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 Download: 0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Authors
Zheng Hongquan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가 매개효과를 확임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 함의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2기(MAPS 2기) 제 2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다문화청소년 2,0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PSS 27.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다문화 청소년이 체감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학교생활적응은 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지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부모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낮아진 부모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지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교사지지의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교사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친구지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친구지지의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친구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다집단분석에 따라 집단 간 경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내출생 청소년, 중도입국 청소년, 외국인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차이는 집단 별로 크게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유형에 따라 주요변수 중 부모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외국인 가정자녀과 중도입국 청소년이 국내출생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 청소년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youth.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cond round of the Korean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MAPS 2nd round) and analyzed 2,021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used SPSS 27.0 and AMOS 26.0 program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found to be negative, i.e., the higher the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lower the school adjustment. Second, parental suppor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means that acculturative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al support, and lower parent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rd, teacher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eacher support, and this teacher support negative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Fourth, friend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peer support, and this peer support negative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Fifth, according to the multiple group analysis, the differences in paths between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e.,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jus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omestic-born, mid-immigrant, and foreign-born children.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showed that parental support and acculturation stress were different among the main variables depending on the type of multicultural youth. Acculturation stress was higher among foreign-born and mid-entry youth than among domestic-born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reduce acculturation stress and improve their school adjus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