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 Download: 0

무용전공자의 상해경험에 따른 부상불안이 인지된 무용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무용전공자의 상해경험에 따른 부상불안이 인지된 무용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jury-Related Anxiety on Perceived Dance Performance According to Dance Major's Injury Experiences
Authors
한지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들의 상해경험에 따른 부상불안이 인지된 무용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충북・강원・광주・전남・대구・경남 소재의 대학교 소속의 무용과 재학생들과 발레단/무용단 소속 전공자, 프리랜서 무용수를 대상으로 31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상해경험이 없는 23명의 설문지와 불성실한 답변 5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282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전공자의 상해 경험에 따른 부상불안 차이가 나타났고 최근 상해와 과거 상해를 모두 경험한 집단이 부상불안이 가장 높았다. 둘째, 상해 경험에 따른 인지된 무용수행력은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상해 심각성은 상해 회복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해 심각성은 부상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해 회복 가능성은 부상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자의 부상불안은 인지된 무용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전공자의 부상불안이 인지된 무용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해 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론은 무용수가 상해를 입었을 때, 무용수가 느끼는 부상불안을 낮추는 것은 무용 전공자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고난도의 테크닉을 매일 훈련하는 무용 전공자들의 부상은 필연적이기에 부상을 입었을 시 신체적인 재활 뿐 아니라, 스스로 인식하는 부상에 대한 심각성을 낮춰주고 부상 회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인 재활 훈련도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용전공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한 부정적인 심리와 회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심리 훈련이 함께 병행된다면 무용수의 추후 부상 시 더 빠른 현장으로의 복귀, 부상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jury-related anxiety based on the injury experiences of dance majors on perceived dance performance.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10 participants, including danc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buk, Gangwon, Gwangju, Jeonnam, Daegu, and Gyeongnam, as well as professional dancers affiliated with ballet or dance companies and freelance dancers. After excluding 23 surveys with no injury experience and 5 surveys with unreliable responses, 282 responses were utilized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employing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injury-related anxiety based on the injury experiences of dance majors, with the group that had experienced both recent and past injuries showing the highest levels of injury-related anxiety.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dance performance based on injury experiences among the groups. Thirdly, the severity of injuries among dance majors influenced the likelihood of injury recovery and, in turn, affected injury-related anxiety. Fourthly, injury-related anxiety among dance majors was found to impact perceived dance performance. Fifth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jury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jury-related anxiety and perceived danc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dance majors' injury experiences, injury-related anxiety, and perceived dance performance.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indicating that anxiety accompanying injuries in dance majors influences their perceived dance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e value of developing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programs to support dance majors in sustaining overall engagement in dance activities, particularly in the aftermath of injuries and subsequent challenges to injury-related anxiety and perceived dance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