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재신-
dc.contributor.author심소담-
dc.creator심소담-
dc.date.accessioned2024-02-14T02:50:30Z-
dc.date.available2024-02-14T02:50:3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254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254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1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잘 디자인되어 건축된 주거 공간으로서 한옥이 현대적 생활 양식과 어떻게 융합되어 건강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한옥은 그동안 우리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어 왔으며, 더욱 발전된 형태로, 변화하려는 동력을 가지고 있다. 연구는 다음의 다섯 부문으로 진행되었다. 한국 주거에서는 옛 것(전통 또는 한국식)과 새 것(외국 또는 서양식)이 근대기를 거치면서 급속한 변화를 겪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온돌과 마루, 채와 마당처럼 명확하게 변별되는 전통적 요소가 변함없이 본 모습 그대로 현대 사회에 대응하는 한옥 유형에 대한 이야기들로 구성하여 보았다. 연구의 핵심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은 것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옥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수많은 건강한 한옥들이 현대 주거로 자리잡기를 기대하면서, 이 특화된 한옥의 진화된 미래 모습을 새로이 제시하려고 한다. 1장은 논문의 연구 배경과 목적, 그리고 범위를 설명하였다. 2장의 주목적은 연구의 기본 바탕인 건축 유형과 역사적 한옥 사례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통해서, 진정한 한옥의 진화와 근대적 한옥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시대별 건축의 가치들을 간추려 오늘날 건축 설계의 현실에도 가치가 있고, 유용한 담론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탐구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서 직관적 인지가 함의된 한옥 스키마를 도출했다. 친환경 질서로 주거 변화는 현대적 맥락이다. 한옥 쾌적성에 건축환경 설계로 조절 가능한지 요소들을 특정하고 채택해 가는 과정을 다루었다. 특히 형태적으로 대별되는 두 가지 평면을 분석 함으로써 유형적으로, 평면형태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서울의 도시한옥과 겹집인 전주한옥을 선택하였다. 또한 디자인설계의 핵심인 지붕트러스 구조를 통해 한옥 프로토타입을 표상해 보았다. 4장에서는 친환경 이론의 변화,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대별 전지구화 이슈 및 각각의 지역적 연계고리가 직간접적인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들을 다루었다. 표와 그림, 디자인 설계 코드 도구를 사용하여 3가지 생태적 특성, 생태적 기후, 생태적 문화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설계코드 도구를 실제로 활용해 다양한 방안을 추적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면서 현대 한옥의 디자인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태적 친환경 주거 디자인의 의미가 한국적 정체성과 연관된 특성을 설명하였다. 특히 옛 것과 새로운 현대적 트렌드에 대한 요구, 그리고 새로운 질서를 따른 한옥 스키마의 원형적 시스템 틀, 그리고 한옥 형상 및 한국 생활양식을 풍성하게 담은 한옥 특성의 범주 안에서 6가지 설계제안을 하였다. 추가적으로, 현재 한옥의 물리적 수명, 사회적 수명, 그리고 생태적 수명 요소들이 오래도록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되고,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설계 디자인 개념도 함께 다루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효율성이라는 관점을 통해서 본래 한옥이 갖고 있는 잠재적 우수성을 부각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의 문화 환경에 적절한 실용적 의의를 잘 살피고, 인류의 공통된 관심사와 공적 경험 등에 대한 섬세한 배려의 폭을 넓힐 것을 촉구하고자 한다. 이로써 세상을 보는 안목이 지역적 특성에 제한되지 않고, 전 세계로 펼친다면 오늘날 우리의 현실에 알맞은 지속가능 친환경건축을 하는데 많은 실무적인 도움과 지원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옥은 한국의 고유한 집이다.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보일 수 있는 한국의 고유한 문화유산이다. 한옥은 보편적인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고, 적정화(appropriation)된 ‘보편적 좋음’, 즉 메트리온(metrion)의 잠재력을 내재하고 있다. 한옥에는 한국의 서정적 정체성이 남아 있으며, 서정적 지속가능 디자인(lyrical sustainable design)의 잠재력 또한 담겨 있다. 본 논문은 한옥을 현대 도시의 유형학적 모티브와 21세기 친환경 디자인을 중점으로 삼을 것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글로벌 온난화 문제 대응 및 지속가능 디자인을 위한 방향에 기여하고자 한다.;Today the architectural profession and disciplines are shifting toward a commercial sector rather than designing for the future weather and human comfort as seen in many countries.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the 21st century crisis is a reality, such as the massive climate changes, health problems causing the sick building syndrome and the fragility of the energy situation are requiring greater energy efficiency and comfort level in buildings, particularly in the residential sector. Recently, growing interest in Hanok residents show a greater satisfaction which contributes an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and a trend change to a higher desire for Hanok. The tentative results coming from Hanok village in Seoul suggests a new genre of Hanok that incorporate contemporary and allows for innovation which can be updated to the current needs. Accordingly, Hanok has reconsidered in terms of comfort and well-being in a new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is to develop a proposal for the “Lyrical Sustainable Design” [LSD] for Hanok which employs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sustainable passive design. The process includes the review of various literatures in German criterion and compilation of applicable data for energy modeling using PHPP (Passive House Planning Package) program. Nonetheless, the unique cultural traits of Korean housing society will derive some limitations on the passive design, energy design standard originally developed in Germany, cannot rely on its approach as alone.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criterion suit for Hanok highlights the old and the new housings in response to microclimate settings. Conclusively, LSD will contribute to the scope of a new Hanok and the discipline of Korean architecture. The projection will enrich healthy dwelling environments for Hanok and clarify the implications of the holistic approach to practice for the next generations. This study deals with contemporary global issues, sustainable design, common knowledge bases social norm and understanding principles on eco-engineering solutions for problems. “First we shape our dwellings, then our dwellings shape us” with by meaning, everyday architectural environments really matter the most for all lifestyles. We all learn from a collective learning skill and we reflectively practice in the field. Also, the status quo drives to challenge our current problems. Today,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Hanok captures the essences of ancient traditions and heritages. However, there have neglected Korean everyday modern lifestyles as of today, when Korean modernized established in a hurry at a very high speed. It creates lots of problems in housing construction industry. In searching a way, basic forms of Korean house (Hanok Schema) illustrates originality and Korean identity what it means, unveiling not only the true sustainable substances but implemented in typology, the importance of history in molding our future urban outcomes. With sustainable passive design perspectives, the final resultant will provide a justification on the pre-established form (schema, template) represent the sophisticated thinking and a great deal of contribution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practice collectively and reflectively. This template forms follow a passive house design principles guiding and leading toward a lyrical sustainable design and offer a way of formatting as useful tool that improves on and goes beyond the lim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3 1.2 연구의 목적 4 1.3 연구의 방법 및 범주 7 Ⅱ. 건축 설계에서 건축 유형과 시대가치 21 2.1 건축 설계의 두 가지 접근 방법 21 2.1.1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 26 2.1.2 유형적 접근 방식 31 2.2 21세기 한옥의 건축적 잠재력과 현대적 선호도 36 2.2.1 한옥의 잠재력 37 2.2.2 한옥의 선호도 41 2.2.3 근대화 사례: 북촌과 전주 한옥마을 52 2.3 근대한옥의 두 건축 유형 62 2.3.1 서울의 도시한옥(I) 64 2.3.2 겹집의 전주한옥(II) 66 2.4 21세기의 시대 가치 68 2.4.1 인공의 가치: 모더니스트 건축 68 2.4.2 문화의 가치: 1960년대 구조주의 건축 69 2.4.3 자연의 가치: 생태적 주거 75 2.4.4 환경 조절의 가치: 현대 한옥 유형 78 Ⅲ. 현대한옥 유형의 건축설계 스키마 요소 84 3.1 Order로서 공간 구성 및 공간 배치 4 3.2 건축물의 3분법 구성 Rule 90 3.2.1 기단: 온돌마루 90 3.2.2 축부 그리드: 기둥과 벽 92 3.2.3 지붕 94 3.3 한옥 지붕트러스 구조 연구 95 3.4 도시한옥과 전주한옥: 공간과 평면구성 98 3.5 프로토타입 102 IV. 친환경 모델로서 한옥개발의 시도와 평가 104 4.1 친환경 개념 및 정의 고찰 104 4.1.1 친환경 디자인: Ecological Design 142 4.1.2 친환경 PHPP: 에너지 성능 verification 144 4.1.3 친환경 디자인 패시브하우스: 허슨프로젝트 개요 147 4.2 현대적 친환경 한옥 Design Schema Phase Summary 151 4.3 친환경 디자인 주요 요소 항목 적용(6)사례 154 4.3.1 친환경 한옥(RTH) 1-plan 156 4.3.2 친환경 한옥(RTH) 2-plan 157 4.3.3 친환경 한옥(RTH) 3-plan 158 4.3.4 친환경 한옥(RTH) 4-plan 159 4.3.5 친환경 한옥(RTH) 5-plan 160 4.3.6 친환경 한옥(RTH) 6-plan 161 4.4 소결: 성능 비교 분석 162 V. 결론 및 분석평가 169 5.1 연구 결과 169 5.2 연구의 기여 공헌 170 5.3 연구의 방향 및 한계점 172 참고문헌 173 부록1 190 부록2 191 부록3 192 부록4 193 부록5 194 부록6 195 부록7 196 부록8 197 부록9 198 부록10 199 부록11 200 부록12 201 부록13 202 부록14 203 부록15 204 부록16 205 부록17 206 부록18 207 ABSTRACT 208 ACKNOWLEDGMENT 2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616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친환경 주택, 주거 환경, 한국 건축 한옥 스키마, 듀얼, 한국미 조화와 균형, 실내환경조절 최적화 조율성과 절충성, 친환경 기술 적용 에너지 효율성 최적-
dc.subject.ddc700-
dc.title현대한옥 유형의 건축 설계와 친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한옥의 역사적 고찰과 허슨 패시브 하우스 프로젝트의 비교·검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design methods and analysis of ecological modern Hanok types : focusing on the historical review of Hanok and the comparison and verification of Hudson Passive House project-
dc.creator.othernameShim, Sodahm Suzanne-
dc.format.pagexii,210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