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5 Download: 0

A Learner Corpus Study of Preposition Stranding and Pied-Piping in Wh-Relative Clauses by Korean EFL Learners

Title
A Learner Corpus Study of Preposition Stranding and Pied-Piping in Wh-Relative Clauses by Korean EFL Learners
Other Titles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wh-관계절에 나타난 전치사 좌초와 동반이동 현상에 대한 학습자 코퍼스 기반 연구
Authors
고건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Preposition stranding, pied-piping, wh-relative clauses, Korean EFL learner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아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s preposition stranding (PS) and pied-piping (PiP) in English wh-relative clauses (wh-RCs) used by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through a learner corpus analysis. Preposition placement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the fields of first language (L1) acquisition, second language (L2) acquisition, English education, and corpus linguistics, as well as in English grammar and syntax. L2 studies on preposition placement have mainly been experimental studies, and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ere has yet to be a corpus-based study on this topic for Korean EFL learners. Thus,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use of preposition placement i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specifically in wh-RCs, utilizing the TOEFL11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11) corpus. In English wh-RCs, both PS and PiP constructions are generally permitted despite several constraints discussed in Huddleston and Pullum (2002), Quirk et al. (1985), etc. The choice between PS and PiP constructions i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Among a number of fa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i) syntac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s, (ii) seman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s, and (iii) restrictiveness of wh-RCs. First, the syntac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s indicates the distinction between complements and adjuncts in prepositional phrases following the criteria from Radford (1988). Second, the seman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s considers the contrast between bound and free prepositions mentioned in Biber et al. (1999). Third, the restrictiveness of the wh-RC distinguishes between the restrictive and nonrestrictive wh-RCs in the PS and PiP structur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thesi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ich of the two structures, PS or PiP, is more frequently used by Korean EFL learners in their writing? Second, do the distributions of PS, PiP, null-prep, and doubling vary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level of Korean EFL learners, and what are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e last two structures? Third, do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i) syntac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s, (ii) seman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s, and (iii) restrictiveness of wh-RCs—influence the selection between PS and PiP by Korean EFL learner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component of the TOEFL11 corpus. In addition, the lower-intermediate (LI) and upper-intermediate (UI) level subcorpora were exclusively selected to investigate preposition placement, null-prep, and doubling based on Korean EFL learners' proficiency levels. The native speaker corpus used in this study is the Louvain Corpus of Native English Essays (LOCNES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FL learners used PS structures more commonly than PiP structures (60% versus 40%), whereas native English speakers predominantly used PiP over PS constructions (95% versus 5%). Second, PS structures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PiP structures in the LI-level subcorpus, and null-prep was commonly detected in both subcorpora, especially more frequently in the LI-level subcorpus. Doubling was observed at a very low rate in both subcorpora. Lastly, only the seman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oice between PS and PiP by Korean EFL learners. For native English speakers, the syntac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s and the semantic dependency between verbs and preposi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preposition placement. Neither the learner nor the native speaker group was affected by the restrictiveness of wh-RCs. These findings show evidence that Korean EFL learners do not adhere to the expected sequence of acquisition proposed by the Markedness Hypothesis, in which PiP was predicted to be acquired before PS. The learners in this study also displayed the interlanguage stage of null-prep when using structures of preposition placement, irrespective of their L2 proficiency levels.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e necessity for revising textbooks on preposition placement and incorporating instructions on register differences (formal versus informal situations). This is crucial considering the extensive use of PS among Korean EFL learners, often without reflecting stylistic or adjunct/complement difference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wh-관계절에서의 전치사 좌초 구조와 동반이동 구조 사용 양상을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문어 코퍼스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영어 전치사 배치는 영문법, 통사론 뿐만 아니라 제1언어습득, 제2언어습득, 영어교육, 코퍼스언어학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어 온 주제이다. 영어 전치사 배치에 관한 제2언어 연구는 주로 실험적 연구였으며,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코퍼스 기반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코퍼스 중 TOEFL11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전치사 배치의 사용 양상을 영어 wh-관계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 wh-관계절에서 일반적으로 전치사 좌초 구문과 동반이동 구문이 모두 허용된다. 그러나 Huddleston and Pullum(2002), Quirk et al.(1985) 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제약 조건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전치사 좌초와 동반이동 구문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 중 (i) 동사와 전치사구 간의 통사적 의존성, (ii) 동사와 전치사 간의 의미적 의존성, (iii) wh-관계절의 제한성이라는 세 가지 요인에 초점을 둔다. 첫째, 동사와 전치사구 간의 통사적 의존성은 Radford(1988)의 기준에 따른 보어와 부가어의 구별과 관계 있다. 둘째, 동사와 전치사 간의 의미적 의존성은 Biber et al.(1999)에서 언급된 의존 전치사와 자유 전치사 간의 대조를 뜻한다. 셋째, wh-관계절의 제한성은 제한적 관계절과 비제한적 관계절의 구분을 가리킨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글쓰기에서 전치사 좌초와 동반이동 중 어떤 구조를 더 자주 사용하는가?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전치사 좌초, 동반이동, 전치사 탈락, 전치사 중첩의 분포가 달라지는가? 셋째, (i) 동사와 전치사구 간의 통사적 의존성, (ii) 동사와 전치사 간의 의미적 의존성, (iii) wh-관계절의 제한성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전치사 좌초와 동반이동 구문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TOEFL11 코퍼스에서 한국인 학습자 부문만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중 중하급(lower-intermediate, LI) 수준과 중상급(upper-intermediate, UI) 수준의 하위 코퍼스만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원어민 코퍼스는 LOCNESS(Louvain Corpus of Native English Essays)이다. 코퍼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동반이동 구조보다 전치사 좌초 구조를 더 많이 사용한 반면(60% 대 40%), 영어 원어민들은 전치사 좌초 구조보다 동반이동 구조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95% 대 5%). 둘째, 전치사 좌초 구조는 중하급 하위 코퍼스에서 동반이동 구조보다 더 자주 사용되었고, 전치사 탈락 오류는 중하급과 중상급 두 하위 코퍼스 모두에서 흔히 발견되었으며 특히 중하급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전치사 중첩 오류는 두 하위 코퍼스에서 모두 매우 낮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전치사 좌초와 동반이동 선택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동사와 전치사 간의 의미적 의존성 뿐이었다. 영어 원어민들의 경우에는 동사와 전치사구 간의 통사적 의존성과 동사와 전치사 간의 의미적 의존성이 전치사 배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학습자 그룹과 원어민 그룹 모두 wh-관계절의 제한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유표성 가설에 따르면 제1언어습득과 제2언어습득에서 전치사 좌초보다 동반이동 구조를 더 먼저 습득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유표성 가설에서 제안된 습득 순서를 따르지 않았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중간언어 단계에서 영어 능숙도와 관계 없이 전치사 탈락 현상이 관측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격식적/비격식적 문체의 특성 및 보어/부가어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전치사 좌초를 많이 사용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어 교재에서 전치사 좌초와 동반이동 현상에 대한 내용을 보다 충실히 서술하고 문체 특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