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 Download: 0

회심곡 비교 연구

Title
회심곡 비교 연구
Authors
조영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회심곡,하룡남,이춘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효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Ha Rong-nam's "Buddhist Prayer Music (Bulgajo hoesimgok)," which is a model for the current Gyeonggi folk song "Yeombul hoesimgok," and the curren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7, "Buddhist Eternal Music (Bulgajo hoesimgok)," by its creator Lee Chun-he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biographies and published recordings of the two composer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ir editorials, paragraph composition, emergent sounds, same-similar melody types, common cadence types, and variation melody types, focusing on Ha Rong-nam's Buddhist Prayer Music: Yeombul hoesimgok.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divided the texts of "Buddhist Prayer Music: Yeombul hoesimgok" and "Buddhist Music for Eternal Life: Bulgajo hoesimgok" according to their themes and contents, and found that they consisted of seven paragraphs in total. Paragraph 1 is the introduction that begins with determination, paragraph 2 is the content of the blessing, paragraph 3 is the content of the chorus (A), and both lyrics are about living a long life without illness for one hundred years. Paragraph 4 is a story that only appears in Ha Rong-nam, and it has a doctrinal content. Paragraph 5 is a story that only appears in Lee Chun-hee and is about conception and birth, and paragraph 6 is a story that only appears in Lee Chun-hee and is about education and parental mercy. Paragraph 7 is the refrain (B), which has the same content as the refrain (A) but is sung with a longer note. Chorus (B) was omitted by Ha Rong-nam. Second, to divide the paragraphs of Buddhist music, the unit of the first beat was set to 12/8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pheasant, and Ha Rong-nam was identified as 12 paragraphs and Lee Chun-hee as 27 paragraphs. Looking at the paragraphs of Ha Rong-nam and Lee Chun-hee, they both have an irregular rhythmic pattern with a predominance of 3/4 time and some 2/4 time. However, in some paragraphs, the dominant and minor beats are variations. Third, for the musical comparison of the two Buddhist music, the researcher transcribed the Buddhist music from the two sources and transposed Lee Chun-hee's melody to Ha Rong-nam's range by transposing it down a fifth. In the melodic comparison analysis, Ha Rong-nam's has a total of nine notes: A♭, B♭, d♭, e♭, f , g♭, a♭, b♭, d♭'. Lee Chun-hee's Eternal Buddhist Music: Bulgajo hoesimgok has A♭, B♭, d♭, e♭, f, g♭, a♭, b♭, d♭′, and e♭′, one more note than Haeryong-nam, for a total of 10 not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ents and musical organization of Ha Rong-nam's reveal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lodic structur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 this paper focuses on Ha Rong-nam's and derives the narrative and melodic features of Lee Chun-hee's .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editorials share a single-minded devotion and a blessing, and Ha Rong-nam includes an additional paragraph on Buddhist doctrine. At the same time, Lee Chun-hee omits the doctrine and adds a paragraph on conception and birth and a paragraph emphasizing the benefits of education and parental grace. The researcher found that Ha Rong-nam and Lee Chun-hee have similar melodies and rhythms. However, Lee Chun-hee's "Buddhist Music of Eternal Life (Bulgajo hoesimgok)" uses higher-pitched ornamental sounds and expands the range of emerging sounds. Under the influence of Ha Rong-nam's , a monk, it was transformed and expanded into the sound of a personal folk song expert and is currently sung as the current Gyeonggi folk song . The researcher looks forward to further research on this type of Buddhist prayer music.;본 논문은 현행 경기민요<불가조 회심곡>의 모본(模本)이라 할 수 있는 하룡남의 <염불 회심곡>을 현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되어 있는 보유자 이춘희의 <불가조 회심곡>과 비교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두 창자별 생애와 발매 음반을 검토하고 하룡남의 <염불 회심곡>을 중심으로 두 창자의 사설과 단락 구성, 출현음, 동일·유사 선율 유형, 공통 종지 유형, 변청 선율 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염불 회심곡>과 <불가조 회심곡>의 사설을 주제 및 내용에 따라 나누었으며 총 7단락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제1단락은 일심정념으로 시작되는 도입부분이고 제2단락은 축원의 내용이며 제3단락은 반복사설(A)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두 사설 모두 백세동안 무병장수 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4단락은 하룡남에게서만 나타나는 사설로 교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5단락은 이춘희에게서만 나타나는 사설로 잉태·탄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6단락은 이춘희에게서만 나타나는 사설로 양육·부모은공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7단락은 반복사설(B)로 반복사설(A)와 사설의 내용은 같으나 음의 길이를 길게 내어 부르는 차이가 있다. 반복사설(B)는 하룡남에게서는 생략되었다. 둘째, 회심곡의 단락을 나누기 위해 꽹가리 도입가락을 근거로 첫 박자의 단위를 12/8로 설정하여 구분하면 하룡남은 12단락으로 이춘희는 27단락으로 확인되었다. 하룡남과 이춘희의 단락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3분박이 우세하고 2분박이 일부 출현하는 불규칙한 박자 형태를 보인다. 하지만 일부 단락에서는 출현박과 소박의 변형이 이루어져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두 회심곡의 음악적 비교를 위해 두 창자의 회심곡을 실음으로 채보한 후 이춘희의 선율을 하룡남의 음역으로 증5도 아래 이조하여 통일하였다. 선율 비교분석에서 하룡남 <염불 회심곡>의 출현음은 A♭, B♭, d♭, e♭, f , g♭, a♭, b♭, d♭’ 으로 총 9개의 음이 출현한다. 이춘희의 <불가조 회심곡>의 출현음은 A♭, B♭, d♭, e♭, f, g♭, a♭, b♭, d♭′, e♭′으로 하룡남보다 한 음 더 많아 총 10개의 음이 출현한다. 출현음과 음조직을 하룡남의 <염불 회심곡>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선율구조에서 공통점과 상이점을 발견하였다. 하룡남의 <염불 회심곡>을 중심으로 이춘희의 <불가조 회심곡>선율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① 하룡남 창 <염불 회심곡>의 음형들이 확장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②공통되는 종지형을 찾아볼 수 있는 반면, 내드름 선율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③각 음의 역할이 하룡남 창 <염불 회심곡>보다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특히 [B♭]. [e♭], [f]가 반종지음으로써 사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④하룡남 창 <염불 회심곡>에서 단 한 번 등장하였던 [d♭′]이 주요하게 사용되는 데에 더하여 그보다 한 음 위의 [e♭′]까지 등장하며 음역대의 폭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⑤하룡남 창 <염불 회심곡>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f-a♭-f], [b♭-d♭′-b♭], [d♭′-e♭′-d♭′]의 시김새 음 진행이 출현한다. 본 논문은 <염불 회심곡>과 <불가조 회심곡>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룡남의 염불 회심곡을 중심으로 이춘희의 불가조 회심곡 사설 및 선율 특징을 도출하였다. 사설에서는 일심정념과 축원의 내용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하룡남에서는 불교 교리에 대한 단락이 나타났으나 이춘희에서는 교리에 대한 내용은 생략되고 잉태·탄생 단락과 양육·부모은공의 효를 강조하는 단락이 추가되는 것을 파악하였다. 하룡남과 이춘희 두 곡 모두 선율과 박자가 유사하나 이춘희의 <불가조 회심곡>에서 고음의 장식음을 사용하며 출현음의 폭이 확장되며 기교적인 면을 확인하였다. 탁발승이었던 하룡남의 <염불 회심곡>의 영향을 받아 민간의 전문 소리꾼의 소리로 변모하고 확장되어 현재까지 현행 경기민요 <불가조 회심곡>으로 가창되고 있다. 앞으로도 <회심곡>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