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 Download: 0

교육청 지원 학교역사관 운영 개선 방안 연구

Title
교육청 지원 학교역사관 운영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of school history archives suppor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uthors
권수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학교역사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현
Abstract
학교의 역사가 점차 깊어질수록 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학교역사기록 또한 다양한 가치를 지닌다. 학교역사기록은 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주체에 의해 생산되는 중요 기록으로서 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지역과 교육의 역사를 반영하며 교육, 전시, 출판 등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 수행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학교역사기록은 법적으로 기록관리 체계 내에서 관리되는 행정기록에 비해 도외시 되어 왔다. 최근 각 교육청에서는 학교역사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육청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단위학교 내 학교역사관과 관내 학교역사기록을 통합하는 교육지원청의 온라인 학교역사관의 설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으로 구축된 학교역사관 운영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 적이 드물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청 사업을 통해 조성된 단위학교형과 통합형 역사관의 운영 현황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함께 학교역사기록의 범위 및 특성, 학교역사관의 유형 및 기능을 살펴보았다. 학교역사기록을 학교행정기록, 학교생활기록, 민간교육기록을 포함하는 기록으로 바라보았고, 학교역사기록을 수집, 보존, 서비스하는 공간으로 학교역사관을 정의하였다. 연구 대상의 유형을 단위학교가 주체가 되어 학교 내에 역사관을 설립하는 단위학교형, 지역적으로 동일한 생활권에 있는 학교들의 공동 역사관을 설립하는 통합형 역사관으로 구분하였다. 해외 학교역사관 사례로 해당 국가에서 역사가 오래된 학교 중 온라인 학교역사관을 활발히 운영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역사관의 서비스를 알 수 있는 기관을 선정하였으며 단위학교형은 미국의 하트포드 공립 고등학교와 영국의 킹스 컬리지 학교, 호주의 허친슨 학교의 역사관을 살펴보았고 통합형은 캐나다의 요크 교육청과 에드먼튼 공립 학군의 역사관을 분석하였다. 다섯 기관 모두 학교 아키비스트 또는 큐레이터가 운영 담당자로서 지속적으로 학교역사관을 관리하고 있으며 수집, 보존 및 정리 측면에서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전시나 SNS 운영을 통한 홍보뿐만 아니라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기록 활용 수업을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었다. 국내 사례의 경우 학교역사관 설립 사업을 진행한 경상남도, 광주, 전라북도교육청의 단위학교 중 홈페이지에 학교역사관 정보를 탑재한 6곳의 학교와 관내 학교역사기록을 수집해 온라인으로 학교역사관을 구축한 서울, 경상남도, 울산광역시교육청 산하의 교육지원청 5곳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질문지는 장효정, 김수정(2017), 이동은(2020), 김은지(2022)의 연구를 참고하여 학교역사관 운영 담당자에 대한 정보, 학교역사관 사업 현황, 운영 전반, 기록 수집 현황, 정리 및 보존 현황,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으로 영역을 구성하였다. 단위학교와 통합형 학교역사관 모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학교역사관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영역으로 질문을 구성하였으나 통합형 역사관의 경우 기록연구사라는 전문가가 학교역사관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메타데이터, 보존 처리, 기록에 대한 기술 수준, 온라인 전시 구축 방법 등 실무 영역에서의 세부 질문을 추가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단위학교형과 통합형 학교역사관의 문제점으로 지속적인 운영의 어려움, 미흡한 기록관리, 제한된 기록정보서비스라는 세 측면을 파악하였다. 단위학교형 학교역사관은 전문적인 담당자, 운영 계획과 수집 정책의 부재, 열악한 보존 환경, 전시·견학·열람에 국한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운영 측면에서는 담당 인력, 예산 및 교육청의 지원 확보, 운영 정책의 수립을 제안하였고 기록관리 측면에서는 수집 정책 수립, 소장 기록 목록 작성, 보존 환경 개선을 제안하였다. 기록정보서비스 측면에서는 기획 전시와 학생 대상 교육 콘텐츠 개발,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 방안을 제안하였다. 통합형 학교역사관 또한 기록연구사 1인 체제로 운영되어 학교역사관 업무와 일반적인 기록관리 업무를 병행하기 어려웠으며 기록연구사의 전문성을 펼칠 수 있는 기반이 다소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집 정책이 없고 기록에 대한 기술이나 활용 범위 안내가 부족하였으며 전시에 국한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한계로 파악되었다. 개선 방안으로는 운영 측면에서는 인력, 예산 및 기기 지원, 기록관리 측면에서는 수집 정책 수립과 기록에 대한 상세 기술 제공과 활용 범위 안내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정보서비스 측면에서는 교육 콘텐츠와 구술 콘텐츠의 개발, SNS와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를 제안하였다. 더불어 단위학교형과 통합형 학교역사관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개선 방안으로 학교역사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법적 근거 제정과 학생, 교사, 동창회, 학부모, 지역사회, 교육청으로 구성된 교육공동체 간의 협력 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근본적인 문제로 학교 현장에서 학교역사기록에 대한 낮은 인식이 파악되어 학교와 교육청 구성원 대상 학교역사기록 및 학교역사관 관련 연수와 담당자 역량 강화를 위한 성과보고회 개최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의 역사를 담은 중요 기록인 학교역사기록을 관리하는 학교역사관의 역할에 주목하여 문헌 연구, 사례 조사, 심층면담을 통해 단위학교형과 통합형 학교역사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정 지역과 유형에 국한되지 않고 종합적인 학교역사관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역사관의 운영과 발전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the school's history deepens, school history records also have diverse values. School history records produced by various entities around the school can develop the identity of the school and reflect the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and education. Also, they can be used as primary resources for performing variou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education, exhibitions, and publications. However, compared to school administrative records managed within the legal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school history records have been neglected. Recently, each Office of Education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chool history records and is conducting various projects to collect them. As part of the Office of Education's projec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 history archives in unit school and Office of Education by collecting local school history records. However, studies on the operation of school history archives built through these projects have rarely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operation of school history archives in unit schoo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uggests improv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history records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school history archives were defined. School history records were defined as records including school administrative records, school life records, and folk education records. School history archives were viewed as a space for collecting, preserving, and utilizing school history reco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unit school history archives established in each school, and integrated school history archives, which collect school history record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As the case study of foreign school history archives, institutions with a long history in the country that actively operate the archives and indicate their service through the website were selected. The unit school types include Hartford Public High School in the U.S., King's College School in the U.K., and Hutchinson School in Australia. For integrated types, the York Region District School Board and Edmonton Public Schools in Canada were investigated. All institutions employ school archivists or curators who can manage the archives and perform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completely. In addition, they actively perform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promotion through SNS, exhibitions and lectures using school history records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level. For the case study in Kore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unit schools and five Offices of Education. The interview questionnaire wa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aspects: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history archives operator and the status of operatio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ecause both unit school and integrated school history archives operate their online or offline archives, the questions are constructed similarly. Compared to the unit school archives, professional records managers are in charge of the integrated archives. Therefore, detailed questions in practical areas such as metadata, preservation, and exhibition services were adde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ree aspects of the problems of the unit school and integrated archives were identified: difficulty in continuous operation, insufficient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limit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e unit school archives had problems such as a lack of professional personnel, an operation plan, and an acquisition policy. Also, they had a poor preservation environment, and the provis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was limited to exhibitions and tours. The study ha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unit school archives from three aspects: operation, records, archives management, 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First, regarding operation improvement, the study proposed securing personnel in charge, and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such as budget and consultation. Second, regard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an acquisition policy, arrangement of records, and improvement of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were suggested. Third, in term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he development of special exhibitions and educational content for students, and promotion through the school website were suggested. Integrated school history archives were also operated by a single record manager, and there was no foundation for him or her to perform their expertise. In addition, the lack of acquisition policy and records description, 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limited to exhibitions were identified as limitations. The suggestions for integrated school archives also can be summed up in three aspects: operatio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First, the operation improvements include support materials such as employees, budget, and equipment. Second, regard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an acquisition policy and the provision of detailed record descriptions are needed. Lastly, in term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such as lectures, education toolkit, and oral history content was suggested. Also, the promotion through SNS and website is important. In addition, comprehensive improvement strategies encompassing the unit school and integrated school archives, enactment for managing school history records and archives, and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educational community are proposed. Also, providing training on school history records and archives for teachers and staff is essential for improving awareness. Finally, opportunities for sharing best practices can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chool history archives opera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school history archives in managing school history records that include the history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it suggests improvements for unit school and integrated school archives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status of school history archives and mak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school history arch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