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 Download: 0

박동실제 심청가 중 '심청이 인당수 빠지는 대목' 연구

Title
박동실제 심청가 중 '심청이 인당수 빠지는 대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cene ‘Simcheong Falling into Indangsu’ in Parkdongsilje Simcheongga : -Focusing on the music’s of Kim Sohee, Han Aesoon, Jang Woljoongsun-
Authors
김경헌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박동실제 심청가, 심청이 인당수 빠지는 대목, 김소희, 한애순, 장월중선, 서편제 심청가, 고제(古制)소리, 박동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박동실제 심청가>는 현존하는 심청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서편제 심청가이다. 본 연구는 박동실의 제자인 김소희, 한애순, 장월중선의 심청가의 눈대목에 해당하는 ‘심청이 인당수 빠지는 대목’을 분석하여 세 창자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는 사설, 붙임새, 선율 및 시김새와 창법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은 김소희, 한애순, 장월중선 모두 흡사하였다. 사설에 김소희의 휘모리 도섭이 새롭게 짜여진 점과 창자별 사설의 확대와 축소된 점을 감안하더라도 사설적 측면에서는 매우 유사하였다. 둘째, 붙임새는 크게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으로 양분되었으며 도섭은 이보형과 이규호의 이론에 따라 붙임새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엇붙임은 개별적 유형과 복합적 유형으로 재구분되었다. 개별적 유형은 2박 밀붙임, 3박 밀붙임, 당겨붙임, 잉어걸이, 완자걸이, 교대죽, 주서붙임, 뻗음으로 총 8개의 유형이 출현하였다. 복합적 유형은 엇붙임의 종류 가운데 두 가지 이상의 형태가 결합된 유형이며 ① 2박 밀붙임 + 주서붙임, ② 2박 밀붙임 + 당겨붙임, ③ 2박 밀붙임 + 완자걸이, ④ 2박 밀붙임 + 뻗음, ⑤ 3박 밀붙임 + 주서붙임, ⑥ 3박 밀붙임 + 뻗음, ⑦ 4박 밀붙임 + 뻗음, ⑧ 잉어걸이 + 주서붙임, ⑨ 잉어걸이 + 완자걸이, ⑩ 주서붙임 + 당겨붙임, ⑪ 주서붙임 + 뻗음, ⑫ 뻗음 + 주서붙임, ⑬ 잉어걸이 + 완자걸이 + 주서붙임, ⑭ 2박 밀붙임 + 주서붙임 + 당겨붙임 + 완자걸이로 총 14개의 유형이 출현하였다. 대마디 대장단은 김소희가 21.2%, 한애순이 26%, 장월중선이 19%로 세 창자 가운데 한애순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엇붙임은 개별적 유형과 복합적 유형을 통틀어 김소희가 70.1%, 한애순이 73%, 장월중선이 77.7%로 장월중선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세 창자의 붙임새를 비교한 결과 31%가 동일하고 36%가 유사하며 33%가 상이하였다. 셋째, 선율 및 시김새와 창법에서 김소희의 출현음은 f, c’, c’#, d’, d’#, e’, f’, f’#, g’, g’#, a’, b’♭, b’, c”, c”#, d”, d”#, e”, f”로 19개의 음이 출현하였고 f에서 f”까지 3옥타브에 걸쳐 세 창자 가운데 음역을 가장 넓게 사용하였으며 중중모리에 우조를 배치시켰고 휘모리의 도섭을 새롭게 작창하였다. 또한 대표적으로 ‘잘게 떠는 목’, ‘밀어 올리는 목’, ‘겹구르는 목’, ‘발음 더하는 목’을 사용하여 꿋꿋하고 분명한 성음을 구사하였고 사설 전달이 명료하였다. 한애순의 출현음은 f, g, a, c’, d’, e’, f’, f’#, g’, g’#, a’, b’♭, b’, c”, c”#, d”로 16개의 음이 출현하였고 출현음의 최고 음정이 d”로 세 창자 가운데 음역이 다소 낮으며 대표적으로‘굵게 떠는 목’, ‘끊어내는 목’, ‘굴려서 감는 목’, ‘띄워 떠는 목’을 사용하여 계면 성음의 특징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묵직한 저음과 성량의 강약 조절을 적극 활용하였다. 장월중선의 출현음은 f, g, a, c’, d’, e’, f’, f’#, g’, g’#, a‘ , b’, c”, d”, e”로 15개의 음이 출현하였고 음역은 김소희에 비하여 낮았고 한애순에 비하여 높았다. 또한 호흡이 가장 길어 지속음을 다음 장단까지 길게 뻗어낸 점과 대표적으로 ‘흘러 내리는 목’, ‘옆 누름목’, ‘물결치는 목’의 사용으로 가늘고 부드러운 곡선적인 성음을 구사하였다. 이상으로 세 창자의 선율 및 시김새와 창법의 분석 결과 중중모리의 경우 72.5%가 유사하였으며 27.5%가 상이하였다. 휘모리는 60%가 유사하였고 40%가 상이하였다. 동일한 선율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선율의 전체 유사율은 71%이며 상이율은 29%이고 시김새와 창법은 세 창자 모두 상이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정립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소희는 박동실의 심청가에 강산제 심청가와 본인의 음악적 작가성을 더하여 김소희식 심청가로 변모시켰다. 한애순은 심청가를 박동실에게만 사사하였고 본인의 사사 배경과 활동 무대가 지역적으로 동일한 점을 근거로 들어 세 창자 가운데 비교적 박동실의 원류를 있는 그대로 가장 잘 간직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장월중선은 박동실의 심청가가 고제(古制)라는 틀에서만 머물지 않도록 다음 세대에 소리를 전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더 나아가 박동실제 심청가의 보존뿐만 아니라 전승과 발전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고대한다. ;Parkdongsilje is the oldest existing version of “Simcheongga” in the Seopyeonje.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key scene, “Simcheong Falling into Indangsu,” as performed by Park Dongsil’s disciples, Kim So-hee, Han Ae-soon, and Jang Wol-joong-sun. It is categorized into Saseol (narrative lyrics), Buchimsae (rhythmic patterns), Melody, Sigimsae (expressive delivery), and Changbeop (singing style), and progresses as follows. Firstly, Saseol in the performances of Kim So-hee, Han Ae-soon, and Jang Wol-joong-sun were quite similar. Even considering Kim So-hee's newly composed Hwimori doseop in her narrative lyrics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each performer's Saseol, the overall narrative aspect was very alike. Secondly, Buchimsae was mainly divided into two types: Daemadi daejangdan and Eotbuchim. Doseop was not included in Buchimsae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Yi Bo-hyeong and Yi Gyu-ho. Moreover, Eotbuchim was further categorized into individual and composite types, with eight individual types including 2-beat Milbuchim, 3-beat Milbuchim, Danggyeobuchim, Ingeogeoli, Wanjageoli, Gyodaejuk, Juseobuchim, and Ppeoteum. The composite types in Eotbuchim combine two or more forms. These types combine multiple rhythmic forms, resulting in 14 distinct combinations: ① 2-beat Milbuchim + Juseobuchim, ② 2-beat Milbuchim + Danggyeobuchim, ③ 2-beat Milbuchim + Wanjageoli, ④ 2-beat Milbuchim + Ppeoteum, ⑤ 3-beat Milbuchim + Juseobuchim, ⑥ 3-beat Milbuchim + Ppeoteum, ⑦ 4-beat Milbuchim + Ppeoteum, ⑧ Ingeogeoli + Juseobuchim, ⑨ Ingeogeoli + Wanjageoli, ⑩ Juseobuchim + Danggyeobuchim, ⑪ Juseobuchim + Ppeoteum, ⑫ Ppeoteum + Juseobuchim, ⑬ Ingeogeoli + Wanjageoli + Juseobuchim, and ⑭ 2-beat Milbuchim + Juseobuchim + Danggyeobuchim + Wanjageoli. The use of Daemadi daejangdan rhythmic pattern varied among the performers: Kim So-hee utilized it 21.2% of the time, Han Ae-soon 26%, and Jang Wol-joong-sun 19%, making Han Ae-soon the most frequent user of this pattern. For Eotbuchim, incorporating both individual and composite types, Kim So-hee used it 70.1%, Han Ae-soon 73%, and Jang Wol-joong-sun 77.7%, with Jang Wol-joong-sun using it most. The comparison of Buchimsae among the three performers showed 31% similarity, 36% partial similarity, and 33% difference. Thirdly, in Melody, Sigimsae, and Changbeop, Kim So-hee's vocal range in the performance includes 19 specific pitches: f, c’, c’#, d’, d’#, e’, f’, f’#, g’, g’#, a’, b’♭, b’, c”, c”#, d”, d”#, e”, and f”. She used the widest vocal range among the three performers, spanning three octaves from f to f”. She placed the right key in Jungjungmori and innovatively composed Hwimori doseop. Her singing style was marked by techniques such as “finely trembling voice,” “pushing voice,” “rolling voice,” and “enhancing pronunciation,” resulting in a strong and clear vocal expression and clear delivery of the narrative. Han Ae-soon's vocal range consisted of 16 pitches: f, g, a, c’, d’, e’, f’, f’#, g’, g’#, a’, b♭, b’, c”, c”#, and d”. Her highest note was d”, which is comparatively lower among the three performers. She prominently used techniques like “robustly trembling voice,” “cutting voice,” “rolling voice,” and “floating voice,” clearly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gyemyeon (deep, rich, and resonant) voice quality. She actively utilized heavy bass tones and dynamic control of volume in her performance. Jang Wol-joong-sun's performance featured a vocal range of 15 notes: f, g, a, c’, d’, e’, f’, f’#, g’, g’#, a’, b’, c”, d”, and e”. Her range was lower than Kim So-hee's but higher than Han Ae-soon's. She was noted for having the longest breath control, extending sustained notes into the next rhythmic cycle. Her signature techniques included “flowing voice,” “side-pressing voice,” and “wave-like voice,” all contributing to a slender and smooth, curvilinear vocal quality. In the analysis of Melody, Sigimsae, and Changbeop of the three performer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rhythm of Jungjungmori, 72.5% were similar and 27.5% were different. For Hwimori, 60% were similar and 40% were different. No identical melodies were observed. Therefore, the overall similarity rate for melodies was 71.%, and the difference rate was 29%. Sigimsae and Changbeop were distinct for each of the three performers.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Kim So-hee transformed Park Dong-sil's version of Simcheongga by integrating her own musical creativity and the Kangsanje, thus developing her unique style of Simcheongga. Han Ae-soon, having learned only from Park Dong-sil and sharing similar regional background and performance stages, is considered to have best preserved Park Dongsil's original style. Jang Wol-joong-sun contributed to passing down Park Dong-sil's Simcheongga to the next generation, ensuring it was not confined to the old traditions. Based on this study, the hope is to not only preserve Parkdongsilje Simcheongga but also to actively promote its transmission and further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