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Warm in the Top-Left and Cold in the Bottom-Right

Title
Warm in the Top-Left and Cold in the Bottom-Right
Authors
송민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temperature, spatial representation, SNARC, horizontal, vertica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호
Abstract
The SNARC effect is a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s associate small numbers with the left side and large numbers with the right side. Originally explored within the context of numbers and the horizontal line, the field of the study gradually expanded to investigate spatial associations not only with numerical concepts but also with non-numeric quantitative concepts and various dimensions such as religious concepts, typical position, size, and weight of objects, emotions, and time. The direction of association also expanded from horizontal (left/right) to vertical (up/down). Building on these tren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spatial associations with temperature, which have been rarely studied before, can be observed. Instead of using numerical stimuli commonly employed in previous spatial-thermal association studies, this research utilized Korean thermal expression words. By doing so, the goal was to demonstrate that spatial associations with the concept of temperature can occur independently of numerical stimuli and are solely based on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pure temperature concept. In Experiment 1, to find the existence of thermal-spatial association along the horizontal axis, in respect of the traditional SNARC paradigm,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ress the left or right button depending on whether the meaning of the word was associated with high or low temperature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high temperature would be associated with the right and low temperature with the left, the results showed a leftward response dominance for high-temperature words and a rightward response dominance for low-temperature words. Considering that associating the concept of temperature with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less intuitive than the up/down direction in everyday life, this unexpected finding suggests that when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emperature is imposed, especially in behavioral contexts such as pressing buttons, people might unconsciously brought up experiences related to the common association of temperature and left/right directions, such as adjusting hot/cold water taps, leading to the observed results. In Experiment 2, inspired by the fact that the temperature inherently possesses the attributes of high and low, it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could be associated with high and low places. So,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ess either the top or bottom button based on whether the meaning or referent of the displayed words indicated warmth or coldness. The results revealed a clear tendency of dominant upper responses and subordinate lower response for high-temperature words, confirming the existence of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the concepts of high and low temperatures and the upper and lower space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revealing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concept of temperature, which has been scarcely studied until now, excluding the confounding effects of numerical concepts and highlighting the effects solely attributable to the pure concept of temperature. Furthermore, it reiterates the previous findings that everyday experiences can alter the spatial representation patterns of concepts.;스나크 효과는 작은 수를 왼쪽, 큰 수를 오른쪽과 연합하여 떠올리는 현상이다. 본디 숫자 및 수평선 상에서의 연합효과를 탐색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그 분야가 확장되어 숫자로 표기되지 않은 양적인 개념, 종교적 개념, 물체의 위치, 크기, 무게, 정서가, 시간 등 다양한 차원과 공간의 연합이 발견되었고, 그 방향도 좌/우의 수평적인 공간 연합에서 위/아래의 수직적인 공간 연합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성에 힘입어, 그간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온도의 공간적 연합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온도-공간 연합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숫자 대신 한국어 온도표현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온도 개념의 공간적 연합이 숫자 자극을사용한 것과는 무관하게, 순수한 온도 그 자체의 공간적 표상에 의한 현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 에서는 전통적인 스나크 패러다임의 방향 축에 따라, 좌/우공간적 맥락에서 온도가 공간적 속성과 연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여, 참가자들로 하여금 단어의 의미가 고온인지 저온인지에 따라 왼쪽 버튼이나 오른쪽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고온은 오른쪽, 저온은 왼쪽과 연합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고온 단어에 대해서는 왼쪽 반응이, 저온 단어에 대해서는 오른쪽 반응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에서 온도의 개념을 좌/우 방향과 결부시켜 생각하는 것은 위/아래 방향의 경우보다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온도 개념의 좌/우 표상이 특히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행동적 맥락에서 강제되었을 때, 사람들이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온도-좌/우 연합의 사례인 수도꼭지의 냉∙온수 조절에 대한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떠올려, 그에 따른 결과로 나타난 것일 수 있다. 실험 2 에서는 온도가 높고 낮음의 속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고온과 저온이 각각 위쪽과 아래쪽의 공간적 속성과 연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들로 하여금 화면에 나타나는 단어의 의미 혹은 가리키는 대상이 따뜻한지 차가운지에 따라 위쪽버튼이나 아래쪽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고온 단어들에 대한 반응에서 뚜렷한 위쪽 반응 우세와 아래쪽 반응 열세의 경향성이 관찰됨에 따라, 고온 개념과 저온 개념의 위, 아래 연합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온도 개념의 공간적 표상을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한국어 온도 표현을 사용하여 숫자개념에 의한 혼입효과를 배제하고 순수한 온도 개념만의 효과를 새로이 밝혀냈다는 것과, 일상적인 경험이 개념의 공간적 표상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다시금 밝혀냈다는 것에 그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