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 Download: 0

메타버스에서의 교류활동과 청소년의 고립감

Title
메타버스에서의 교류활동과 청소년의 고립감
Other Titles
Metaverse and Adolescents' Isolation: Mediating roles of Group Membership and Multiple Group Membership
Authors
김보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Keywords
Metaverse, Isolation, Group membership, Multiple group membership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온라인 공간인 메타버스를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교류활동이 남녀 청소년의 고립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집단소속감 및 다중집단소속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집단소속감과 다중집단소속감이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소속감의 다다익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네이버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사용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200명(남학생 52명, 여학생 148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자기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메타버스에서의 교류활동은 제페토를 배경으로 청소년의 문화 활동 양상을 분석 및 분류한 송원일(2022)의 연구에서 타인과 교류적 특성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활동인 또래 활동, 놀이 활동, 소통 활동을 포함하였다. 집단소속감과 다중집단소속감은 Haslam 등(2008)이 개발한 Exeter 정체성 전환 척도(Exeter Identity Transition Scale)의 하위 척도 두 가지를 원작자의 허가를 받아 한국어로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청소년의 고립감은 Vincenzi와 Grabosky(1987)가 개발한 ‘정서적·사회적 고립 척도 (Emotional/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ESLI])’를 이희영(1997)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형에서의 성차가 확인되어 남녀 청소년 각각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에서의 교류활동이 청소년의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교류활동은 남녀 청소년 모두의 고립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메타버스 교류활동이 집단소속감을 통해 청소년의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교류활동은 집단소속감을 통해 여자 청소년의 고립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남자 청소년의 고립감에 대한 간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즉, 여자 청소년은 메타버스 교류활동을 할수록 집단소속감이 높았으며, 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고립감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교류활동이 다중집단소속감을 통해 청소년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교류활동은 다중집단소속감을 통해 여자 청소년의 고립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남자 청소년의 고립감에 대한 간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즉, 여자 청소년은 메타버스 교류활동을 할수록 다중집단소속감이 높았으며, 다중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고립감은 낮았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의 교류활동이 집단소속감과 다중집단소속감을 통해 청소년의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고, 그 경로에 있어서 성차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집단소속감과 다중집단소속감을 분리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이 청소년 고립감에 미치는 효과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여자 청소년의 경우 개인이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심리적 이점도 증가한다는 다중집단소속감의 다다익선 효과(the more the merrier effect)를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의 고립감과 외로움을 해결, 예방하기 위해 메타버스가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irect effect of activities happening in metaverse, an innovative virtual platforms for social activities, on Korean adolescents’ social/emotional isolation. Also the indirect effect of (multiple)group membership. This research aimed to prove the more the merrier effect of multiple group membership by examining the size of effect and difference between group membership and multiple group membership. A total of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uses Zepeto (48 boys and 152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measures of active engagement of diverse social activities in Zepeto, group membership, multiple group membership and social/emotional iso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solation. Second,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had an indirect effect only on female adolescents’ isolation through group membership. Female adolescents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experienced more group membership, and the more of group membership contributed to higher level of 72 social/emotional isolation. However,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didn’t have indirect effect on social/emotional isolation to male adolescents through group membership. Lastly,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had an indirect effect on isolation through multiple group membership but also only to female adolescents. Contrary to the result of the effect of group membership, female adolescents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experienced more multiple group membership, and the more of multiple group membership contributed to lower level of social/emotional isolation. However, social activities in metaverse did not have indirect effect on social/emotional isolation through multiple group membership to male adolesc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group membership and multiple group membership indirectly influenced female adolescents’ social/ emtional isolation. And by the result it proved the difference in effect of group membership and multiple group membership in indirect paths. Present study explored the outcomes of new social media metaverse. Group membership and multiple group membership found to be the bridge connecting adolescents’ activities in metaverse and social/emtional isolation. The positive effect of multiple group membership is momentous since it supports the more the merrier theory. After pandemic we are facing intensified isolation and lonel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pplying metaverse for social cure and administrations to resolve adolescents’ isolation and loneli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