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 Download: 0

류형선 작곡 아쟁 협주곡 <부활> 독주선율 분석

Title
류형선 작곡 아쟁 협주곡 <부활> 독주선율 분석
Other Titles
Ajaeng Concerto composed by Ryu Hyung-seon Solo melody analysis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류형선 작곡가의 아쟁 협주곡 <부활>의 독주 아쟁 선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아쟁 협주곡 <부활>은 2015년 5월 30일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토요명품공연에서 초연되었으며, 작곡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의 음악 및 작품세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악곡 구조는 소아쟁과 대아쟁으로 단락을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두 개의 단락에서 더 자세히 연구하기 위해 세부 형식으로 나누고 제시된 조현법을 적용하여 왜 두 대의 아쟁이 사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작품에 출현한 연주 기법을 살펴보았고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인 기법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위와 같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사람이 두 대의 아쟁으로 연주한 아쟁 협주곡<부활>의 악곡 구조는 단일조성(c minor)으로 산조 아쟁이 등장하는 1악장, CadenzaⅠ, 3악장과 12현 대아쟁이 등장하는 2악장, CadenzaⅡ로 구분하였다. 산조 아쟁이 등장하는 1악장은 주선율이 아닌 테마틱 멜로디(주제선율)로 선율이 제 시되어있다. 곡을 이끌어가는 선율보다 특정 주제를 대표하는 선율로 반복적인 리듬과 선율이 나타났다. 관현악 도입구 – 리듬적인 요소 A부분 – 선율적인 요소 B부분으로 구분하였으며, 템포는 ♩=122로 박자는 4/4에서 2/4 두 가지로 변화하여 나타났다. CadenzaⅠ은 Tempo rubato로 제시되어있으며, 박자는 4/4로 1악장과 동일하고 나타냄 말에 ‘풍류가락’으로 제시되었다. 3악장은 1악장을 재현하는 악장으로 전환구 – B – A로 구분하였으며, 전환구를 사용하여 A와 B의 순서가 바뀌어 나타난다. 템포는 ♩=122에서 ♩=128로 빨라지며, 박자는 1악장과 동일하다. 12현 대아쟁이 등장하는 2악장은 전환구 – C부분으로 구분하였으며, 템포는 ♩.=70 에 박자는 12/8로 진행되었으며, 관현악과 12현 대아쟁이 서로 주고받으며 연주하는 노래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CadenzaⅡ는 작곡가에게 직접 받은 악보로 총 15마디로 구성되어있다. 템포는 Tempo rubato에서 ♩=120으로 빨라지며, 박자는 12/8에서 15/8, 6/4, 4/4로 네 가지의 박자 변화가 나타나고‘적막하게’라는 나타냄말이 제시되어있다. 둘째, 아쟁 협주곡 <부활>의 선율 및 리듬을 분석하였다. 산조 아쟁이 등장하는 1악장, CadenzaⅠ, 3악장의 분석부터 알아보았다. 1악장 A부분은 리듬적인 요소가 나타나는 부분으로 반복적인 리듬 패턴과 불규칙적인 악센트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는 전래동요의 선율을 모티브로 전통적인 느낌과 반복적인 선율, 급격한 반음 하행 선율이 등장하며 역동성을 보여주었다. CadenzaⅠ은 넓은 도약 진행과 상행 하행 선율을 진행하며 1악장과 2악장의 연결구 역할을 하였으며, 3악장은 1악장을 재현하여 전환구, B, A로 구분하고 마지막에 코데타로 이루어져 있다. 선율과 리듬 분석 후 앞서 제시된 악장들에서 산조 아쟁이 사용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주 기법 측면에서 살펴보면 1악장과 3악장에서는 중음 주법, CadenzaⅠ에서는 ‘풍류가락’을 연주하고 추성과 농현을 사용하여 연주되며, 중음 주법은 민첩하게 움직이고 ‘풍류가락’을 연주하기에는 좀 더 크기가 작고 전통적인 음향효과를 낼 수 있는 산조 아쟁이 연주하기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조현법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중으로 줄을 눌러내는 A♭과 D가 등장하지만 출현 횟수는 미비하여 제시된 조현법 그대로 적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연주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12현 대아쟁이 나오는 2악장, CadenzaⅡ의 분석에 대해 알아보았다. 2악장의 전환구는 가야금의 시작으로 대금, 피리가 독주 아쟁 선율을 먼저 제시하고 C부분은 반복되는 선율과 주제 악상, 주제 악상의 변형으로 여운을 주며 서정적으로 연주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adenzaⅡ는 주제 악상의 확대와 반복적인 선율이 상행 하행 선율 진행을 반복하고 아치형 선율 구조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제시된 악장들에서 12현 대아쟁이 사용된 이유에 대해 논하겠다. 먼저 조현법 측면에서 살펴보면 산조 아쟁과 비교하여 12현 대아쟁은 악기가 크고 줄의 두께가 굵어 서정적이고 묵직함, 웅장함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며 제시된 조현법을 적용하여 개방현으로 줄을 누르지 않고 안정적인 연주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분석한 결과 연주에 있어서 g/G의 출현 횟수는 미비하지만 도약이 많고 빨라지는 속도 변화에 민첩하게 연주하기에 다소 불편한 점이 발생하여 a♭/A♭을 g/G로 조현법을 바꾸어서 연주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아쟁 협주곡 <부활>에서 등장하는 연주 기법을 분석하였다. 공통으로 사용된 연주 기법과 산조 아쟁, 대아쟁 각각의 연주 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악곡에 활용된 연주 기법은 가장 기본적인 아르코, 피치카토, 스타카토 등 여러 연주 기법이 사용되었다. 산조 아쟁은 중음 주법과 트레몰로, 농현 추성 등 전통적인 기법과 서양 연주 기법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현대음악 속에 전통성을 표현하였으며, 제시된 조현법을 산조 아쟁에 적용하였을 때 두 줄을 동시에 눌러 중음 주법으로 연주하는 마디가 있지만 출현하는 횟수가 미비하고 농현과 추성 전통 음악적 표현을 하기 위해 산조 아쟁으로 제시된 조현법을 적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대아쟁은 동시 주법과 양손 피치카토 등 연주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높은 음역과 한 옥타브가 차이가 나는 음을 동시에 연주하기엔 12현 대아쟁으로 연주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제시된 조현법은 a♭/A♭음으로 제시가 되어있지만, d♭와 g를 연속적으로 눌러 연주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어 g/G로 조율하는게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위와 같이 분석한 결과, 아쟁 협주곡 <부활>은 두 대의 아쟁으로 연주되는 국악 창작곡이지만 중음 주법과 양손 피치카토 등 다양한 연주 기법을 활용하여 아쟁이라는 악기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는 곡이다. 또한 다른 연주곡에 비해 많은 악기편성으로 구성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선율과 리듬을 당김음으로 불규칙적인 리듬 패턴을 보여주며 곡의 웅장함, 풍성한 음색, 리드미컬함을 잘 표현한 곡이다. 전통 악기의 산조 아쟁과 개량된 12현 대아쟁의 조화, 한정적인 아쟁의 음역대가 한계를 넘어섬을 보여주는 곡으로 국악의 무한한 발전성을 보여주는 작품이 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아쟁 협주곡 <부활>의 연주를 준비하는 연주자들이 이 작품을 연주함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음악적 어휘를 아쟁을 통해 보여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또한 <부활>이라는 작품을 발판으로 더 많은 아쟁 협주곡의 발전이 도래하기를 기대해본다.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Ajaeng concerto by composer Ryu Hyeong Seon for Ajaeng solo piece. The concerto of was premiered on May 30, 2015, at the National Gugak Ceneter’s orchestra for Saturday’s masterpiece, with an interview with the composer provided an insight into the composer’s musical and artistic world. The composition’s structure was observed diving it into small and large Ajaeng and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ng into specific sections with suggested playing techniques to determine why two Ajaengs were used. The performance techniques utilized in the piece were observed while discovering how traditional and modern techniques were used.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dual concerto of composition performed by two ajaeng consist of sing key (C Minor), and is divided into 1st Mov, Cadenza I, which features Sanjo Ajaeng, with third and 2nd Mov, Cadenza Ⅱ with 12 – string Daeajaeng. The 1st Mov featuring the Sanjo Ajaeng is divided into orchestral introduction – rhythmic element A – melodic element B with tempo ♩=122, two variation were shown from 4/4 to 2/4. Cadenza I is presented as Temp rubato with the beat of 4/4 which is same as the 1st Mov shown as ‘Pungryu melody’. 3rd Mov, serving as a recapitulation of the 1st Mov, is divided into transition section B – A, and ends with a codetta. The transition section uses reversal in the order of A and B with B presented first. The temp increases from ♩=122 to ♩=128 and the beat remains the same as the 1st Mov. The 2nd Mov featuring 12- string Daeajaeng is divided into a transition phrase – C, with the tempo of♩.=70 and beat of 12/8. The interplay between orchestral instruments and the 12- string Daeajaeng created a song – like structure. Cadenza Ⅱ consists of a total of 15 measures and it was obtained directly from the composer . Cadenza Ⅱconsists of 15 measures, Tempo changes Tempo rubato to ♩=120. There are four changes in beats progressing from 12/8 to 15/8, 6/4, and 4/4 with expression “silently”. Secondly, the melody and rhythm of the Ajaeng concerto “Resurrection” were analyzed The analysis began with the examination of the 1st Mov, Cadenza I, 3rd Mov, where the Sanjo Ajaeng is featured. The melody in the 1st Mov Section A features rhythmic elements with repetitive rhythmic pattern and irregular accents where as section B uses traditional folk song as a motif to create traditional repetitive melodies, and abrupt descending intervals with dynamism. Cadenza I progress with wide leaps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melody which serves as a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1st and 2nd Mov. The 3rd Mov is a recapitulation of the 1st Mov, divided into a transition B, and A, and consists of a codetta at the end. After analyzing the melody and rhythm, the reason for usage in Sanjo Ajaeng in the previously mentioned sections were observed. Frist,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technique. In the 1st and 3rd Mov using middle note technique, Cadenza I ‘pungnyu melody’ with using chuseong and nonghyeon. The middle note technique requires agility, and it is judged that smaller size and traditional sound effect of the Sanjo Ajaeng was suitable to play ‘pungnyu melody’. From the standpoint of the suggested tuning, the appearance of A♭ and D involves pressing strings twice, bu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minimal, therefore that playing by the suggested tuning method would be helpful. Next, analyzing the 2nd Mov, Cadenza II featuring the 12 -string Daejaeng. The 2nd Mov transition section starts with the introduction of Gayageum, Daegeum, and Piri along with Ajaeng with repeated C section played lyrically, giving a lingering feeling through repeated melody, theme music, and variations. Cadenza Ⅱ reveals an expansion of theme and repetitive melodic progressions with ascending and descending lines with an arch – shaped melodic structure. The Mov presented above explicitly the reason 12 – string Daeajaeng was used for this piec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uning method. The comparison between Sanjo Ajaeng, 12 – string Daeajaeng is bigger with thicker strings, deemed more suitable for expressing lyricism, solidity, and grandeur. Applying the suggested tuning method allows for stable performance without pressing the strings with open strings. However, the result revealed that while the occurrence of g/G is minimal with the frequent leaps and rapid changes in speed with agile performance creates a discomfort in playing, therefore it was judged to alter the tuning method from a♭/A♭ to g/G. Thirdly, the techniques that was used in Ajaeng concerto were analyzed. The common performance technique and specific techniques for Sanjo ajaeng and Daeajaeng were considered. The fundamental techniques like arco, pizzicato, and staccato were utilized in this composition were used in the comparison. The Sanjo Ajaeng incorporates, middle – note plying, tremolo, nonghyun and chuseong to express the tradition in the modern piece by blending Western playing techniques, while applying the suggested tuning method to Sanjo Ajaeng , although there are instances where two strings are pressed simultaneously to perform middle-pitch play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minimal and expressing nonghyun, chuseong in terms of traditional musical seemed appropriate to apply the tuning method for the Sanjo Ajaeng. The Daeajaeng utilizes both two – hand pzizzicato In order to play High registered notes and one octave note simultaneously 12- string Daeajaeng deemed appropriate. Although proper tuning method is a♭/A♭, playing d♭ and g simultaneously generates difficulty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tune to g/G. The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jaeng concerto is a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performed with two Ajaengs, however, the song shows multiple attempts to break away from the limitation using two – handed pizzicato and various playing techniques it goes beyond the limitation of Ajaeng instrument. Furthermore, despite not being composed with an extensive orchestration compared to other musical pieces, it exhibits irregular rhythmic pattern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repeated melodies and rhythms. Along with the harmony of Traditional instruments like Ajaeng and 12 – string Daeajaeng, the stands as a testament to the infinite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is paper, it is hoped that performers preparing Ajaeng concerto will be able to demonstrate a more diverse musical vocabulary through the Ajaeng. Furthermore, development of Ajaeng concerto building on top of the foundation laid by will be exp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