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한국사회에서 코스모폴리타니즘은 문화자본인가?

Title
한국사회에서 코스모폴리타니즘은 문화자본인가?
Other Titles
Is Cosmopolitanism A Cultural Capital in Korean Society?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Youth within the Global Public Values
Authors
정한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Cosmopolitanism, Cultural Capital, Korean Society, Youth, Global Public Value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상호의존성과 상호연결성이 증대하면서 나타나는 세계화의 병폐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로 인식되는 세계시민주의, 즉 코스모폴리타니즘이 한국 사회에서도 문화자본으로 작동하는지 발견하고자 한다. 전역적으로 세계시민주의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강조되면서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스모폴리타니즘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조망하며 새로이 생겨난 문화자본의 형태로 바라보는 학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도 본격적으로 세계화 현상에 뛰어들고 난 후로부터 코스모폴리타니즘이 나날이 필수적인 태도이자 가치로서 자리매김하면서 세계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적용하는 정도가 심화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코스모폴리타니즘 체화에 있어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문화자본으로서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역할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중립적이고 합법적인 태도 및 가치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이 한국사회에서도 계급 재생산의 숨겨진 경로로써 활용되는지를 확인하려는 연구 배경과 필요성 아래 수행되었다. 위와 같은 배경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코스모폴리나티즘이 문화자본으로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글로벌 공공가치 실천 장 내에서 종사 경험이 있는 90년대생으로 한정하였으며,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은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상황모형을 거쳐 범주화 및 조직화하여 이론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발견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 코딩 결과, 총 44개의 개념으로부터 23개의 하위범주와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된 범주를 축 코딩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묶어 관계성을 확인하였는데, 인과적 조건으로는 ‘해외문화를 자연스럽게 공유하는 가정환경’과 ‘공공선을 강조하는 가정환경’이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의 경우 ‘공식적 교육’, ‘비공식적 교육’, ‘공동체 경험을 통한 개인의 취향 강화’가 도출되었다. 중심 현상으로는 ‘체화된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 중재적 조건의 경우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의 현실과 이상 간 괴리’와 ‘위치 점유에 있어 한계 자각’이, 그리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지지해주는 가정환경’, ‘원시안적 시선으로 현 상황 재정립’, ‘주변인과 대화를 통한 인정감 제고’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로는 ‘직업적 성취 포부 강화’, ‘직업적 성취 포부 약화’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 코딩의 과정 분석을 통해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의 체화와 발현 과정을 살폈을 때, 총 5단계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가장 먼저 ‘초기 문화자본 체화와 축적 단계’는 연구 참여자가 해외문화를 공유하고 공공선을 강조하는 가정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동시에 가족으로부터 관련한 공식적 교육과 비공식적 교육을 받으며 세계시민주의에 관한 관심을 품게 되는 단계이다. 그다음 단계인 ‘문화자본 강화를 위한 경험 구축’은 연구 참여자가 공동체 경험을 통해 코스모폴리타니즘 문화자본을 강화하는 단계이다.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 체화와 발현 단계’에서는 핵심 단계로 모든 단계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앞서 체화한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을 발현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는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을 더욱 심화시키는 동시에, 직업적 성취 포부를 강하게 품거나 약화하는 단계이다. ‘현실과 이상 간 괴리’ 단계는 연구 참여자가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을 발현하는 과정에서 기대했던 바와 현실에서의 경험 간의 차이로 인해 괴리감을 느끼거나 자신의 한계를 자각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괴리 극복 시도’ 단계는 연구 참여자가 가족과 주변인,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위기를 대처하고 좌절을 극복하고자 하는 단계이다. 해당 단계는 과정 분석의 마지막 단계이긴 하나, 본 단계를 거쳐 연구 참여자는 두 번째 단계인 ‘문화자본 강화를 위한 경험 구축’ 단계나 세 번째 단계인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 체화와 발현’ 단계로 돌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 코딩에서 나타난 핵심 범주는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 형성’이다. 이러한 핵심 범주를 토대로 이야기 윤곽 전개를 진행하였는데, 집단별―국제기구, 공공기관, NGO―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전개하였다. 분석된 범주를 통합하고 정교화하는 과정에서 세계시민주의 태도 및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을 확인하는 동시에 차이점 또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황 모형을 수행한 결과, 핵심 범주에 개인 및 가족 차원, 공동체 차원, 사회 차원이 서로 작용하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차원에 속하는 범주들은 차이를 보였는데, ‘해외문화를 자연스럽게 공유하는 가정환경’, ‘공공선을 강조하는 가정환경’, ‘비공식적 교육’, ‘지지해주는 가정환경’, ‘원시안적 시선으로 현 상황 재정립’의 경우 개인 및 가족 차원에 속하였다. 공동체 차원의 경우 ‘공동체 경험을 통한 개인의 취향 강화’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개인 및 가족 차원과 공동체 차원, 또는 공동체 차원과 사회 차원 모두에 속하는 범주들이 존재했는데, ‘공식적 교육’의 경우 개인 및 가족 차원과 공동체 차원에, ‘자아 및 신념의 흔들림’, ‘위치 점유에 있어 한계 자각’, ‘주변인과 대화를 통한 인정감 제고’의 경우 공동체 차원과 사회 차원 둘 모두에 속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은 부모로부터 전달받은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레 체화한 코스모폴리타니즘은 자라나면서 부모의 경제 자본과 사회 자본, 그리고 코스모폴리타니즘 제공 규모에 따라 체화 정도가 달라졌다. 코스모폴리타니즘을 함양한 연구 참여자는 학교와 또래 집단 내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국제무대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을 강하게 길러냈고, 이는 특수 역량이라 인정받는 코스모폴리타니즘적 역량을 더욱 적극적으로 길러내도록 초래했다. 글로벌 공공가치 실천 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을 체화하고 있어야 했는데, 코스모폴리타니즘 체화의 정도에 따라 장 내 위계에 따른 위치를 점유할 수 있었다. 이때 연구 참여자가 자리한 기관과 코스모폴리타니즘 보유 정도는 마주하는 어려움의 차이를 야기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선택지의 유형은 연구 참여자의 배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앞선 과정들을 겪으며 90년대생은 글로벌 공공가치 실천 장 내에서 더 높은 위치로 나아가고자 하는 진로 포부를 품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때 공공기관과 NGO의 경우 나이와 보수 같은 현실적인 요소가 진로 포부의 강화 또는 약화를 가름 짓는 핵심이 되었다. 이처럼 코스모폴리타니즘은 글로벌 공공가치 장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구별짓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자본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 내부와 외부 또한 구별짓고 있었는데, 연구 참여자는 코스모폴리타니즘 태도 및 가치관을 윤리적 어휘를 활용하여 설명하며 당위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코스모폴리타니즘 소유자를 도덕적 행위자로 위치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를 바라보는 또래 집단 또한 이들의 남다른 탁월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열정적’인 존재, ‘착한’ 존재라 표현하며 도덕적 판단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이 한국 사회에서 문화자본으로 작동하며 계급재생산의 숨겨진 경로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을 체화하고 발현하는 글로벌 공공가치 실천 장 내 90년대생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접근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필요성과 중요성이 나날이 두드러지는 코스모폴리타니즘 체화와 발현 과정에 존재하는 계급 재생산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osmopolitanism, which is considered the key to the ills of the emerging globalization according to growing interdependence and global interconnectivity, works as cultural capital in South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need for and legitimacy of cosmopolitanism is emphasized globally, its importance is reinforced daily. Some scholars, however, view cosmopolitanism from a critical viewpoint and see it as a new form of cultural capital. South Korea also shows a tendency of the intensified emphasis and application of cosmopolitan education as cosmopolitanism has settled down as an essential attitude and value since the nation's full-blown entry into the globalization phenomenon. Considering tha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f individual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internalization of cosmopolitanism, it implies that the role of cosmopolitanism is cultural capital.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background and need to check cosmopolitanism, which was considered a neutral and legal attitude and value through the educational system and has been utilized as a hidden mechanism of class reproduc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t a goal of examining whether cosmopolitanism worked as cultural capital in South Korean society and applied the grounded theory.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people who were born in the 1990s and had experience working in the practice field of global public values. An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Major analysis results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and situation modeling to extract a theor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n coding outcomes extracted 21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from a total of 44 concepts. The researcher grouped the analyzed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of axial coding to check their relationship. The causal conditions are as follows: family environment to naturally share foreign culture naturally and family environment to emphasize public goo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formal education, informal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personal taste through community experience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nternalized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a gap between the reality and ideal of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and realization of limitations with site occupa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upportive family environment, reestablishment of the current situation in a far-sighted viewpoint. and increase of stability through conversations with people around. The outcomes were reinforcement of ambitions for occupational achievements and weakening of ambitions for occupational achievements. Second, the process analysis of axial coding examined the internalization and manifestation process of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and found that the process happened in five stages. In the first stage of internalization and accumulation of initial cultural capital, the research participants grow up in a family environment to share foreign culture and emphasize public good while at the same time, develop interest in cosmopolitanism while receiving related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from their families. In the stage of experiences to reinforce cultural capital, the research participants redinforce their cultural capital of cosmopolitanism through community experiences. The stage of internalization and manifestation of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is the core stage that has direct connections with all of the other stages. For a specific explan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reinforce their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further in the process of manifesting their internalized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simultaneously, they strongly develop or weaken their ambitions for occupational achievements. At the stage of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they feel a gap or realize their limitations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expectations in the process of manifesting their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and their experiences in reality. At the last stage of attempts to overcome the gap, they cope with a crisi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ir families, the surrounding people, and by themselves to try and overcome their frustration. It is the last stage of the process analysis, bu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turn to the second stage of experiences to reinforce cultural capital or the third stage of internalization and manifestation of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via this stage. Third, the core category identified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the formation of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Based on this core category, a story outline was developed with stories reorganized by groups such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ublic agencies, and NGOs.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and sophisticating the analyzed categories, the study foun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to have impacts on the formation of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Finally, the situation modeling results show that the individual and family, community, and social dimensions had impacts on the core category by working on each o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that belonged to each dimension. Family environment to share foreign culture naturally belonged to the individual and family dimension along with family environment to emphasize public good, informal education, supportive family environment, and reestablishment of the current situation in a far-sighted viewpoint. The community dimension included reinforcement of personal taste through community experiences. Some categories belonged both to the individual & family dimension and the community dimension or the community dimension and the social dimension. Formal education belonged to both the individual & family dimension and the community dimension. Shaking ego and faith, realization of limitations with site occupation, and increase of stability through conversations with people around belonged to both the community dimension and social dimension. The findings are arranged as follows: the cosmopolitanism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conveyed from their parents. They naturally internalized cosmopolitanism from a young age. As they grew up, the degree of their internaliz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economic and social capital of their parents and also the scale of cosmopolitanism provided by them.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cultivated cosmopolitanism distinguished themselves in schools and peer groups, strongly developing their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is allowed them to develop their cosmopolitan capabilities, which are recognized as special capabilities, more actively. One should internalize cosmopolitanism to enter the practice field of global public values and can occupy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field according to the internalization degree of cosmopolitanism. The agencie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joined and the degree of cosmopolitanism possession caused differences in the difficulties they faced. The types of options that they chose to overcome them varied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Going through these proces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born in the 1990s showed a tendency to have career ambitions that reached a higher position in the practice field of global public values. At public agencies and NGOs, realistic elements such as age and wages were at the core to determine the reinforcement or weakening of their career ambi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smopolitanism works as cultural capital in that it distinguishes people's positions in the field of global public values. Its distinction extends to both in and outside of the fiel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lained cosmopolitan attitudes and values with ethical vocabulary and granted legitimacy to them accordingly while placing people with cosmopolitanism as moral actors. The peer groups that observe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eir difference in excellence from others, and they made a moral judgment by depicting them as passionate and good beings. These findings show that cosmopolitanism works as cultural capital and a hidden mechanism of class reproduction in South Korean socie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nalization and manifestation of cosmopolitanism in the practice field of global public values where it was internalized and manifest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with participants born in the 1990s and discovered the class reproduction mechanism in the internalization and manifestation process of cosmopolitanism whose need and importance were highlighted daily in South Korean society,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