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병원 격리실 내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소진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병원 격리실 내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소진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ost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n Healthcare Productivity in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t Incidents in Isolation Room in Hospital
Authors
최민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격리실 내에서 폭력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폭력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소진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상급종합병원 혹은 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격리실 내 폭력 경험이 있는 간호사 132명을 편의 표집 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윤종숙이 개발하여 수정 보완한 폭력 유형 및 빈도 측정 도구, Weiss와 Marmar 이 개발하고, 은헌정 등이 한국어로 번역한 Korean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Schaufeli 등이 개발하고 조수현이 한국어로 번역한 Burnout Assessment Tool(BAT), Gillespie 등이 개발하고 본 연구 저자가 번역한 Healthcare Productivity Survey(HPS)를 사용하여 본 연구의 변수들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성은 34명(25.8%), 여성은 98명(74.2%)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30대가 63명(47.7%)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미혼 90명(68.2%), 최종 학력은 4년제 학사가 102명(77.3%)으로 가장 많았고, 종교가 없는 대상자가 97명(73.5%), 총 근무 경력은 5-10년 대상자가 66명(50.0%),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114명(86.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83명(62.9%)으로 대다수였고, 근무부서별로 응급실 50명(37.9%), 중환자실 45명(34.1%), 일반 병동 29명(22%) 순이었다. 근무 형태는 3교대가 117명(88.6%)으로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2. 병원 내 폭력 대응 지침 유무는 ‘지침 있음’이 121명(91.7%)으로 대부분의 병원이 폭력 대응 지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폭력 대응 지침 교육 수료 여부는 ‘수료함’이 94명(71.2%)으로 대부분 1년 이내에 폭력 대응 지침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 후 대응 방식은 상부에 보고하였다고 78명(59.1%)이 응답하였고, 격리실 내 폭력 경험 시 도움 요청 가능하였다고 107명(81.1%)이 응답하였다. 3. 격리실 내 폭력 경험의 빈도는 언어적 폭력이 주 평균 1.88±0.97회, 신체적 위협이 월 평균 1.38±0.93회, 신체적 폭력이 연 평균 0.91±0.88회로 나타났다. 외상 후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34.52±21.363점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이 87명(65.9%)으로 대다수였다. 소진 점수는 평균 3.52±0.68점으로, 하위 영역별로 분석하면 ‘탈진’ 3.78±0.71점, ‘정서적 조절 손상’ 3.41±0.82점, ‘인지적 조절 손상’ 3.41±0.80점, ‘심적 거리’ 3.40±0.83점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업무성과점수는 평균 -0.26±23.53점으로, 업무성과 저하 62명(47%), 변동 없음 8명(6%), 업무성과 증가 62명 (47%)로 나타났다. 4. 언어적 폭력의 빈도는 성별(t= 2.248, p=.026), 근무 부서(F=8.871, p<.001)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신체적 위협의 빈도는 성별(t= 2.646, p=.009), 근무 부서(F=4.485, p=.005)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신체적 폭력의 빈도는 성별(t= 2.648, p=.015), 근무 부서(F=6.486, p<.001) 따라 차이를 보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성별(t=2.168, p=.032), 결혼 여부(t=2.520, p=.013), 최종 학력(F=3.780, p=.025), 폭력 대응 지침 교육 수료 여부(t=2.444,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진, 업무성과 점수는 대상자의 일반적, 직무 관련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업무성과는 언어적 폭력(r=-.196, p=.024), 신체적 위협(r=-.202, p=.020), 외상 후 스트레스(r=-.364, p<.001), 소진(r=-.383, p<.001)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소진(β =-0.284, p=.001), 외상 후 스트레스(β =-.273, p=.002)가 업무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격리실 내 폭력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소진이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격리실 내 폭력 경험으로 인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방안을 촉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n healthcare productivity within the group of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t incidents in isolation room in hospital. The study included 132 nurses employed for over a year in tertiary or secondary hospitals across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over a month period, from 1st of August to 31st of August, 2023, recruiting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nursing community(Nurscape), a platform frequently accessed by South Korean nurses for information exchange about nursing fiel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s facilitating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Demographically, the participant comprised of 74.2% females and 25.8% males and 47.7% of the group was in the 30s age group. Notably, 86.4% of the group served as staff nurses and 62.9% were based in tertiary hospitals. Of all participants, 37.9% worked in emergency room, 34.1% in intensive care unit, and 22% in general ward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prevalence of violent incidents according to sex and working units. Significant variations of post traumatic stress score were exhibited based on sex, marital status, educational status and participation in violence education protocol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healthcare productivity and 4 variables ,such as verbal abuse(r=-.196, p=.024), physical threat(r=-.202, p=.020), post traumatic stress(r=-.364, p<.001) and burnout(r=-.383,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burnout(β=-0.284, p=.001) and post traumatic stress(β=-.273, p=.002) were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s of healthcare productivity.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20%(F=7.544, p<.001)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substantial impact of post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n healthcare productivity of nurses who have experienced violent incidents in isolation room in hospital.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prevent and manage violence against nurses to minimize post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Furthermore, tactic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manage post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ultimately reducing negative impact on healthcare productivity.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fundamental data clarifying frequency of violent incidents in isolation room and its impact on post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health care productivity, further pursuing nurse and patient’s saf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