 수준이 낮은 취약계층으로 확인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에 의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논의가 미흡했던 노인의 사회적 고립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고정관념전형이론(stereotype embodiment theory)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의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검증하고,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노인낙인인식 유형화를 통해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에 따른 사회적 고립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해 노인집단 내 질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research model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and to verify it to find social welfare alternatives that can prevent and alleviate th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stereotype embodiment theory that stereotypes about older people formed within the social context are internalized into self-related perception of older people and affect the psychosocial emotions of older people,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were investigated.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were set as mediating variabl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addi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attributes of elderly stigma perception and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older people, the types of perceived elderly stigma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in social isol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ceived elderly stigma were examined. For the study, The secondary dataset called the 「Survey on Age Integration and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conducted in 2020 by the Ewha Institute for Age Integration Research were used. This survey targeted adults across the South Korea and was conducted through one-on-one face-to-face interviews. In this study, data of 600 older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out of a total of 1,200 people. SPSS 23.0 and M-plus 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was lower than middle level, and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were slightly higher than middle level.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and the model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explain th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Thir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elderly stigma had no direct effect on social isolation. Four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self-estee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lderly stigma and social isolation,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was also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lderly stigma and social isolation. Fifth,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elderly stigma indirectly affects social isolation by sequentially mediating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Six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types of perceived elderly stigma and the difference in social isolation according to each type, it was found that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derived into three types: high-level, medium-low-level, and low-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isolation between the high-level and low-level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how that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affects social isolation through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are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the stereotype embodiment theory. It is significant that i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cept of self-concept related to individual essential valuation and the concept of self-perception related to aging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perceived elderly stigma.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it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perceived elderly stigma to be considered in seeking ways to prevent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Therefore, social efforts to improve perceived elderly stigma are required at a fundamental leve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need to established to improve elderly stigma in society as a whol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elderly stigma not only affects social isolation by mediating self-esteem, but also affects social isolation by sequentially mediating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aging anxiet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preemptive intervention to strengthen self-esteem is important in solving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because self-esteem can not only alleviate perceived elderly stigma but also prevent social isolation by resolving the perception of aging anxiety. To this end, a more systematic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ays to strengthen self-esteem of older people by expanding opportunities to share daily lives and communicate with their adult children using digital devices or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Third, social efforts are required to alleviate perception of aging anxiety in order to prevent social isolation. To this e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programs to improve perceived elderly stigma of older people and expand the opportunities and scope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older people. Fourth,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sub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ived elderly stigma,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isolation between the high-level and low-level typ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high-level type of perceived elderly stigma, active intervention needs to be carried out for them as they are identified as a vulnerable group with high age and low health and economic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isolation, which have been insufficient in discussion,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Second, by establishing a research model based on stereotype embodiment theory and verifying it, it was possible to verify a significant path that affects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can prevent and alleviate social isolation. In other word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meaningful model to explain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Thi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qualitative differences within older people by deriving subgroups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perceived elderly stigma and confirming differences in social isolation according to the typ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