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 Download: 0

강산제와 동초제 심청가 눈 뜨는 대목 연구

Title
강산제와 동초제 심청가 눈 뜨는 대목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Shimcheongga Eye-Opening Section’ of Kangsanje and Dongchoje : Centered on Singing of Seong Chang-soon and Lee Il-joo
Authors
이소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판소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효주
Abstract
본 논문은 강산제와 동초제의 ‘심청가 눈 뜨는 대목’을 통해 두 유파의 유사성과 상이성,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강산제는 서편제 창시자 박유전의 생애 후기 때 동편제 소리를 수용하며 새롭게 탄생한 유파이고, 동초제는 동편제와 서편제의 여러 명창들로부터 사사받은 소리들을 조합하여 탄생한 유파이다. 그 중 동시대에 활동한 국가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인 강산제의 성창순과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 2호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인 동초제의 이일주의 소리를 통하여 강산제와 동초제 ‘심청가 눈 뜨는 대목’의 사설, 장단 및 붙임새, 선율을 연구하였다. 첫째, ‘심청가 눈 뜨는 대목’ 사설에서 두 유파의 기본적인 내용은 동일하나, 도치 및 어휘의 변형과 사설이 첨가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변화가 존재했다. 강산제는 동일 사설이 50%, 유사 사설이 34.3%, 상이 사설이 15.7% 였으며, 동초제는 동일 사설 28.4%, 유사 사설 28.4%, 상이 사설 43.2%가 나왔다. 이에 강산제는 84.3%, 동초제는 56%로 동일 및 유사 사설이 존재했다. 첨삭된 부분을 제외한다면 두 유파가 근본적인 사설의 틀이 일치한다는 점과 서로 상호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심청가 눈 뜨는 대목’ 장단에서 강산제는 자진모리 장단만이 존재하나, 동초제는 자진모리와 휘모리 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붙임새에서 강산제는 자진모리 총 100장단 중 대마디 대장단은 53%이고 엇붙임이 총 47%로, 밀붙임 4%, 잉어걸이는 2%, 뻗음은 17%, 도섭은 34%가 출현했다. 동초제는 자진모리 116장단과 휘모리 35장단을 합쳐 총 151장단 중 대마디 대장단은 43.7%이고 엇붙임이 총 56.3%로, 밀붙임 6%, 잉어걸이 2.6%, 뻗음 8.6%, 도섭 39.1%가 출현했다. 강산제는 대마디 대장단의 비율이 높았으나, 동초제는 엇붙임의 비율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심청가 눈 뜨는 대목’선율에서 강산제의 성창순 본청은 F 계면조로 구성음 C, E♭, F, G, B♭로 이루어졌다. 동초제의 이일주 본청은 D 계면조로 구성음은 A, C, D, E, G이나, 비교의 편이를 위해 단 3도 높여 채보하였다. 성창순의 음역대는 C~B♭’로 1 옥타브 + 단7도이고, 이일주의 음역대는 C~A♭’이며 1옥타브 + 단6도로 성창순이 단2도 더 높은 음폭을 구사하는 걸 확인했다. 동일 사설의 선율들을 비교한 결과, 강산제의 음역대가 높은 반면, 동초제의 출현음은 다양하며 음의 사용 범위가 넓었다. 선율 진행의 경우 일치하는 것이 12회, 불일치하는 것은 13회 나왔다. 불일치 횟수가 1회 더 많으나 각 마디의 선율 진행을 볼 때 유사한 형식의 선율들이 존재하였고. 이는 선율의 음이 상이하나 진행은 유사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심청가 눈 뜨는 대목’에서 강산제와 동초제의 사설과 선율 진행이 유사했으나, 각기 다른 유파와 창자이므로 장단 및 사설 붙임새와 선율에서 표현되는 음이 상이했다. 동초제가 강산제의 심청가를 일부 수용하였다는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계기로 강산제와 동초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며, 음악적 특징이나 그 외에 다른 연구들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between Gangsanje and Dongchoje, focusing on the "Simcheongga Nunddeuneun Daemok" (Simcheongga's Opening Scene). Gangsanje originated as a new school by embracing the sounds of Dongpyeonje during the later years of its founder, Park Yu-jeon, and Dongchoje emerged by combining various sounds received from many famous singers in both Dongpyeonje and Seopyeonje.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Simcheongga Nunddeuneun Daemok" of Gangsanje's Sung Chang-soon, a holder of the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Korea for Pansori Simcheongga, and Dongchoje's Lee Il-joo, a holder of the 2n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llabuk-do for Pansori Simcheongga, to analyze their annotations, rhythm and meter, appendages, and melodies. Firstly, in the annotations of "Simcheongga Nunddeuneun Daemok," the basic content of both schools was found to be similar, but various forms of transformation existed due to variations in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as well as added annotations. For Gangsanje, identical annotations constituted 50%, similar annotations 34.3%, and different annotations 15.7%. On the other hand, Dongchoje showed 28.4% identical annotations, 28.4% similar annotations, and 43.2% different annotations. Excluding the corrected parts, both schools had fundamental similarities in annotations, indicating mutual influence. Secondly, in the rhythm and meter of "Simcheongga Nunddeuneun Daemok," Gangsanje consisted only of Jajinmori, whereas Dongchoje included both Jajinmori and Hwimori. In the appendages, Gangsanje had 100 Jajinmori, with 53% being Daemadi Daemok and 47% consisting of Eotbuk, Milbuk (4%), Ineogeorri (2%), Nopum (17%), and Doseop (34%). Dongchoje combined 116 Jajinmori and 35 Hwimori, with 43.7% being Daemadi Daemok and 56.3% consisting of Eotbuk, Milbuk (6%), Ineogeorri (2.6%), Nopum (8.6%), and Doseop (39.1%). Gangsanje had a higher proportion of Daemadi Daemok, while Dongchoje had a higher proportion of Eotbuk. Thirdly, in the melody of "Simcheongga Nunddeuneun Daemok," Gangsanje's Sung Chang-soon's original pitch was composed in F major, with the notes C, E♭, F, G, and B♭. Dongchoje's Lee Il-joo's original pitch was in D major, with the notes A, C, D, E, and G. When transposed up by three semitones for comparison, Sung Chang-soon's vocal range was C to B♭', spanning 1 octave and a minor 7th, while Lee Il-joo's vocal range was C to A♭', spanning 1 octave and a major 6th. Although the number of discrepancies in melody progression was one more in Dongchoje, a close examination revealed similar patterns in the melody progression of each phrase. Despite the different pitches, similar melodic structures were present.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nnotations and melodic progressions in the "Simcheongga Nunddeuneun Daemok" of Gangsanje and Dongchoje are similar, but the expression of sound in terms of rhythm and meter, annotations, and melodies differs due to their distinct schools and singing styles. Dongchoje appears to have adopted some elements from Gangsanje's Simcheongga. This research serves a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Gangsanje and Dongchoje, and it is hoped that various studies on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nd other aspect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