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

Title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ladaptive daydreaming: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uthors
김주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초기부적응도식, 단절 및 거절도식, 거부민감성, SNS중독경향성, 부적응적 백일몽,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Rejection Sensitivity, SNS Addiction Proneness, Maladaptive daydream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SNS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람은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과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데, 특히 정서적‧정신적‧사회적 독립을 요구받고 대인관계가 확장되는 초기 성인기는 관계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사회적 적응을 꾀하는 시기로서 중요하다. 반면 이 시기에 발달과업 실패를 경험한 개인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사회적 상황으로부터 자발적으로 고립되거나 SNS에 몰입하는 등 부적응적인 대처방식을 취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부적응적 백일몽은 대인간 상호작용을 대체하여 관계를 좁히고,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고립시킴으로써 부적응적인 대처방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부적응적 백일몽의 개념이 생소하며, 충분히 주목받거나 연구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초기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백일몽에 이르는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초기부적응도식의 단절 및 거절도식이 거부민감성과 SNS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를 통하여 부적응적 백일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성인 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단절 및 거절도식, 거부민감성, SNS중독경향성, 부적응적 백일몽 순서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설문에 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살펴보았고, Mplus 8.3을 통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차례로 확인하였다. 또한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아래와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적응적 백일몽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를 SNS중독경향성이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SNS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도식의 수준이 높을 때 부적응적 백일몽을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단절 및 거절도식이 SNS중독경향성을 매개로 할 때 부적응적 백일몽을 경험할 것이라고 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적응적 백일몽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SNS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단절 및 거절도식으로 인해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고 상호작용을 감소시켜 간접적인 의사소통인 SNS에 중독되는 경향성을 보이거나, 상호작용을 대체하는 부적응적 백일몽에 몰입하는 기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거부에 대한 예측과 심리적 불안으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이 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돕고, 고립과 은둔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ual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maladaptive daydreaming. As social beings, humans seek meaning in their lives by interacting with others and the environment, and early adulthood is an important time to develop intimacy and social adaptation through relationships, especially when adults are required to become independent and exp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failures in these developmental tasks can lead to psychological problems, and individuals may cope in maladaptive ways, such as voluntary isolation from social situations or immersion in social media. In particular, maladaptive daydreaming can substitute for interaction, narrow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acerbating interpersonal difficulties. However, the concept of maladaptive daydreaming is unfamiliar in Korea and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and research.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on maladaptive daydreaming among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To this end,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on maladaptive daydreaming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survey of 280 adult males and female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responded to self-report measure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rejection sensitivity, SNS Addiction Proneness, and maladaptive daydream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plus 8.3 for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Finally,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on maladaptive daydreaming were significa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maladaptive daydreaming was positively predicted by rejection sensitiv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maladaptive daydreaming was positively predicted by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maladaptive daydreaming was not significant.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cognitions among college student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NS Addiction Proneness, which in turn increase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maladaptive daydream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s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maladaptive daydreaming. These findings help us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by whic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cognitions and rejection sensitivity lead to avoidance of social situations and reduced interaction, leading to addiction to SNS as an indirect form of communication, or to engagement in maladaptive daydreaming as a substitute for interac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address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interaction flexibility in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teracting due to rejection anticipation and psychological anxiety, and to address isolation and withdraw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