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amily Stress Perceived By Mother on Sleep Problems on Preschoolers: The Mediating Role of Pre-Sleep Interactions
Authors
신혜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및 수면 전 상호작용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족스트레스는 McCubbin 등(1979)이 제작한 가족스트레스 척도(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FILE])를 강인(1990)과 전세경(1988)이 번안하고 한국 가족상황에 맞도록 수정한 것에 권아연(1993)이 자녀교육문제, 부모부양 문제를 추가한 척도를 일부 수정해 사용하였다. 수면 전 상호작용은 Alfano 등(2013)이 개발한 부모 자녀 수면 상호작용 척도(The Parent-child Sleep Interactions Scale [PSIS])를 조문주와 이소연(2021)이 번안 및 타당화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조문주와 이소연(2021)의 연구에서 수면 의존은 요인분석 결과 삭제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면 전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번안하여 함께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수면문제는 Owens 등(2000)이 개발한 수면습관질문지(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 [CSHQ])를 이경숙과 박진아(2016)가 타당화한 한국판 아동 수면습관척도(Korean-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 [K-CSH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6.0(IBM Co., Armonk, NY)을 통해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AMOS 22.0(IBM Co., Armonk, N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간접효과가 유의한 경우 팬텀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하여 각 매개변인의 개별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유아의 수면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가족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유아가 수면문제를 더 보였다. 둘째, 간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수면 의존과 수면 갈등을 통해 유아의 수면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가족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어머니와 유아 간 수면 의존과 수면 갈등적 상호작용이 더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의 수면문제로 이어졌다. 반면 수면 강화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와 유아의 수면문제 간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유아의 수면문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수면 의존과 수면 갈등 각각을 통해 유아의 수면문제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와 어머니와 유아 간 수면 전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유아의 수면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문제를 경험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수면 관련 상호작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family stress perceived by mother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pre-sleep interactions. A total of 250 mothers who have child aged 3-5 years. Family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FILE) scale developed by McCubbin et al. (1979), which translated and modified by Kang In (1990) and Jeon, Se-Kyung (1988) to suit Korean family, and modified by Kwon, A-Yeon (1993) to include child education problems and parental support problems. Pre-sleep interac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Parent-child Sleep Interactions Scale (PSIS) developed by Alfano et al. (2013), which was translated and validated by Cho, Moon-Ju and Lee, So-Yeon(2021). Sleep dependence was removed after factor analysis, but in this study, it was translated and measured together by the researcher to explore the overall impact of pre-sleep interactions. Preschooler’s sleep problems were measured using 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 (CSHQ) developed by Owens et al. (2000)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s Sleep Habits Scale (K-CSHQ) validated by Lee, Kyung-Sook and Park, Jin-Ah (2016).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6.0 (IBM Co., Armonk, NY) and AMOS 22.0 (IBM Co., Armonk, N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ss perceived by the mother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Second, family stress perceived by the mother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through sleep dependence Third, family stress perceived by the mother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through sleep conflict. However, family stress perceived by the mother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through sleep reinforcement. In conclus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mother-child pre-sleep interactions on sleep problems in preschool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factors that affect preschooler sleep in Kore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parent education on sleep-related interactions for mothers of preschoolers who experience sleep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