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 Download: 0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Title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ining Program for village recorders
Authors
배지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마을기록활동가, 교육 프로그램, 마을아카이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현
Abstract
국내에서는 민간기록보다 공공기록에 초점을 맞추어 기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사적인 영역에서 생산되는 민간기록 관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행정업무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어 활용성이 높은 공공기록과 달리 민간기록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다. 하지만 민간기록은 개인이나 단체가 속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인 맥락을 내포하고 있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민간기록의 체계적인 관리에 대해 논의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도 2010년 이후부터 일상 아카이브, 지역 아카이브, 공동체 아카이브 등 민간기록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그중에서도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기록 관리에 관한 연구와 실무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마을공동체 기록인 마을기록은 마을문화자원으로서, 공공의 행정 및 정치를 받아들이는 시민의 모습을 투영하여 현재를 표현하는 하나의 증거 혹은 지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국내 많은 지역에서 이러한 마을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마을을 기록화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마을의 크고 작은 기록들을 다양한 형태로 수집 및 생산하는 마을기록활동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다.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이 기록활동에 참여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프로그램 이후에도 계속 활동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이 부실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을 평가하는 객관적 지표의 부재와 교육 프로그램의 일회성 등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의 측면과 교육내용 구성의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 지역 아카이브에 대한 의미, 마을 아카이브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기록활동가의 개념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5년 이내에 2번 이상 지속해서 운영되고 있는 10개의 국내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 또는 SNS에 업로드된 공지사항을 바탕으로 진행주기 및 시간을 포함한 기본 운영 정보, 단계별 교육 운영 여부, 강의내용 및 강의자, 후속 활동 유무 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 면담 대상자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기관의 담당자 7명,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여 이수한 이수자 4명, 그리고 프로그램에서 진행 및 강의를 맡은 강의자 3명으로 총 14명이었다. 세 관계자 그룹에게 기록활동가에 대한 개념과 역할에 대한 생각, 참여한 교육 프로그램의 강점과 아쉬운 점, 교육을 진행하는 강의자의 자격요건, 교육내용 및 교육 자료, 후속 활동 등에 대해서 질문하였으며 담당자와 강의자에게는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과 관련된 경험을 집중적으로 질의하였다. 이를 통해 관계자들의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문헌연구, 사례연구 및 심층 면담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의 측면과 교육내용 구성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와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담당자들은 기록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거나 타기관의 유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담당자 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명확한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통일된 용어 사용, 기록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하며 기관 관계자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은 회당 2시간 내외로 주 1~2회 대면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율적인 교육 및 실습을 위해 10명 내외의 인원이 적절하며 해당 지역에 관심이 있는 사람 누구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단계별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단계별로 교육 목적과 내용을 명확히 설정하여 참여자들이 각 단계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파악하며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최대 2명의 강의자가 담당자와 함께 교육내용을 조율해가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방식이 적절하다. 프로그램 참여자 개개인의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주 다른 강의자보다는 한 강의자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참여자의 이해도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관에서 담당자가 설정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에 따라 교육내용을 다르게 구성해야 하므로 직접 강의하는 강의자와 담당자의 소통 및 조율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기록활동가들이 지속적인 기록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때 기관은 기록활동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활동가들이 주도적으로 기록활동을 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요청하면 해당 부분에 대해서 지원을 해주는 방향으로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 이수자를 포함하여 프로그램 기획 담당자와 강의자 등 모든 관계자를 대상으로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마을기록활동가의 필요성을 알리고 그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In South Korea, record management has traditionally prioritized public records over private ones. However,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consistent need for managing private records generated in personal domains in recent times. Unlike public records, which directly contribute to administrative tasks and are highly utilitarian, there is a relatively low awareness of the potential utility of private records.However, private records encapsulate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s to which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belong, making them versatil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iscuss and advance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Since 2010, discussions on private records, including everyday archives, local archives, and community archives, have been initiated in South Korea. Particularly, ongoing research and practical efforts are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with an emphasis on community archives, including village communities. The village records, as part of community archives, serve as cultural assets for the village, reflecting the citizens' percep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tics. They can function as evidence or indicators portraying the present.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village records, numerous regions in the country are actively undertaking initiatives to document and archive village life. Among these initiatives, there is a growing trend in programs that foster community village recorder who collect and produce various forms of both significant and everyday records within the village. While citizen participation in record activities receives some level of support through community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s, there are challenges in sustaining such involvement post-program. These challenges include inadequate overall environments for ongoing activities, the absence of objective metrics for evaluating program structure and content, and limitations related to the one-time nature of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tatus of domestic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s.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i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irstl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examined the meaning of community, community archives, and regional archives. We delved into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village archives, as well as the concepts and roles of village recorders. Additionally, we conducted a case analysis by selecting 10 domestic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s that have been consistently operational at least twice within the last 5 years. We were able to analyze operational basics, including cycle and duration, as well as the progress of each stage, lecture content, instructors, and subsequent activities, based on announcements uploaded to each institution's official website and social media accounts. Next,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s involved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in the in-depth interviews included 7 individuals responsible for planning the program at the organizing institution, 4 individuals who directly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program, and 3 instructors who conducted lectures and sessions within the program, totaling 14 participants. I interviewed three groups of individuals; inquired about their thoughts on the concept and role of village recorder,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s, qualifications required for program instructors, educational content and materials, follow-up activities, and more. Specifically, I focused on querying the organizers and instructors about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mprehend the officials’ perceptions of the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e derive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aspects, as well as the content structure of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s. The improvement sugges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program organizers and focus on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program in the planning phase. Program organizer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acquire specialized knowledge related to records or participate in a community of organizers from other institutions running similar programs. To sustainably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lear objectives and goals, use standardized terminology, and build a shared platform for records.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institutional officials. Secondly, it is desirable for the program to be conducted face-to-face, approximately 2 hours per session, once or twice a week. An optimal group size of around 10 participants is suitable for efficient education and practical exercises. The program should be open to anyone interested in the region. If the program is operated in stages, it is crucial to clearly define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for each stage. This ensures that participants can understand and complete the educational content of each stage program. Thirdly, it is appropriate for a maximum of two instructors to collaborate with the organizers in coordinating and delivering the educational content as the program progresses. To assess the capabilities of each participant, it is more effective for one instructor, rather than rotating instructors weekly, to gauge participants' understanding throughout the program. Furthermore, direct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the instructing lecturer and the organizer are essential, as the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tailored differently based on the objectives set by the organizer. Lastly, active support from the institution is necessary to ensure that village recorders can continue their record activities even after the program concludes. At this point, it is advisable for the institution to collaborate by providing support in response to specific requests from village recorders who are taking the initiative in record activities, rather than intervening in the planning stages of these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ll officials, including program planners, instructors, and participants, including those who completed the village recorder training program. Through this,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as foundational research that can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village recorders and provide direction for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