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한국 중년 여성의 Phytochemical Index 수준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국 중년 여성의 Phytochemical Index 수준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hytochemical Index Levels on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Korean Wome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community-based cohort
Authors
이윤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정
Abstract
대사증후군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질환의 원인이며,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로 인한 의료비용 소비가 증가하여 경제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대사증후군의 병인들은 복잡하며 완전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복부비만, 인슐린 저항성, 유전자 특성, 신체 활동 부족, 성별, 노화, 염증성 상태, 호르몬 이상 조절, 인종 등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한다. 특히 여성에서 노화와 폐경 이후에 대사증후군 발병률이 급증하는데 이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체내 지질 대사에 다양한 변화가 생기며,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hytochemical은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지질과 다른 세포들을 보호하는 항산화 역할을 하며, phytochemical이 풍부한 식품 섭취가 증가할수록 만성질환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러한 phytochemical이 풍부한 식품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평가하기 위해 Phytochemical index(PI)가 개발되었다. PI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비만, 복부비만, 고혈압, 염증과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단면연구로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었고,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폐경이라는 변수를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의 PI수준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폐경 상태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자료를 분양 받아 활용하였으며, 40~69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PI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병률을 분석하였다. 평균 관찰기간 10.3년간 추적조사에서 대사증후군 발병은 총 1,062명(41.8%)으로 나타났으며 폐경 전 여성에서는 395명(31.8%), 폐경 후 여성에서는 667명(51.3%)으로 나타났다. 중년 여성 전체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를 cox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교란변수 보정 전 후 모두에서 PI 오분위수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에 유의한 선형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폐경 상태에 따라 층위 분석한 결과 폐경 전 여성에서 교란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PI 오분위수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가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월 소득수준, 신체 활동량, 흡연, 음주, 가족력,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결과 HR 0.713(CI 0.513-0.991, p-trend = 0.016)으로 PI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감소하는 음의 선형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폐경 상태와 PI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에 대해 PI와 폐경 상태 간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상호작용 분석 시 중년 여성 전체의 PI 오분위수 median 값과 폐경여부를 상호작용항으로 적용하였고, 폐경 전과 후를 각각 분석했을 때에는 각각의 PI 오분위수 median값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준이 달라 결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폐경 전 여성에서는 PI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발병이 감소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폐경 후 여성에서는 PI와 대사증후군 발병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노화 및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체내 대사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체내 대사의 변화가 phytochemical을 풍부하게 섭취하는 식사요법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켰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폐경 전 여성에서 phytochemical이 풍부한 식품 섭취를 권장하는 것이 필요하며, 폐경 후 여성에서는 대사증후군 발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여성의 생애주기별 식사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ytochemical index (PI)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examining how menopausal status influences metabolic syndrome risk in middle-aged Korean women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community-based cohort (2001-2018). The analysis included 2,540 women (1,241 premenopausal and 1,299 postmenopausal) after excluding individuals who did not meet the study criteria or had missing data. The PI, tailored to Korean dietary patterns, was derived from six food groups: Whole grain, Vegetables, Legumes, Nuts, Fruits, and Seaweeds, using the KOGES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premenopausal or postmenopausal, and PI was divided into quintiles. Cox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I quintile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age, BMI,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physical activity,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family history, and energy intak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rate of metabolic syndrome was 31.8% in premenopausal women and 51.3% in postmenopausal women, indicating a 1.6-fold higher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For premenopausal wome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higher PI on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emerged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HR 0.713, CI 0.513-0.991, p-trend=0.016), whereas no notable link was found in postmenopausal women. In summary, the study found that increased PI was linked to lower metabolic syndrome incidence in premenopausal Korean women, but this association was not evident in postmenopausal women. This suggest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address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