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웹툰(webtoon) 창작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itle
웹툰(webtoon) 창작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btoons creation class program : Focusing on 6th graders
Authors
정희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웹툰, 웹툰 리터러시, 초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웹툰은 웹(web)과 만화(cartoon)의 합성어이며 온라인상에서 유통·소비되는 만화 콘텐츠이다. 오늘날 웹툰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복합미디어로서 일상생활 속에 스며들고 있다. 과거 만화가 그렇듯 초등학생에게 웹툰은 인기 많은 미디어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웹툰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웹툰 리터러시 창작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용 웹툰 리터러시 교육 내용 요소를 체계화하고, ‘창작과 제작’에 초점을 맞춰 6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웹툰 리터러시 교육의 대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6학년 대상의 웹툰 창작 수업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2, 초등학교 6학년 대상의 웹툰 창작 수업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위해 초등학생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영화 리터러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이론과 개념을 분석하여 웹툰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화하였다. 이를 반영한 6학년을 대상으로 15차시 웹툰 창작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주간 수업을 하였다.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을 토대로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그리고 수업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양적, 질적 자료를 수집해 분석하는 통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웹툰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 지식과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웹툰 리터러시 관련 문헌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웹툰 리터러시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수업 차시를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웹툰 리터러시 범주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세 영역으로 나누고 범주에 따른 구성 요소와 세부 활동을 제시하였다. 지식⋅이해는 웹툰의 개념과 특성을 배우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과정⋅기능은 지식⋅이해의 내용 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완성도 있는 웹툰 작품을 생산하거나, 작품을 비판적으로 평가 또는 공감 및 수용하기 위한 과정과 전략을 포함하였다. 가치⋅태도는 감상과 표현 및 창작에서의 가치와 태도를 학습하며 오늘날 중요한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 떠오르는 웹툰에 관한 관심과 함께 비판적 사고와 태도를 신장하도록 활동을 구성하였다. 실행과 평가 단계에서는, 사전·사후 설문지, 학생 활동지, 공학 자료(영상, 녹음), 학생 심층 면담, 교사의 성찰 일지 및 동료 교사와의 협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웹툰 리터러시 역량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련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설문 검사를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웹툰 감상과 비평 능력, 이해와 의사소통, 창작과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져 수업에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셋째, 창작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하였다. 넷째, 모둠원과 협력하여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협동심을 발휘하였다. 다섯째, 학생의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웹툰 문화 형성을 위해 필수적인 인터넷 윤리 의식이 함양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해 실제 적용 가능한 웹툰 창작 수업 프로그램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웹툰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는 수업 개발에 현장 교사들에게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가 웹툰 리터러시와 더불어 궁극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는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연구 결과를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21명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라는 점에서 다양한 학년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개발한 수업 프로그램은 디지털 미디어를 직접 활용하는 수업이기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년별 수준 차이가 수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학년별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프로그램 실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디지털 미디어 기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지역 학교마다 온라인 시스템이나 디지털 기기 보유 현황 등이 달라 표준화된 웹툰 리터러시 교육 실행이 어렵다. 따라서 교내 Wi-Fi 환경을 보완하고 고사양의 디지털 기기를 충분히 보급하는 등 물적 자원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미디어 활용 역량과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발달 시기상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은 웹툰 창작 과정에서 기능적 결함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런 경우,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교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Webtoons are a combination of web and cartoons, and are cartoon contents distributed and consumed online. Today, webtoons are permeating into everyday life as a complex media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ke cartoons in the past, webtoons are becoming a popular medi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ebtoon literacy creative class program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webtoon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alternative to webtoon literacy education by systematizing the content elements of webtoon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and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for 6th graders focusing on 'creation and produc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can a webtoon creative class program for 6th graders be organized? 2, What i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webtoon creation class program for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research questions, webtoon literacy education was systematized by analyzing media literacy, film literacy, and animation literacy theories and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flecting this, a webtoon creative class program was developed for 15 classes for 6th graders and taught for 3 week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lass program,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In the analysis stage,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webtoons were confirmed through a survey.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was analyzed and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webtoon literacy was conducted. Based on this, the content elements of elementary webtoon literacy education were extracted and class lessons were design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category of webtoon literacy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knowledge, understanding, process, function, value,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mponents and detail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ategory were presente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onsisted of activities to lear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webtoons. The process and function included the process and strategy to produce finished webtoons based on a basic understanding of content element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r to critically evaluate, empathize, and accept works. Values and attitudes are designed to learn the values and attitudes in appreciation, expression, and creation, and to increase critical thinking and attitudes along with interest in webtoons that emerge as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industry today. In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student activity papers, engineering materials (video, recording), in-depth student interviews, teacher's reflection diary and consultation data with fellow teachers, and activity resul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webtoon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tests by conducting t-test, webtoon appreciation and criticism ability,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creative and expression ability improved. Second, as the interest in the class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y enjoyed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ird, in the creative process, they demonstrate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urth, in the process of creating works in cooperation with group members, they demonstrated a sense of cooperation. Fifth, it helped students choose their career path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nternet ethics, which is essential for forming a correct webtoon culture, was cultiva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webtoon creative clas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can give implications not only to webtoons, but also to fiel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of classes using various media in the future.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ducation that ultimately increases media literacy along with webtoon literacy, and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First, groups must be carefully formed, taking into account differences in students' drawing skills and story creation levels. When conducting group activities, cooperation among group members is important, so differences in level within the same group may produce synergy effects, but group activities may be delayed due to confli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imple test in advance to determine the tablet PC usage ability and original idea composition ability of all students and to form group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freely use digital media device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tandardized webtoon literacy education because each local school has different online systems and digital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physical resources such as supplementing the on-campus Wi-Fi environment and sufficiently distributing high-end digital devices. Third, continuous education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ability and expertise of teachers to use media.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unfamiliar with digital media devices due to their developmental period face functional defects in the process of creating webtoons.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so the teacher's intervention is essential. Therefore,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ho can solve this problem. Last,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mall number of 21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in various grades. Since the developed class program directly uses digital media, differences in level by grade from 1st to 6th grades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plement specific class programs that can be used by gr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