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 Download: 0

아동의 행복감과 학업 스트레스가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를 통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의 행복감과 학업 스트레스가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를 통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hildren’s Happiness and Academic Stress on Media Addi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uthors
김내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초등학생, 행복감, 학업 스트레스, 집행기능 곤란, 미디어 중독, 성별 차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우리나라 아동이 느끼는 행복감은 높지 않은 반면 학업 스트레스는 매우 크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아동의 미디어 이용 시간과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에 대한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초등학생에게서 미디어 과의존 및 중독과 같은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미디어 중독은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정서적 문제뿐 아니라 불균형적 식습관, 낮은 수면의 질 등 신체적 문제로 이어져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사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이러한 미디어 중독의 위험 속에서도 스마트폰의 보편화 등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미디어기기 사용은 개인화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아동은 학업, 여가, 친교활동 등 일상생활 전반에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미디어 중독 위험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서는 환경을 통제하는 것 외에도 아동 스스로 미디어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자기조절을 수행하는 인지기능으로 알려진 집행기능은 개인의 심리·정서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미디어 중독과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행복감 및 학업 스트레스가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변수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 및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에 해당하는 13세 남아 678명, 여아 653명으로 총 1,331명이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5.0와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과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감은 미디어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 스트레스는 미디어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감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이를 매개하는 다른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업 스트레스를 미디어로 해소하고 있는 아동들을 위해 보다 다양한 해소 창구를 마련하고 동시에 아동들이 다양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행복감 및 학업 스트레스와 미디어 중독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디어 중독 문제를 겪는 아동이 낮은 행복감과 높은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집행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으며, 이들을 위해 지속적으로 행복감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상담 등을 통해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미디어 중독에 대한 치료적 개입과 함께 마음챙김, 신체활동 등 집행기능 곤란의 정도를 낮추기 위한 활동들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행복감과 학업 스트레스가 집행기능 곤란을 매개하여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과 상관없이 낮은 행복감과 높은 학업 스트레스는 집행기능 곤란을 높이고 미디어 중독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이는 남아와 여아 구분할 것 없이 모든 아동의 행복감 및 학업 스트레스, 집행기능 곤란과 미디어 중독에 개입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활용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할 수 있을 것이며, 학업 스트레스 대신 가족 스트레스 등의 다른 스트레스 요인을, 집행기능 곤란 대신 자기조절능력을 변수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호자가 아니라 아동이 직접 미디어 중독에 대해 응답한 내용을 사용하거나 중독되는 미디어의 유형을 나누어 살펴보는 등을 통해 미디어 중독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Happiness among Korean children is not high, while academic stress is very high. Meanwhile Korean children's media usage time and dependence on media devices such as smartphon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media overdependence and addiction are intensify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after COVID-19. However, media addiction is a problem that our society must address because it can lead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physical problems such as unbalanced eating habits and poor sleep quality, hindering children'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Despite the risk of media addiction, the use of media devices in our society has become personalized due to the ubiquity of smartphones, and children are actively using media in all aspects of their lives, including academics,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Therefore, to effectively intervene in children's media addiction risk, it is more important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self-regulate media usage than to focus on controlling the environment. Executive function, a cognitive function associated with self-regulation, is known to be highly influenced by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media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piness and academic stress on media addiction among 6th-grade children who are on the verge of entering upper secondary school. The investigation also sought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is context.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ed for interventions related to each variable. Data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13th year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encompassing a total of 1,331 subjects, including 678 boys and 653 girls, all aged 13 years old and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s SPSS 25.0 and AMOS 22.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each variable. Subsequently,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group differences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was not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media addiction, but academic stress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media addiction. Therefore, further exploration of the impact of happiness on media addiction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other potential mediating factors. Additionally, children who use media as a coping mechanism for academic stress should be offered various outlets and taught different strategies for managing str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cademic stress, and media addi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experiencing media addiction problems also encounte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due to low happiness and high academic stress. Provid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continuous happiness and addressing academic stress through counseling becomes imperative. Moreover, activities like mindfulness and physical exercise, coupled with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media addic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mitigate the severity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ird, the effects of happiness and academic stress on media addiction, mediated by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did not differ by gender. This implies that low happiness and high academic stress increas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the likelihood of media addiction, regardless of gender. Consequently, interventions regarding happiness, academic stres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media addic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all children, irrespective of gender. Further research could enhance the clarific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utilizing longitudinal data. Additionally, incorporating alternative stressors such as family stress instead of academic stress and employing self-regulation as a variable instead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could lead to more diverse research results. Moreover,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media addiction could be attained by considering children's direct responses to media addiction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heir caregivers', or by exploring various forms of media addi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