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 Download: 0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성향, 사회적응도, 자아존중감이 좋은죽음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성향, 사회적응도, 자아존중감이 좋은죽음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Cultural Orientation, Social Adaptation and Self-Esteem on their Awareness of Good Death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북한이탈주민, 좋은죽음인식, 문화성향, 사회적응도, 자아존중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건희
Abstract
인공지능을 비롯한 최첨단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인류가 누릴 수 있는 혜 택이 다양해질수록 인간은 더 편안하고 더 질 높은 삶을 원한다. 좋은 삶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좋은 죽음으로 옮겨졌고 사람들은 이제 삶은 물론 죽음에 있어서도 선호도를 가지고 희망대로 죽기를 원한다. 하지만 북한 이탈주민과 같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경우 좋은 죽음과 관련된 돌봄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다. 북한이탈주민이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해서는 의료종사자의 관심이 필요하며 이들의 좋은죽음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성향, 사회적응도, 자 아존중감이 좋은죽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북한에서 태어나 탈북한 후 남한에 입국하여 북한이탈주민정 착지원사무소의 교육을 수료하고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 157명이었다. 2023년 7월 26일부터 8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 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문화성향은 Individualism-Collectivism (INDCOL)으로, 사회적응도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개발한 사회적응 문제 척도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 좋은죽음인식은 the Concept of a Good Death Measure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또는 Kruskal-Wallis test, Scheffé post hoc 또는 Bonferroni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성향은 수평적 개인주의 42.0%, 수평적 집단주의 38.2%, 수직적 개인주의 10.8%, 수직적 집단주의 8.9% 순으로 나타났다. 대 상자의 사회적응도는 50점 만점에 평균 40.09±9.31점으로 중간 이상 정도vi 였고 자아존중감은 40점 만점에 평균 27.70±2.85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 이었다. 2. 대상자의 좋은죽음인식은 4점 만점에 3.32±0.60점으로 확인되어 중간 이상 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경우, 통제감(3.44±0.81점), 친밀감(3.35±0.62 점), 임상증상(3.19±0.73점) 순으로 나타났다. 좋은죽음인식의 문항별 평균 점수의 순위를 살펴보면‘평화로워야 하는 것’항목이 1순위였고‘갑작스 럽고 예상치 못한 것’이 맨 마지막 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죽음인식 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t=2.085, p=.039)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점수가 높았다. 3. 북한이탈주민의 좋은죽음인식은 문화성향의 하위영역인 수평적 집단주의 (r=.375, p<.001), 수직적 집단주의(r=.292, p<.001), 수직적 개인주의(r=.223, p=.005), 수평적 개인주의(r=.186, p=.02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자아존중감(r=.184, p=.021)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4. 대상자의 좋은죽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교(β=-.168, p=.038)와 자아존중감(β=.195, p=.014)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가 좋은죽음인식의 5.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좋은죽음인식이 중간 이상이었고, 종교가 있는 경우 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문화성향 및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의 좋은죽음인식 특 성을 기반으로 누구나 희망하는 좋은 생애 마지막을 준비할 수 있도록 종교 유무와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및 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겠 다. 또한 영향요인의 낮은 설명력을 고려하여 좋은죽음인식에 유의한 영향요 인으로 고려되는 사회적지지 등을 포함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cultural orientation, social adaptation, and self-esteem on the awareness of good dea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For this study,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were employed to recruit the subjec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7 North Korean defectors aged 19 years or older who were born in North Korea and entered South Korea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 and had completed education through the 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were living in the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ly 26 to August 10, 2023. Cultural orientat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was assessed using Individualism-Collectivism (INDCOL), Social adaptation to South Korea society was measured using the social adaptation problem scale develop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self-esteem was evaluated using self-esteem measurement tool, and awareness of a good death was measured 88 using the Concept of a Good Death Meas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or Kruskal-Wallis test, Scheffé post hoc or Bonferroni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ultural orien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horizontal individualism(42%), horizontal collectivism(38.2%), vertical individualism(10.8%), vertical collectivism(8.9%). The average level of adaptation to South Korea society was 40.09±9.31 out of 50 points, indicating a level above average, while self-esteem scored an average of 27.70±2.85 out of 40 points, also indicating an above average level. 2. The participants’awareness of a good death scored an average of 3.32±0.60 out of 4, indicating a level above average. After examining the sub-dimension, they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personal control(3.44±0.81), closure(3.35±0.62), and clinical(3.19±0.73). When looking at the ranking for each question, 'Being peaceful' was ranked highest, while 'Sudden and unexpected' was ranked lowest. Awareness of good death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religion(t=2.085, p=.039)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those with religion having higher awareness of a good death than those without. 3. The subject’s awareness of a good death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ub-dimension of cultural orientation, horizontal collectivism(r=.375, p<.001), vertical collectivism(r=.292, p<.001), vertical individualism(r=.223, p=.005), horizontal individualism(r=.186, p=.020) and showed a statistically89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r=.184, p=.021). 4. Religion(β=-.168, p=.038) and self-esteem(β=.195, p=.014)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subjects’awareness of a good death, and they explained approximately 5.9% of the variance in awareness of a good dea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wareness of a good dea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was above average, with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religion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ultural orientation and self-esteem was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awareness of a good death, it is suggested that tailored education and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religious beliefs and self-esteem are necessary so that everyone can prepare for the good end of life they hope for.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low explanatory power of the influencing factors, follow-up research including potential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is warra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