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 Download: 0

新羅 統一期 漢州에서의 물자 운송과 그 성격

Title
新羅 統一期 漢州에서의 물자 운송과 그 성격
Other Titles
Character of the Transportation of Goods in Hanju(漢州) during the Unified Period of Silla
Authors
민채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Keywords
신라, 통일신라, 통일기, 한주, 삼국통일전쟁, 물자운송, 덕물도, 평양성, 관부, 선부, 창부, 선리명문와, 조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영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新羅 統一期 漢州에서의 물자 운송과 그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관련 문헌 사료와 물질 자료를 중심으로 통일기 물자 운송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신라의 한강 水運 활용은 한강 일대의 장악과 관련이 깊다. 한주는 三國統一戰爭 중 삼국의 격전지로 자리매김했던 곳이다. 따라서 신라 중앙이 한주 지역의 물자 운송을 관할해가는 과정을 살피는 작업은, 신라 통일기 사회·경제의 새로운 단면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삼국통일전쟁 중 신라는 한주 지역의 수운을 활용하여 보급품을 수송하였다. 太宗武烈王 7년(660)에 신라군은 唐의 蘇定方을 만나기 위해 德物島로 향하였다. 신라군은 對百濟戰에 앞서 唐軍에게 충분한 물자를 보급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梨浦 일대에서 물자를 실어 덕물도로 향하였다. 이후 文武王 원년(661)에 소정방은 平壤으로 軍糧을 수송해줄 것을 신라에 요청했다. 신라군은 陸運과 수운을 활용하여 군량을 날랐다. 주로 육운을 이용하였으며, 수운은 七重河에서 이용하였다. 이처럼 7세기 신라군은 대량의 물자를 나를 수 있는 기술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신라군은 전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운송 방식을 택해 물자를 운송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운송과 관련된 신라의 관부는 船府와 倉部가 있다. 眞平王 5년(583)에 兵部의 屬司로 船府署가 설치되었다. 이후 문무왕 18년(687)에 선부가 分置되었다. 선부는 배와 관련된 일을 맡던 관부이다. 선부는 삼국통일전쟁 중에는 수군을 관할했으며, 전쟁 이후에는 수운과 관련된 업무를 맡았다. 다음으로 창부는 眞德王 5년(651)에 分置된 기구로, 관원의 확충 양상이 나타난다. 신라는 7세기 이후 縣 단위 이상의 행정단위에 지방 창고를 설치했다. 신라 중앙이 지방에 창고를 설치한 것은 국가 주도하에 물자 운송 체제를 정비했음을 보여준다. 船里 銘文瓦는 日帝時期 乙丑年 大洪水(1925) 때 발견된 기와로, 한주의 지명이 새겨져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명문을 검토한 결과 해당 군현 모두 인근에 유수를 두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선가가 기와를 사용할 만큼의 위계를 가진 공간이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선가는 군현에서 생산한 기와가 운송된 곳이기는 했지만, 기와의 최종 소비지는 아니었다. 즉, 군현에서 생산하여 운송된 기와를 선가의 건물을 올리는 데 사용하지는 않던 것으로 파악된다. 신라는 통일 이후 삼국통일전쟁 때와 같이 많은 民을 동원할 필요가 없어졌다. 따라서 신라 중앙은 民에게 軍役을 지게 하는 대신, 지역 간 물자 운송에 民을 이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물자의 운송과 관련하여 선가의 성격은 ①선착장, ②조선소, ③驛으로 확인된다. 선가를 지나는 배는 시기상 물자를 나르는 漕運船이었다. 또한, 선가는 거점으로서 창고 등의 제반 시설이 마련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蟹口는 ‘해구의 선가’로 해석된다. 해구에 배가 정박함에 따라 이곳의 유통 경제가 활성화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신라 통일기 한주에서의 물자 운송과 그 성격을 다루었다. 그 결과 신라 한주에서의 물자 운송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7세기 신라는 전쟁 중이었기에 한주를 파악할 여력이 없었으며, 물자 운송의 주목적은 군량의 수송이었다. 반면, 8세기 이후에는 한주 내 각 군현에서 물자가 이동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신라 통일기 한주에 국영 선가가 존재했다는 점은, 신라 중앙이 지방의 물자 운송에 관심을 두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transportation of goods and its characteristics in Hanju(漢州) during the unified period of Silla. In particular, the focus on transportation of goods is driven by its ability to reflect a segment of society during that time. Throughout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illa relied on both land and water transportation in Hanju to transport essential supplies. In the year 660, Silla forces set course for Deokmuldo Island(德物島) to meet Sojeongbang(蘇定方). Before launching an attack on Baekje, the Silla forces required ample supplies for the Tang. Consequently, they loaded provisions onto Yipo(梨浦) and sailed for Deokmuldo Island. In 661, Sojeongbang requested Silla to transport provisions to Pyongyang(平壤), and Silla forces utilized transportation means to fulfill this request. Silla's government departments associated with the transportation of goods were Seonbu(船府) and Changbu(倉部). Seonbu presumably managed ship-related affairs, implying responsibility for transportation via ships. Following the transport of supplies, suitable storage facilities were necessary. During the Goryeo period, waterborne transportation(漕運) was accompanied by the establishment of Jochang(漕倉). The installation of local storage in Silla after the 7th centur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waterborne transportation. The presence of Seonri roof tiles(船里 銘文瓦) with inscriptions provides data suggesting the plausibility of waterborne transportation in Hanju during Silla's unified period. Counties and prefectures in Hanju manufactured roof tiles and transported them via waterborne means. Examining the nam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on these roof tiles, alongside nearby streams, confirmed that each had a main watercourse and tributary rivers. Regarding the function of Seonga(船家), firstly, it oversaw the dock. According to the recovered inscriptions, Seonga was government-operated, therefore closely linked to national finances. Secondly, it functioned as a shipyard situated near the river, where residents constructed ships essential for waterborne transportation. Thirdly, Seonga acted as a postal station(驛), serving as a pivotal point leading to various destinations.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counties and prefectures transported supplies in Hanju primarily through water transport via the Han River. The location of Haegu(蟹口) is perceived as a port near Godeokcheon Stream(高德川), suggesting its capacity to accommodate large-scale ships. Additionally, the anchoring of transport ships in Hanju would have stimulated the distribution economy. It is evident that the transportation of goods in Hanju varied across different periods. Silla's continuous confrontation with adversaries in the 7th century hinder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anju region. However, post-war, Silla gained greater influence over Hanju, thereby impacting goods transportation from the 8th century onwards. Consequently, Silla began to actively utilize Han River waterborne transportation compared to pre-unification ti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