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 Download: 0

Writing Cultural Anxieties onto Grotesque Bodies

Title
Writing Cultural Anxieties onto Grotesque Bodies
Other Titles
그로테스크한 몸에 나타난 문화적 불안 읽기: 팀 버튼의 『슬리피 할로우』(1999)와 『가위손』(1990)을 중심으로
Authors
엄세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형숙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 영화 산업의 비주류와 주류 모두에서 인정받고 있는 영화 감독 팀 버튼(Tim Burton)의 기묘하고 이상한 미학적 스타일을 살펴본다. 제 1장에서는 버튼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 특히 미장센과 관련하여 그의 기묘한 미학이 어떻게 주로 분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버튼의 독특한 미학은 대개 과장된 인간 신체 또는 인간의 것이 아닌 신체가 접목된 괴물의 구상에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버튼이 창조한 기괴한 신체를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이러한 괴물성이 가져오는 공포와 웃음을 동시에 설명하는 그로테스크(grotesque) 개념을 적용한다. 버튼의 문화적으로 일탈적인 존재들, 또는 괴물로 불리는 것들이 영화 속에서 불편함과 매혹을 동시에 유발함으로써 그로테스크한 몸들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튼이 이와 같은 기괴한 몸들을 창조하는 이유를 그가 경험한 서로 다른 시대의 사회적 변화 속에서 찾고자 한다. 그는 작품을 통해 이러한 몸들의 발현은 사회가 더 많은 변화를 거칠수록, 더 많이 생성된다고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팀 버튼의 두 영화 <슬리피 할로우> (Sleepy Hollow, 1999)와 <가위손> (Edward Scissorhands, 1990)에 집중하여 감독이 각 영화 속에서 그로테스크한 몸들의 구현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미국의 전환기 사회에 대한 사회 논평을 담아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여성의 권력이 높아짐에 따라 남성들의 불안이 그로테스크한 몸들을 통해 명백해진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이러한 남성의 불안이 두 영화가 만들어진 당시인 1990년대의 변화하는 남성성 담론과도 관련 있음을 제안한다. 제 2장은 <슬리피 할로우>에서 목 없는 기사(The Headless Horseman)와 이카보드 크레인(Ichabod Crane)을 대조적인 캐릭터들로 배치하는 감독의 전략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한다. 두 캐릭터 모두 인간의 신체를 절단하는 행위를 통해 공포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또한 조롱되기도 하는데, 이는 과학의 발전에 대한 미국 18세기 후반의 문화적 불안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버튼은 또한 동물과 연결된 남성들의 그로테스크한 몸들이 가진 조롱의 가능성과 여성의 초자연적인 능력의 능숙함을 비교함으로써 페미니스트 운동의 부상에 대한 남성의 불안을 비판한다. 이러한 남성의 힘의 퇴조와 그로 인한 불안은, 전통적인 관념의 “단단한 몸(hard body)”이 부드러운 남성으로 바뀌어 가는 1990년대 남성성 담론의 변화를 버튼이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인 <가위손>을 살펴보며 에드워드 가위손(Edward Scissorhands)의 그로테스크한 몸을 통해 감독이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사회가 기계 부분이 결합된 인간 신체에 대해 느끼는 불안을 그리는 방식을 분석한다. 에드워드의 가위손은 전쟁 이후 미국 사회에서의 뛰어난 기술의 발전을 암시함과 동시에, 영화에서 그의 그로테스크한 몸에 대한 주변인들의 상반된 반응은 이러한 발전에 대한 불안한 감정 또한 존재했음을 드러낸다. 이 불안은 여성들보다 남성 인물들에 의해 표현되는데, 이는 전쟁 이후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는 향상하는 데에 반해 자신들의 입지는 위축됨을 느끼는 남성들의 심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버튼은 남성에 대한 이미지가 남성적인 것에서 더 온화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변화하던 1990년대를 반영하듯, 에드워드가 양성적인 모습을 띄는 것으로 그림으로써 영화 속 시대에 편재한 남성의 불안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그로테스크한 몸이라는 이론적 틀 아래에서 팀 버튼의 두 영화를 살펴보는 의미를 성찰함으로써 마무리한다. 각 영화 속에서 그려지는 사회적 불안 뿐 아니라, 영화가 만들어진 1990년대의 사회적 현상 역시 반영하고 있는 두 영화를 지금 현재 다시 바라보는 것은, 코로나 이후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가진 불안과, 변형되거나 병든 몸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대해서도 재고해보도록 한다.;This study stems from asking how Tim Burton, a director who employs a bizarre, strange, and quirky aesthetic, has garnered recognition from both the margins and the mainstream of the American film industry. In chapter one, I begin by examining how Burton’s oeuvre has often been analyzed through his mise-en-scène. His visual aesthetic is especially observable in his incarnation of monsters, characterized by human bodies deformed through exaggeration or with parts replaced with non-human elements. In examining such highly incongruent bodies, the notion of the grotesque becomes effective since it calls attention to the simultaneous responses of horror and humor that this monstrous physicality evokes. Burton’s culturally aberrant beings are aptly identifiable as grotesque bodies since they appear disturbing yet fascinating at the same time. Within this theoretical context, I investigate the reason behind Burton’s creation of grotesque bodies in relation to his observation of social transformations at different periods of American history. He seems to suggest that the more our society undergoes transformation, the more of these grotesque bodies there are produced. I focus on two of Tim Burton’s films, Sleepy Hollow (1999) and Edward Scissorhands (1990), to examine how the director offers his social commentary on the transitions within American society by centralizing grotesque bodies. I argue that it is specifically the grotesque bodies of men that manifest male anxiety alongside the rise of female power, which can be best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image of ideal masculinity in the 1990s when both films were produced. In chapter two, I begin by analyzing Burton’s strategy of juxtaposing the Headless Horseman and Ichabod Crane in Sleepy Hollow. While they are both portrayed as horrific figures through the cutting up of human bodies, the characters are also ridiculed, which is Burton’s way of unraveling America’s cultural anxiety toward scientific improvement in the late 18th-century. Burton also criticizes male anxiety about the rise of the feminist movement by comparing women’s supernatural power with the mock-ability of the animalistic and grotesque male bodies. Degrading the power of maleness and emphasizing the anxiety driven by such phenomena echoes Burton’s reflection of the changing discourse on masculinity in the 1990s. In chapter three, I delve into one of Burton’s most well-known works, Edward Scissorhands, to consider how he comments on post-war American society’s anxiety toward mechanical body parts through the grotesque body of Edward. While Edward’s body alludes to specific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medical prosthetics during the post-war era, there existed an unsettling feeling represented by people’s mixed responses toward his grotesqueness. Such distress is expressed more often by men than by women, since many men experienced a waning of their power after World War II. By portraying Edward as an androgyne, which reflects the shifting image of maleness from traditionally masculine to gentler and more feminine in the 1990s, Burton remarks on the prevalence of male angst during this period. I conclude this study by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revisiting Burton’s Sleepy Hollow and Edward Scissorhands through the critical lens of the grotesque. In this way, these films become valuable resources in our disconcerting post-pandemic era, which calls for us to reshape our understanding of our bodies i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