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 Download: 0

Program Annotation

Title
Program Annotation
Authors
김명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희
Abstract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 프로그램 중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과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작품을 분석한 연구이다. 헨델은 18세기의 대표적인 바로크 시대 작곡가로 관현악곡, 실내악곡, 오페라, 오리토리오등의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남겼다. 그는 영국에서 오페라《리날도(Rinaldo)》의 성공 이후, 영국에 머무르며 ‘영어 오라토리오(English Oratorio)’라는 장르를 만들었다. 헨델의 오라토리오는 이탈리아 오라토리오와는 달리 ‘합창’을 사용하며 이야기의 서술을 진행한다. 1738년부터 1751년까지 헨델은 총 27곡의 종교적이고 극적인 주제를 가진 영어 오라토리오들을 작곡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헨델의 오라토리오〈삼손(Samson)〉은 구약성서 사사기 16장에 나오는 삼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3막 3장에 등장하는 소프라노 솔로 아리아〈빛나는 세라핌(Let the Bright Seraphim)〉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다 카포(Da Capo)형식으로 트럼펫 솔로 오블리가토를 포함한다. 트럼펫과 피아노 반주부, 성악 성부는 대위법적으로 서로 모방하며 다양한 음향적 효과를 제시하는 동시에 가사를 강조한다. 또한, 주요 단어들에서 멜리스마를 이용하여 워드 페인팅 기법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18세기 바로크 성악 음악의 대표적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슈만은 19세기 대표적 낭만주의 시대 작곡가로서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를 이어 ‘독일 예술 가곡(Lied)’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40년에 작곡된《리더크라이스(Liederkreis), Op. 39》는 시인 요세프 폰 아이헨도르프(Joseph von Eichendorff, 1788-1857)의 시 중에서 슈만이 직접 고른 12개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12개의 곡들 중 〈침묵(Die Stille)〉,〈아름다운 낯선 곳(Schöne Fremde)〉,〈낯선 곳에서(In der Fremde)〉,〈땅거미(Zwielicht)〉,〈봄 밤(Frühlingsnacht)〉을 분석하였다. 시인 아이헨도르프는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동경하고 중세를 이상화하는 자연-낭만주의를 추구하였다. 또한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시각심상과 청각심상을 모두 이용해 시를 창작하였다. 슈만은 이러한 시적 심상들을 음악으로 나타내기 위해 그의 낭만주의 대표적 작곡기법인 V로 향하는 감7화음, 잦은 3도 관계의 전조와 지속음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는 ‘시와 음악의 일치’를 추구하였는데 이를 위해 조성적 대비, 리듬의 분할, 동형진행의 변화와 반복 등으로 나타내었다. 또, 성악 작품에서 화음 반주에 그쳤던 피아노의 역할이 슈만의 가곡에서는 성악 성부와 동등한 위치로 발전하였다. 이는 성악 성부 주제 선율의 모방, 변화 화음과 반음계의 사용 그리고 후주에서의 여러 번의 종지 등으로 표현되었다. 슈만은《리더크라이스, Op. 39》라는 가곡모음집을 통하여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부의 동등성을 추구하고 시와 음악의 일치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슈만은 낭만주의 서정시와 음악 사이의 조화를 추구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This thesis is a program annotation of author's graduate recital program. In this thesis, the author has analyzed two main stages of the recital program which are from ≪Samson, HWV 57≫ by 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and ≪Liederkreis, Op. 39≫ by Robert Schumann (1810-1856). Händel is a composer representing the 18th century Baroque era and he left behind works such as orchestral music, chamber music, opera and oratorio. After the success of his opera 《Rinaldo》in England, Händel stayed in England and created a genre called 'English Oratorio'. His Oratorio contains an element called 'Choir' that is rarely found in Italy Baroque Opera.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glish Oratorio by narrating a story. From 1738 to 1751, Handel composed 27 dramatic oratorios with religious themes. Händel's Oratorio ≪Samson, HWV 57≫ is based on the story of Samson in Chapter 16 of Book of Judges from Old Testament. In this thesis, The Soprano solo Aria called from Act 3, Scene 3 is analyzed. This work includes a trumpet solo obbligato in Da Capo Aria form. The trumpet, piano accompaniment and vocal parts imitate each other contrapuntally, presenting various sound effects and emphasizing the lyrics at the same time. Additionally, the word painting technique is characteristically demonstrated using melisma in the key word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fi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18th century Baroque vocal music. As a representative Romantic era's composer of the 19th century, Schumann followed Schubert (Franz Schubert, 1797-1828)'s legacy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German Lieder. ≪Liederkreis, Op.39≫, composed in 1840, is a work composed based on 12 poems personally selected by Schumann among the poems by poet Eichendorff (Joseph von Eichendorff, 1788-1857). In this thesis, the author analayzed , , , and out of 12 songs. Eichendorff, who pursued Nature-Romanticism by escaping reality and longing for nature and idealizing the Medieval Ages, wrote poetry using both visual and auditory imagery to express this. To express these poetic images through music, Schumann used a diminished seventh chord toward dominant chord, frequent mediant key relationship modulations, and pedal points as musical devices. In addition, Schumann pursued unity between poetry and music and used tonal contrast, division of rhythm, and change and repetition of sequence progression as poetic content changed. Also, to show the equivalence relation between voice and piano accompaniment, the imitation of the theme melody of voice, use of transitional chords and chromatic scales and several cadences in the postlude appear in the song. Schumann pursed equality between the voice and the piano accompaniment and showed the unity of poetry and music through a collection of songs called 《Liederkreis, Op. 39》.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Schumann pursed harmony between Romantic-Era lyric poetry and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