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6 Download: 0

직장 내 괴롭힘과 피해자 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직장 내 괴롭힘과 피해자 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How workplace bullying and victim silence can make you on depress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dvocacy
Authors
김다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직장인 직장 내 괴롭힘, 우울, 침묵, 조직 차원 옹호, 조직 배반, workplace bullying, depression, silence, organizational advocacy, institutional betraya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내 괴롭힘과 우울의 관계에 피해자 침묵과 조직 차원 옹호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된 연구 분야들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전 연구들은 세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피해자의 개인적 요인이나 위험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둘째,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반응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침묵이 가시적으로 확인되기 어렵다는 이유로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지 못했다. 셋째, 직장 내 괴롭힘은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외상 사건이기 때문에 조직의 대처가 피해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요인으로써 조직의 존재감이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피해자 침묵과 조직 차원 옹호의 기초적인 이해를 넓히고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진과 실무자들에게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서 1년 이상 재직 중이며 최근 6개월 이내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 침묵, 조직 차원 옹호, 우울을 측정하는 4가지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300개의 자료 중 최근 6개월 이내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275개의 응답이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되었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의 7번 모델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경험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직장 내 괴롭힘은 우울의 유의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괴롭힘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피해자들의 우울이 증가했다. 둘째, 피해자 침묵은 직장 내 괴롭힘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했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경험이 피해자 침묵으로 이어지는 직접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했으며 피해자 침묵이 우울로 이어지는 직접 경로도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직장 내 괴롭힘이 피해자 침묵을 거쳐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조직 차원 옹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직장 내 괴롭힘이 낮거나 높은 경우 모두 조직 차원 옹호 고집단은 저집단에 비해 피해자 침묵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이 피해자를 옹호한다고 느낄수록 침묵이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자의 예상과는 다르게 조직 차원 옹호 저집단에 비해 고집단에서 직장 내 괴롭힘과 피해자 침묵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특정 직군에 한해서만 활발하게 진행된 직장 내 괴롭힘 연구의 대상을 확장하였고, 그동안 심리학 분야에서 비교적 관심을 받지 못한 ‘침묵’이라는 개념을 직장 내 괴롭힘 연구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 경험과 피해자 침묵, 우울의 관계에서 조직 차원 옹호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은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를 위한 조직의 개입 방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victim silence and organizational advo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depression. In recent years, workplace bullying has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and the need for research has led to a flourishing research field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suffered from three limitations. Firs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victims' personal factors or risk factors; second, silence, which is the most common response to workplace bullying, has gone unnoticed by researcher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visibly. Third, because workplace bullying is a traumatic event that occurs within an organization, the presence of the organization as a protective factor has not been prominent, even though organizational respons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icti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corporate managers and practitioners by expanding the basic understanding of victim silence and organizational advocacy, which have been lacking in empirical research, an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adults aged 20 years and older who have been employed at a Korean company for at least one year and have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within the last six month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using four scales measuring workplace bullying, victim silence, organizational advocacy, and depression. Of the 300 data collected, 275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SPSS PROCESS Macro for those who had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in the past six month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tested using model 7 in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that is, workplace bully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on, and the more victims experienced bullying, the more depressed they were. Second, victim sil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depression. The direct path from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to victim sil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rect path from victim silence to depress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e foun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dvocacy on the pathway from workplace bullying to victim silence to depression: for both low and high levels of workplace bullying, the high organizational advocacy group had lower levels of victim silence than the low group. However,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at silence would decrease with the perception that the organization advocates for victim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victim silence was stronger for the high group than for the low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pands the scope of workplace bullying research, which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occupational groups, and applies the concept of silence, which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psychology, to the study of workplace bullying. In addition, the empirical demonstration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dvo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s and victim silence and depression provides important insights that can be used in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for victims of workplace bully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