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 Download: 0

News Repertoires and Citizen Competence Among South Korean Young Adults

Title
News Repertoires and Citizen Competence Among South Korean Young Adults
Authors
LOR, ZHI EH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News repertoire,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participation, Younga adult, Latent Profile Analysi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지향
Abstract
본 연구는 뉴스 레퍼토리 접근법에 기반해 한국 청년들의 뉴스 이용 패턴을 알아보고, 서로 다른 방식의 뉴스 이용이 시민역량(정치 지식, 정치 참여, 정치 정보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본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한국 내 만 19세부터 35세까지의 청년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설문조사(NT1 = 1,158; NT2 = 700)를 통해 수집했다. 우선 연구자는 청년 뉴스 이용자의 뉴스 플랫폼 레퍼토리와 뉴스 토픽 레퍼토리를 도출함으로써 뉴스 이용 유형을 살펴봤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이용자의 플랫폼 레퍼토리는 1) ‘portal & video’, 2) ‘all but print & radio’, 3) ‘portal & social media’, 4) ‘portal-only’ 등 4가지로 분류됐고, 토픽 레퍼토리는 1) ‘entertainment & crime’, 2) ‘topic omnivores’, 3) ‘hard news & crime’, 4) ‘topic minimalists’ 등 4가지로 분류됐다. 분류된 뉴스 레퍼토리를 기반으로 해당 뉴스 레퍼토리가 이용자의 정치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Manual ML 3단계 접근법을 통해 분석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레퍼토리가 다양한 유형의 정치 지식(객관적 및 주관적 지식)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정치 참여(offline, online, issue-based 및 lifestyle)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또한, 뉴스 레퍼토리와 정치 참여의 관계를 정치 정보 효능감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탐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이 이용하는 뉴스 레퍼토리에 따라 객관적인 정치 지식과 주관적인 정치 지식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portal & video’와 ‘topic omnivores’ 레퍼토리를 바탕으로 뉴스를 이용하는 경우 객관적, 주관적 정치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portal & social media’와 ‘topic minimalists’ 레퍼토리를 지닌 이용자들의 경우 객관적, 주관적 정치 지식이 모두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사람들의 객관적인 정치 지식 수준과 본인의 정치지식 수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가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했다. 어떤 뉴스 이용자들은 객관적인 지식이 높음에도 자신의 정치지식 수준이 높지 않다고 인식했고(‘portal-only’ 및 ‘hard news & crime’ 레퍼토리 이용자), 어떤 이용자들은 객관적으로는 정치 지식 수준이 높지 않음에도 본인은 정치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여겼다(‘all but print & radio’ 레퍼토리 이용자). 본 연구 결과는 뉴스 이용과 정치적 역량 측면에서 봤을 때 서로 대비되는 유형의 청년 시민 그룹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첫 번째 유형은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만 정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이들인데, 예를 들어 ’all but print & radio’, ‘portal & social media’ 레퍼토리를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이들이다. 반면, 두 번째 유형은 높은 정치적 지식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에 열심히 참여하지 않는 이들로 주로 ‘portal & video’, ‘portal-only’, ‘topic omnivores’ 및 ‘hard news & crime’ 레퍼토리에 바탕해 뉴스를 이용한다. 이 결과는 높은 정치 지식 수준이 꼭 높은 정치 참여로 이어지지는 않음을 보여줘, 정치지식과 정치참여 간에 단절된 지점이 있음을 암시한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d the comprehensive landscape of news consumption of young adults, focusing explicitly on news platforms and news topic repertoire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pecific news repertoires and various dimensions of political competencies, namely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Data was collected via a two-wave online survey among South Korean young adults aged 19 to 35 (NT1 = 1,158; NT2 = 700).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platform and topic repertoires among young adults. Findings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news platform repertoires: 1) portal & video, 2) all but print & radio, 3) portal & social media, and 4) portal-only. In addition, four news topic repertoires emerged from the analysis: 1) entertainment & crime, 2) topic omnivores, 3) hard news & crime, and 4) topic minimalists. Based on these identified news repertoires, the study extended its inquiry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distinct types of news repertoires and their corresponding impacts on dimensions of political competence. Using the Manual ML Three-Steps Approach,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having particular news repertoires is more efficacious in gaining distinct types of political knowledge (objective and subjective) and in encouraging varying mod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fline, online, issue-based, and lifestyle). The research also explored the role of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in mediating these relationships. The study reveals varying level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political knowledge among young adults, influenced by their specific news repertoires. Among identified news repertoires, “portal & video” and “topic omnivores”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political knowledge. Conversely, “portal & social media” and “topic minimalist” were reported to have lower levels of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political knowledge. The study also reveals instances where individuals’ objective political knowledge doesn’t align with their subjective understanding. This includes cases where people with high objective knowledge perceive themselves as being less informed (“portal-only” and “hard news & crime”), and those with limited objective knowledge consider themselves being well-informed (“all but print & radio”). Moreover, the study’s findings show two distinct young citizenry groups based on their political competencies, each influenced differently by their respective news repertoires regarding political knowledge, engagement, and information efficacy. Though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the first group tends to be less informed about politics. This group comprises young adults who engage with news through “all but print & radio” and “portal & social media” repertoires. Conversely, despite possessing substantial political knowledge, the second group displays limite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group is characterized by young adults predominantly engaging with “portal & video,” “portal-only,” “topic omnivore,” and “hard news & crime” repertoires. This divergence underscores a disconnect between the levels of political knowledge and actual participation in political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