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 Download: 0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yles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on Undergraduate Students’ Procrastination: The Mediating Rol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uthors
이정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을 통해 지연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8~25세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Parker 등(1979)이 개발하고 송지영(1992)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부모-자녀 결합 척도(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Hewitt과 Flett(1991)이 개발한 척도를 한기연(1993)이 번안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The Hewi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를 권선주(2018)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학생의 우울은 Radloff(1977)가 개발한‘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외(2001)가 번안하고 타당화한 ‘통합적 한국판 CES-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학생의 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Lay(1986)가 개발하고 임성문(2006c)이 번안한 ‘일반적 지연행동(General Procrastination; GP)’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을 통해 구조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팬텀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하여 개별 간접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인 돌봄과 과보호가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매개로 지연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우울을 통해 지연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과보호는 대학생의 우울을 통해 지연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성장기 동안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이 우울을 많이 경험하였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지연행동으로 이어졌다. 반면 어머니의 돌봄이 대학생의 우울을 통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순차적으로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을 매개로 지연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돌봄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았으며, 이는 대학생의 높은 우울 수준 및 높은 지연행동 수준으로 이어졌다. 또한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수준이 높았으며 이는 대학생의 우울 수준을 높여 높은 수준의 지연행동으로 이어졌다. 종합하면,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어머니 과보호는 우울을 통해 지연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인 돌봄과 과보호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우울의 순차적인 매개를 통해 지연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역기능적 행동으로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연행동 중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일반적 지연행동에 주목하였으며, 대학생 지연행동의 발달적 기제로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영향력에 주목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행동인 지연행동을 이해하고 개입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of the maternal parenting style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on undergraduate students’procrastination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63 undergraduate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8 to 25 years old. The maternal parenting style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 Parker et al., 1979),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Song Ji-young (1992). The Hewi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developed by Hewitt and Flett (1991), which was translated and validated by Han ki-yeon(1993), then modified by Kwon Sun-joo (2018) was used to measure participants’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Radloff, 1977), which was translated andvalidated by Chon Kyum-koo et al. (2001) was used to assess participants’depression in this study. To measure procrastination, the General Procrastination Scale (GP; Lay, 1986) was used with this scale translated by Lim Sung-moon (2006c).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6.0 (IBM Co., Armonk, NY) and AMOS 22.0. (IBM Co., Armonk, N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s well as the individual indirect pathways were also confirm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care and overprotection, which are types of maternal parenting styles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undergraduate students’procrastination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cond,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undergraduate students’procrastination through depression.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maternal overprotection throughout childhood,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undergraduates, resulting in higher levels of procrastination among thes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indirect effect of maternal care received during childhood on undergraduate students’ procrastination via depression was insignificant. Lastly, maternal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undergraduate students’ procrastination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sequentially.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maternal care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the higher the level of undergraduate students’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eading to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among these students. Furthermore, the higher the degree of maternal overprotection experienced throughout childhood,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xperienced by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ing in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hich led in higher levels of undergraduate students’procrastin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insights on undergraduate students’general procrastination, one of the dysfunctional behaviors that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when compared to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styles encountered during childhood as a developmental mechanism for students’procrastination. Henc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professionals and support groups seeking to understand and intervene in undergraduate students’procrasti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