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 Download: 0

국내 메타버스 음악 공연의 사례 분석 및 실연 방안에 대한 고찰

Title
국내 메타버스 음악 공연의 사례 분석 및 실연 방안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Domestic Metaverse Music Performance
Authors
임하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전공
Keywords
메타버스, 메타버스음악공연, 음악공연사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trend of music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and proposes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case analysis. Metaverse is a space enjoyed through avatars in a virtual reality similar to reality and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since 2020. With the increasing applications of metaverse in various field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healthcare, education, and art, the era of metaverse is in full swing. Two prominent social phenomena have led to the re-emergence of the metaverse: the pandemic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general online performances do not provide the reality of stage performances, and the metaverse, a highly immersive space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freely, has gained atten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online platforms and the development of hyper-realistic technologies such as VR and AR, making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metaverse more realistically. The convergence of these two social phenomena has led to the re-emergence of the metaverse, which has attracted intense interest to date. The art industry has also developed various performances and is attempting to combine metaverse and music in homegrown metaverse performances. However, metaverse music performances are currently highlighted in a fragmented manner rather than in-depth analyses of metaverse performances, i.e., as a marketing tool to promote performances, statistics on platform access, and articles with basic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a scientific analysis of metaverse music performances by acknowledging these limitations.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case analysis and specific theory-based research on metaverse music performan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future of metaverse music performanc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pecifically examined the current development of metaverse music performance and analyzed cases of music performance using metaverse technology.  First, the researcher studied the metavers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nd then illuminated the theoret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requirements for music performances: interactivity, which allows us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ermanence, which allows the contents of the worldview to last and pass through time like the real world; economy, which allows revenue generation within the virtual world; creativity, which allows free viewing and production without restrictions; and finally, worldview construction, which maximizes the audience's immersion. Two types of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abov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a metaverse music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wo performance cases: "virtual reality type metaverse" performance cases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mixed reality type metaverse" performance cases experienced by mixing reality and technology. The study focused on the period between 2020 and 2023,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limited the selection of performance cases to those highly exposed in the mass media among domestic performances and those that used VR technology to establish a metaverse performan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research proposes the following methods: First, develop an integrated technology application platform to maximize immersion. The proposal is to develop a platform that can simultaneously experience visual and auditory immersion using integrated XR rather than separating VR, AR, MR, and other technologies. Second, it is to build a worldview and long-term storytelling that audiences can enjoy continuously rather than as a one-time performance. It is believed that an appropriate worldview must be built to immerse the audience and create a metaverse music performance culture. Third, it is the development of an audience-driven performance system that does not rely on planners and performers. The metaverse space is free for participants and requires creativity, but there are many constraints in the case of general stage performances.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audience participation in metaverse music performance. Finally, a dedicated venue for the immersive experience of metaverse music performance should be established. The technology required to experience the metaverse can determine the degree of immersion through multiple sensory organs such as sight, sound, and touch. The proposed metaverse is a wa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 audience can interact with the performers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presence of a separate stage. This study derived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a metaverse. Through academic analysis based on the requirements, it was also essential to create an academic discourse on metaverse music performance and the directions metaverse music should take in the future. In the coming years, metaverse music performances that converge with new technologies should be further studied, and the performance forms developed should be left for further research. The coming forms of metaverse music performance, such as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content development, are hoped to be valuable to the art world.;본 논문은 메타버스가 지속적으로 전 영역에 걸쳐 시대적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메타버스 음악 공연의 면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발전 방향성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메타버스(Metaverse)는 현실과 흡사한 가상현실 속에서 다양한 문화적 공간을 향유하는 공간으로 2020년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 IT, 의료, 교육, 예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메타버스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본격적으로 메타버스의 시대가 도래되었다. 메타버스는 팬데믹과 4차 산업 혁명으로 대중적인 확산으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메타버스 음악 공연은 기존의 온라인 공연에서는 무대 공연의 현장감이 부족하다는 평가로 인해 메타버스 공연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적 공연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4차 산업 혁명으로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의 생성 및 VR 및 AR 등 초현실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메타버스가 더욱 확대되었다. 최근 공연예술계에서도 매우 다양한 음악 공연을 통해 메타버스와 음악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으나 메타버스 음악 공연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보다는 단편적인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메타버스 음악 공연의 면밀한 분석보다는 공연 홍보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플랫폼의 접속자 통계, 초보적인 기술적 조명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해 메타버스 음악 공연에 대한 학술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논의가 활성화된 현시점에서 음악 공연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론적 관점을 조명한 후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음악 공연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음악 공연의 설립 요건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사용자 간의 소통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 세계관의 내용이 오래 유지되고 현실 세계와 같이 시간이 흐르는 ‘영속성’, 가상 세계 안에서 수익 창출이 가능한 ‘경제성’, 규제 없이 자유로운 관람 및 작품 제작이 가능한 ‘창의성’, 마지막으로 관객의 몰입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세계관의 구축’이다. 앞에서 도출한 메타버스 음악 공연의 설립 요건을 바탕으로 두 유형의 공연 사례를 살펴보았다.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상현실형 메타버스’공연 사례와 현실과 기술을 혼합하여 경험하는 ‘혼합현실형 메타버스’공연 사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 사례의 선정 범위로는 코로나 발생 이후 시점인 2020년부터 2023년 사이로 설정하였으며 국내에서 진행하였던 메타버스 음악 공연 중 매스컴에서 상위에 노출되었던 사례와 메타버스 기술 장비를 활용하여 메타버스 음악 공연을 구축한 사례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기술 적용 플랫폼의 개발이다. VR, AR, MR 등 기술적인 부분이 개별로 분류되지 않고 통합된 XR을 활용하여 시각적, 청각적 몰입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제안이다. 둘째, 단발성으로 그치는 공연 사례가 아닌 관객이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는 세계관 및 장기적 스토리텔링의 구축이다. 관객의 몰입도와 메타버스 음악 공연 문화를 생성하기 위해서 적절한 세계관이 구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기획자와 공연자가 주체성을 지닌 것이 아닌 관객 주도형 공연 시스템 개발이다. 메타버스 공간은 참여자가 자유로우며 창의성이 요구되지만, 일반 무대 공연의 경우 많은 제약이 있었다. 즉 메타버스 음악 공연에서는 관객이 주체성을 지니고 경험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음악 공연의 몰입을 위한 전용 공연장 설립이다. 메타버스의 경험에 필요한 기술은 시각, 청각, 촉각 등 여러 감각 기관을 통하여 몰입 정도를 결정지을 수 있다. 일반 공연장과 같이 객석과 무대가 분리된 형태에서 벗어나 관객의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제안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설립 요건을 도출하는 학술적인 분석을 통해 추후 메타버스 음악 공연이 나아가야 하는 바와 메타버스에 대한 학술적인 담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공연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