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이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이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다문화청소년, 진로결정, 부모진로지지, 진로장벽,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3학년생 다문화청소년의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구조적으로 검증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 9차년도 자료를 근거로 1,169명의 고등학교 3학년생 다문화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결측치 등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1,142명의 응답결과에 대해 SPSS 25.0와 AMOS 25.0를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은 진로결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부모진로지지와 진로결정과의 관계에서 성취동기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과 진로결정과의 관계에서 성취동기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청소년의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은 진로결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3학년생 다문화청소년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통해 진로결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문화가정의 부모진로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있어 보호요인임을 확인한 결과로 부모진로지지의 강화를 요구한다. 또한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자기 자신의 이해 부족, 진로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 등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을 어렵게 하는 방해요인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따라서 진로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을 요구한다. 다음으로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진로지지가 낮고 진로장벽이 높아 자원에 관한 접근성이 낮은 환경일지라도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높일 경우 이들의 진로결정을 도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을 돕는 긍정심리 자원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함의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은 성역할 및 사회계층 진로발달 모형을 지지한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 부모진로지지의 강화, 진로장벽의 극복,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증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족센터는 다문화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 이용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문형서비스 확대,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진로자원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social welfare practice measures for career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structurally verify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s of high school senior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se relationships.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selected 1,169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based on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nd the results of 1,14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excluding unfaithful data such as missing valu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al career suppor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decision, but the career barrier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Second, the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barrie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decis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but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 Fourth, the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barrie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wed a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decision.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Parental career suppor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ir third year of high school does not directly affect career decisions, but it is worth noting that they indirectly affect career decisions through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at parental career support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a protective factor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dlescents, which requires strengthening parental career suppor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barriers directly affect career decisions.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at career barriers, such 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oneself,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are obstacles to career decisions due to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requires social efforts to overcome career barriers. N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a double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parental career support is low and career barrier is high, increasing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can help them make career decisions. In other words, it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make career decis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that the caree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upports the gender role and social class career development model. Next, practical implications are to strengthen parental career support, overcome career barriers, and promote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make career decisions. To this end, family centers should strive to develop customized career support programs reflecting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expand door-to-door services to strengthen accessibility, and secure career resources through community net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