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hemodialysis unit nurses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uthors
구연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혈액투석실 간호사, 언어폭력 경험, 직무만족도, 극복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조절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8월 17일부터 8월 23일까지였으며, 국내 의료기관의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수간호사를 제외한 113명의 간호사를 온라인 설문을 통해 모집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언어폭력 경험은 남경동 등(2005)이 개발하고 구자관(2008)이 수정·보안한 도구를 유미옥(2011)이 재수정한 도구, 극복력은 박미미(2015)가 개발한 도구, 직무만족도는 이병숙 등(2018)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Simple linear regression, 극복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극복력의 조절효과는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 중 대상자는 113명(100%)으로 모두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2.33세로 30-39세가 64명(56.6%)으로 가장 많았다. 종교 유무에서는 무교가 59명(52.2%), 결혼상태에서는 미혼이 83명(73.4%)이었다. 근무병원은 종합병원이 60명(53.1%)으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6.22±4.09년, 혈액투석실 근무경력은 평균 2.35±2.13년이었다. 근무유형은 3교대 근무자가 56명(49.6%)이었으며,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100명(88.5%)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 프로그램 교육을 이수한 대상자가 73명(64.6%),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하루 평균 1인당 담당 환자 수(명)는 6~10명이 61명(54%)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당 혈액투석 기계(대)는 11~20대라고 응답한 수가 38명(33.6%)으로 나타났다. 하루 8시간 이하 근무자는 99명(87.6%), 9시간 이상 근무자는 14명(12.4%)이었다. 2. 대상자의 언어폭력 경험은 평균 2.39±0.72점(5점 만점)으로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가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극복력은 평균 3.83±0.54점(5점 만점)으로 보통 정도 이상이며 하위영역별로 관계적 패턴이 평균 3.92±0.55점, 상황적 패턴이 평균 3.83±0.54점과 철학적 패턴이 평균 3.83±0.59점, 전문가적 패턴이 평균 3.79±0.61점, 기질적 패턴이 평균 3.75±0.65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는 평균 3.82±0.55점(5점 만점)으로 보통 정도 이상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경험은 연령이 30대인 경우(F=3.53, p=.033), 임상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F=7.35, p<.001), 병원당 혈액투석 기계가 10대 이하인 경우(F=2.95, p=.036), 종교가 없는 경우(t=-3.52, p=.001)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복력은 연령이 20대인 경우가 30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4.53, p=.013). 직무만족도는 종교가 있거나(t=2.33, p=.022),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인 집단이(F=3.97, p=.02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언어폭력 경험과 극복력(r=-.37, p<.001), 언어폭력 경험과 직무만족도(r=-.54, p<.001)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극복력은 직무만족도(r=.83,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언어폭력 경험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54, p<.001),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 요인의 변화량을 29.0% 설명하였다. 극복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극복력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복력 요인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철학적 패턴(β=.46, p<.001), 관계적 패턴(β=.24, p=.023)이 순서대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극복력은 직무만족도 요인의 변화량을 71.0% 설명하였다. 6. 대상자의 언어폭력 경험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극복력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β=-.07, p=.175).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은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극복력은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즉, 극복력이 조절효과가 없다는 결과는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 차원에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descriptive research aimed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hemodialysis unit nurses’verbal violence experiences and job satisfaction.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August 17 to August 23 of 2023, involving 113 female nurses from a Korean medical institution’s hemodialysis unit, excluding head nurses. Verbal violence experiences were gauged using a tool adapted from Nam et al. (2005), modified and adapted by Ku (2008) and Yoo (2011),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tools from Park (2015) and Lee et al. (2018), respectively. Data analysis employed SPSS 25.0, encompas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methods. The impact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s on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using simple linear regression, while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was assess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examin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1. Among the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ll 113 participants (100%) were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32.33 years. The majority fell within the 30-39 age group, comprising 64 individuals (56.6%). In terms of religion, 59 participants (52.2%) identified as irreligious, and in terms of marital status, 83 participants (73.4%) were unmarried. The predominant workplace was a general hospital, with 60 participants (53.1%).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averaged 6.22±4.09 years, while the experience in the hemodialysis unit was 2.35±2.13 years on average. The majority followed a three-shift work schedule, with 56 participants (49.6%), and the majority held the position of general nurse, accounting for 100 participants (88.5%). Seventy-three participants (64.6%) had completed language violence program education. The daily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in the hemodialysis unit was highest in the range of 6-10 patients, with 61 participants (54%). Respondents reported 11-20 hemodialysis machines per hospital, with 38 participants (33.6%). Ninety-nine participants (87.6%) worked less than 8 hours per day, while 14 participants (12.4%) worked 9 hours or more. 2. The participants’experiences of language violence were found to have an average score of 2.39±0.72 (out of 5), indicating a moderate frequency of language violence experiences. Resilience had an average score of 3.83±0.54 (out of 5), indicating an above-moderate level. Among the subdomains, relational patterns showed an average of 3.92±0.55, situational patterns had an average of 3.83±0.54, philosophical patterns had an average of 3.83±0.59, expert patterns had an average of 3.79±0.61, and temperamental patterns had an average of 3.75±0.65. Job satisfaction was on average 3.82±0.55 (out of 5), indicating an above-moderate level. 3. The frequency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individuals in their 30s (F=3.53, p=.033), those with clinical experience of 5 years or more (F=7.35, p<.001), those working for hospitals with 10 or fewer blood dialysis machines (F=2.95, p=.036), and those without religious affiliation (t=-3.52, p=.001).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ndividuals in their 20s compared to those in their 30s (F=4.53, p=.013).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religious affiliation (t=2.33, p=.022) and groups with less than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F=3.97, p=.022). 4. Correlations indicated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verbal violence and resilience (r=-.37, p<.001), and verbal violence and job satisfaction (r=-.54, p<.001), while resilien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83, p<.001). 5. Verbal viol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β=-.54, p<.001), explaining 29.0% of its variance. Resilience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with philosophical patterns (β=.46, p<.001) and relational patterns (β=.24, p=.023) mak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collectively explaining 71.0% of variance. 6. Regarding the moderating role of resilience in the verbal violence-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β=-.07, p=.175). The study findings affirm that the verbal violence experience of hemodialysis unit nurses detrimentally affects job satisfaction, with increased frequency of such experiences correlating with diminished job satisfaction. Notably, resilience did not demonstrate a moderating effect in the connection between verbal violenc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hemodialysis unit nurses. Consequently, it is evident that verbal violence experience exerts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provide crucial foundational data for devising and executing programs and policies aimed at averting verbal violence, thereby enhancing the working environment for hemodialysis unit nurses at the hospital level and, consequently, improving job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