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 Download: 0

멸종위기종 담비(Martes flavigula)와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보전 우선지역 분석

Title
멸종위기종 담비(Martes flavigula)와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보전 우선지역 분석
Other Titles
Conservation priority areas for the endangered species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and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Authors
정아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환경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돈
Abstract
생태계 파괴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는 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생태계서비스의 감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지난 세기 동안 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 표범(Panthera pardus orientalis), 늑대(Canis lupus coreanus) 등 최상위 포식자들이 멸종하거나 생태적 기능을 상실해, 남아있는 담비(Martes flavigula)와 삵(Prionailurus bengalensis)과 같은 중대형 포유류의 중요성이 커졌다. 멸종위기종인 담비와 삵은 산림을 중심으로 넓은 행동권을 가져 서식지 파편화에 굉장히 민감한 종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야생동물 보호지역은 면적이 협소하고 지정 기준이 모호해, 특정 멸종위기종 보호 및 객관적인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 파편화에 민감한 산림성 멸종위기종인 담비와 삵을 목표종으로 서식지 보전 우선지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담비와 삵의 서식지 분석을 위해 1)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를 위해 지정 및 관리되고 있는 보호지역을 선정하고, 2) 국내 서식지 질 평가가 가능한 InVEST Habitat Quality(HQ)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3) 개체수가 적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를 파악하기 위해 생물종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MaxEnt 모델을 사용하였다. InVEST-HQ 모델 분석 결과 서식지 질은 0~0.86의 값을 가졌으며, 담비와 삵의 출현지점 서식지 질 평균값인 0.67±0.07을 임계값으로 사용하였다. 임계값을 기준으로 ‘서식지 우수지역’과 ‘서식지 관리지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서식지 우수지역의 경우 대부분이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으로, 국내 실정과 부합한 서식지 우수지역이 적합하게 도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xEnt 모델 분석 결과 민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평균값인 0.42±0.06을 임계값으로 사용하였으며, 임계값을 기준으로 ‘출현 가능 지역’과 ‘비출현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환경변수를 평가했을 때 담비와 삵의 생태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추출한 지역을 중첩하여 담비와 삵의 서식지로서 우수하고 출현 가능성이 높은 ‘핵심 서식지’를 분석하였고, Gap 분석을 통해 기존 보호지역과의 격차를 확인하고 보전 우선지역을 선정하였다. 서식지 우수지역과 출현 가능 지역을 중첩한 담비와 삵의 '핵심 서식지'는 전국 면적의 14.7%에 해당하는 14,718㎢로 분석되었다. 이 중 '보호지역 외 핵심 서식지'는 12,914㎢(12.9%)로, '보호지역 내 핵심 서식지'는 1,804㎢(1.8%)에 불과했다. 이는 핵심 서식지의 대부분이 보호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현재 보호지역에 대한 평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전 우선지역 1순위로 선정된 '보호지역 외 핵심 서식지'는 경상북도(5,932㎢), 경상남도(2,130㎢), 강원도(1,845㎢) 등의 지역으로, 특히 백두대간과 낙동정맥 등 산림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에서 분석된 보호지역 내외의 중첩 결과를 토지 이용 유형과 비교했을 때, 95% 이상이 산림지역으로 확인되어 이는 담비와 삵의 보호지역으로 충분히 지정가능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국내에서 야생동물의 주서식지가 되는 산림면적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존 산림 보호 및 새로운 보호지역 지정과 연계한 종합적인 생태계 보전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담비와 삵의 객관적인 서식지 분석을 통해 보전 우선지역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해 멸종위기종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지정 및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The degradation of ecosystems leads to a loss of biodiversity and also affects the ecosystem services they provide to people. Protecting the habitats of biodiversity is essential for effectively conserving it. In Korea, top predators such as the Tiger (Panthera tigris altaica), Leopard (Panthera pardus orientalis) and Wolf (Canis lupus coreanus) have become extinct or ecologically irrelevant over the past centur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remaining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and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Threatened yellow-throated martens and leopard cats have large, forested home ranges, which makes them highly sensitive to habitat fragmentation. Currently, domestic wildlife reserves are small in size, and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re vague, highlighting the need for specific protection and objective assessment. Therefore, in this study, our aim was to analyze the priority areas for habitat conservation of the yellow-throated marten and leopard cat, both of which are forest species that face threats due to habitat fragmentation. To analyze the habitats of yellow-throated marten and leopard cat, we 1) selected protected areas designated and managed for wildlife habitat conservation, 2) used the InVEST Habitat Quality (HQ) model to assess the quality of native habitats, and 3) used the MaxEnt model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species occurrence to identify habitats of endangered species with small popul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using the InVEST-HQ model, the habitat quality ranged from 0 to 0.86. The threshold values used for the emergence points of the yellow-throated marten and leopard cat 0.67±0.07, respectively represented their average habitat quality values. The habitat quality areas were categorized into "excellent area" and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Most of the excellent areas, classified as Grade 1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confirm that the habitat areas were correctly identified according to the national situation. In the MaxEnt model analysis, the average 0.42±0.06, value, which represents the maximum training sensitivity plus specificity logistic, was utilized to categorize areas as either "Suitable area" and "Unsuitable area" based on a given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variables confirmed that they accurately reflect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throated marten and the leopard cat. These areas were then overlaid to select a “Core area” of high habitat quality and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which was then overlaid with protected areas using gap analysis to analyze priority areas for habitat conservation. The core area predicted in the study was 14,718㎢ (14.7%) of the total area. Out of this, 12,914㎢ (12.9%) was "Protected area outside the core area," which does not overlap with any other protected areas, while 1,804㎢ (1.8%) was "Protected area inside the core area," which overlaps with existing protected areas. This suggests that protected areas are not adequately assessing the core habitat, as much of it is not included in them. The core area outside protected area, which is the first priority for conservation, was found to be large in Gyeongbuk (5,932㎢), Gyeongnam (2,130㎢) and Gangwon (1,845㎢), mainly in Baekdudaegan and Nakdong-Jeongmaek. Currently, the forest area, which is the main wildlife habitat in Korea, continues to decrease, so a comprehensive ecosystem conservation plan is needed in conjunction with the protection of existing forests and the designation of new protected areas. In particular, when comparing the overlap of land use types and protected areas in this study, more than 95% of the area was found to be forested, confirming that it is sufficiently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for yellow-throated marten and leopard c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able the selection of priority areas for conservation by conducting an objective habitat analysis of the yellow-throated marten and leopard cat. This analysi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identifying and assessing protected areas aimed at preserving the habitats of endangered species, contributing to biodiversity and ecosystem conser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환경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