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 Download: 0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

Title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Economic Ethic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Authors
유지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기독교 세계관,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Identifying the need to teach "economic ethics" in the "morality department" using a "Christian worldview," the action research of this study redesigned the third and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economic ethics curriculum to align with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researcher's Christian school before putting the program into place. NICE's (2015) Big Picture model, a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model, was used to reconstruct the economic ethics unit after analyzing the state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2015 updated curriculum. Furthermore, the economic ethics education reconstructed with a Christian worldview was implemented with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to explore the change in the participating students' economic ethics consciousn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a restructured elementary economic ethics curriculum using the Big Picture model? Second, what are the changes i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class using the restructured Christian economic and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23 to November 2023. First, it analyzed the economic ethics curriculum and previous research. Then, it examined how economic ethics is treated as a learning topic in the Christian curriculum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and the theory of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A Christian redesigned curriculum for elementary economic and ethics educ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ollowing McCutcheon's (2002) curriculum deliberation method, the problems of elementary economic ethics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were examin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build a developmental creed for reconstructing the economic ethic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ristian worldview, the biblical values of Bae (2008), who expanded on the work of Max Weber, were modified, supplemented, and divided into "economic ethics basic consciousness (material consciousness, work consciousness, thrift consciousness)" and "economic ethics practice consciousness (sharing consciousness, creation consciousness)." Based on the subsequently developed creed, the Big Picture model, a Christian curriculum reorganization model by NICE (2015), was applied in the design phase to reorganize the economic ethics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Big Picture model, learning objective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re organized for each period, and a total of 12 periods of Christian primary school economic and ethics education curriculum were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third-grade students at G Christian School in Goyang City, Gyeonggi-do,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pre-and post-test questionnaires, sentence completion tests, class assignments, unstructured interviews, parent questionnaires, and peer teacher feedback to determine students' economic ethics consciousness.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results. First, through this study, students could establish the identity of "stewards" and learn how to practice "sharing consciousness. Afte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students recognized the responsibility of stewardship in carrying out God's cultural mandate and were willing to practice "sharing consciousness" in their daily lives voluntarily. Second, although the content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is not explicitly presented in the morality curriculum, the analysis of 3-4 grade morality textbooks revealed learning elements that could be used for economic ethics education and could be reconstructed into a Big Picture model.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upports the research of Hwang (2017), who mentioned the validity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nd argued that it could be taught about the function or value attitude area of economic education based on the core virtues of ethics, which are "sincerity, caring, justice, and responsibility. Third, the reorganized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economic ethics and the cultivation of Christian competencies, leading to life-changing stewardship. This study implemented a program to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by applying the action learning emphasized in the moral curriculum. This allowed students to develop Christian competencies by experiencing joy and discovering meaning as they engaged in practices that allowed them to internalize Christian economic ethics. Fourth, community collaboration catalyzed students to recognize a sense of sharing as a stewardship responsibility. Since churches, schools, and homes are the optimal environments for students to practice stewardship in real life, community education can be a way to change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organization of economic and ethics education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for all elementary school grades. This study reorganized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grades 3-4 with the Big Picture model. However, there should be a curriculum that can be systematically repeated and deepened from grades 1 to 6 to form desirable economic values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in the elementary school years. Second, economic ethics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is an area that needs further research, so voluntary research by Christian school teachers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cooperative research by Christian schools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economic ethics education with various subjects, emphasizing morality. Economic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in Christian schools but also in public schools, so if economic ethics education is integrated with various subjects with a focus on morality, students will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contexts and contents of subjects surrounding economic ethics, so that they can identify ethical issues and practice them in their lives.;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도덕과’에서 ‘경제윤리’ 교육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여 연구자가 속한 기독교 학교의 교육이념에 부합하도록 초등학교 3-4학년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행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NICE(2015)의 Big Picture 모형을 적용하여 재구성한 기독교 경제윤리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3학년에게 실행한 후 참여 학생들의 경제윤리의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금전만능주의 사회 풍토에서 학생들이 금융자본주의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올바른 경제적 가치관을 형성하여 개인과 국가에 대한 책임 있는 경제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에서 경제윤리교육을 강화해야 하지만, 학교의 경제윤리교육은 경제교육의 부수적인 영역으로 미약하게 다룰 뿐이다. 특히 경제윤리교육은 경제에 대한 가치관 교육이므로 윤리적 문제 해결의 전문 교과인 도덕과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도덕과 교육과정에는 경제윤리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 한편 기독교적 가치를 구현하고자 기독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경제윤리와 관련한 최근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방안을 제시하는 종전의 연구는 성경적 세계관에 부합한 경제윤리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기독교적 가치에 따라 운영하는 사립학교와 대안학교가 많으므로 기독교 학교의 교사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경제윤리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과를 재구성하여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생활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에 관한 탐구는 도덕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하에 초등학교 3-4학년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g Picture 모형으로 재구성된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재구성된 기독교적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3년 3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초등학교 경제윤리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고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경제윤리의식과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을 살펴보았다.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하여 재구성된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 개발절차는 다음과 같다. McCutcheon(2002)의 교육과정 숙의(curriculum deliberation) 방법에 따라 이론적 배경에서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독교 세계관에 따른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한 개발 신조를 구축하기 위해 막스 베버의 연구를 확장한 배점옥(2008)의 성경적 가치관을 수정 및 보완하여 ‘경제윤리 기초의식(물질의식, 직업의식, 절약의식)’과‘경제윤리 실천의식(나눔의식, 창조의식)’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이후 설계 단계에서는 3학년 도덕 4단원과 4학년 도덕 3단원을 NICE(2015)의 Big Picture 모형에 적용하여 총 12차시의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함으로써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G 기독학교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학생들의 경제윤리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교사의 관찰 기록, 수업결과물, 수업 후기, 사전 및 사후 설문, 문장완성검사, 학부모의 사후 설문, 동료 교사의 소견, 비구조적 면담 기록을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ICE(2015)의 Big Picture 모형을 적용하여 기독교적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먼저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하여 학습주제를 탐색하고(Biblical Perspective), 기독교적 역량(Threads)인 ‘왜곡에 대한 도전(challenging distortions)’역량과 ‘정의 추구하기(seeking justice)’역량을 선택하였다. 영속적 이해(Enduring Understanding)는 ‘인간은 돈에 대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관점을 가져야 한다.’, ‘인간은 경제 활동을 통해 근면한 태도와 소득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인간은 청지기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돈을 올바르게 관리해야 한다.’, ‘인간은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책임의식을 갖고 돈을 사용해야 한다.’로 설정하였다. 핵심 질문(Essential Questions)은 ‘돈을 관리하는 청지기에게 어떤 태도가 요구되는가?’, ‘청지기로서 경제적 정의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로 개발하였다. 그 후 경제윤리 기초의식인 ‘물질의식, 직업의식, 절약의식’과 경제윤리 실천의식인 ‘나눔의식, 창조의식’에 해당하는 지식과 기능(Knowledge and Skills)을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단원의 주요 아이디어(Main Idea)를 구성하였다. 이후 Big Picture 모형을 기반으로 차시별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하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학교 3-4학년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기독교적으로 재구성된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경제윤리의식 신장과 기독교적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다. 교육과정 적용 후 학생들은 경제윤리 기초의식인‘물질의식, 직업의식, 절약의식’과 경제윤리 실천의식인 ‘나눔의식, 창조의식’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물질의식을 기반으로 절약의식과 나눔의식이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청지기의 정체성 확립’, ‘근면한 태도의 중요성 인식’, ‘청지기로서 돈을 바르게 관리하는 습관 형성’, ‘자발적 기부 실천을 통한 나눔의식의 내면화’, ‘창조 활동을 통한 즐거움과 성취감 경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Big Picture 모형에서 설정한 기독교적 역량인‘왜곡에 대한 도전’역량과‘정의 추구하기’역량을 함양하게 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청지기’의 정체성을 확립하여‘나눔의식’을 실천하는 삶을 배울 수 있었다. 둘째, 경제윤리교육 내용은 도덕과에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3-4학년 도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경제윤리교육을 할 수 있는 학습요소가 있었고 이를 Big Picture 모형으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참여’와 ‘실천’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경제윤리의식의 신장과 기독교적 역량 함양을 강화하였다. 넷째, ‘공동체의 협력’은 학생들이‘나눔의식’을 청지기의 ‘책임’으로 인식하는 데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도덕과 경제윤리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경제윤리교육 재구성 연구가 필요하다.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체계적으로 반복 및 심화하여 진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있어야 초등학생 시기에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바람직한 경제적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경제윤리교육 재구성은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는 분야이므로 기독교 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자발적인 연구와 기독교 학교의 협력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도덕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와 통합한 경제윤리교육이 필요하다. 기독교 학교뿐만 아니라 공립학교에서도 경제윤리교육은 강화되어야 하므로 도덕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와 통합한 경제윤리교육을 한다면 학생들이 경제윤리를 둘러싼 교과의 다양한 맥락과 내용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삶 속에서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