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 Download: 0

The Role of Top Leadership on Women’s Representation at the Kazakhstan Universities

Title
The Role of Top Leadership on Women’s Representation at the Kazakhstan Universities
Authors
Kassymzhanova, Nazym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urge in female rectors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tanding out in contrast to gender disparities in other Central Asian countries. The study aims to provide more nuanced insights into the driving factors by utilizing diverse sources, including data from the Bureau of National Statistics, journal articles, interviews, university websites, and analysis of the first president's rhetoric. The study was limited by excluding of the impact of advancing women's leadership in academia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tudy applied democratization theory, encompassing quantitativ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qualitative analysis utiliz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1) women’s movement contributes to the better representation of women in rectors’ positions; (2) democratic culture contributes to the better representation of women in rectors’ positions; (3) increase in women’s representation in politics leads to the better representation of women in rectors’ positions. Although many studies propose that democratization encourages positive changes in gender-related issues and supports women's leadership,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move toward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has limited progress in advancing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the women's movement, or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culture. Democratization theory failed to explain the upward trend in female rectors in the RoK. In contrast, information gathered from interviews and reviewing rectors’ biographies suggests a possible link between top leadership and the growing number of female rectors in the HEIs. However, no theory exists that explicitly explains the connection between top leadership and the rise in female rectors.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explaining the increased representation of women in leadership roles within academia. This hypothesis suggests that in countries with comparable political situations, like the Republic of Kazakhstan, the impact of top leadership may significantly influence women's representation in leadership positions with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challenging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barriers, this study contributes a new perspective on women's leadership dynamics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s higher education. This proposed trajectory for future research holds the potential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broader implications of political leadership on gender dynamics within academic institutions, particularly in contexts where a leadership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exists.;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의 성별 차이와 대조적으로 두드러지는 카자흐스탄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관료 급증을 조사합니다. 본 연구는 국가통계국의 자료, 저널 기사, 인터뷰, 대학 웹사이트, 초대 대통령의 수사 분석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더 세부적인 통찰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는 학계에서 여성 리더십의 향상이 대학 교육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함으로써 제한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통계 자료의 정량적 분석과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활용한 정성적 분석을 포괄하는 민주화 이론을 적용했습니다.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개발했습니다. (1) 여성 운동은 여성 총장의 더 나은 대표성에 기여하고, (2) 민주주의 문화는 여성 총장의 더 나은 대표성에 기여하고, (3) 정치에서 여성의 대표성 증가는 총장의 위치에서 여성을 더 잘 대표하는 데 기여합니다. 많은 연구에서 민주화가 성 관련 문제의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고 여성의 리더십을 지원한다고 제안하지만,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민주주의로의 움직임이 여성의 정치적 권한 부여, 여성 운동 또는 민주주의 문화의 발전에 제한적인 진전을 보여주었습니다. 민주화 이론은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여성 총장의 증가 추세를 설명하지 못하였으나, 대조적으로 인터뷰와 총장의 전기를 검토하여 수집된 정보는 최고 지도부와 고등 교육 기관에서 증가하는 여성 총장 수 사이의 가능한 연관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최고 지도부와 여성 총장 수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계 내에서 여성 지도 역동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여성의 대표성 증가를 설명하는 대안적인 가설을 제안합니다. 이 가설은 카자흐스탄 공화국과 같이 유사한 정치적 상황을 가진 국가에서 최고 지도부의 영향이 고등 교육 기관 내에서 여성의 대표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본 연구는 장벽에 중점을 둔 기존 연구에 도전함으로써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고등 교육에서 여성 리더십 역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향후 연구를 위해 제안된 이 연구는 특히 대한민국과 유사한 리더십 구조가 존재하는 맥락에서 학술 기관 내 성별 역학에 대한 정치적 리더십의 광범위한 의미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