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 Download: 0

Maternal Mortality in Kyrgyzstan

Title
Maternal Mortality in Kyrgyzstan
Authors
Bekenova, Guzel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Keywords
Maternal Mortality in Kyrgyzsta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은미
Abstract
The death of a woman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s a huge individual, medical, and societal tragedy. Maternal mortality is a crucial human development indicator that reflects the state's commitment to ensuring the quality of medical care and women's well-being. Despite governments’ attention to maternal health, Kyrgyzstan has the highest maternal mortality rate among post-Soviet countries. This study explores determinants of maternal mortality in Kyrgyzstan in the context of the Three Delays Model. The study found that First delay dominates in terms of the attributed number of factors influencing the risk of maternal mortality. This delay is closely tied to a woman's position in the family. The study revealed that women in Kyrgyzstan are often embedded in a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where their physical, financial, and reproductive autonomy is severely limited. Many women in the country lack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reproductive health and contraceptive methods, due to a lack of reproductive health and sex education. This problem is especially acute in rural areas. The main determinants that a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women’s reproductive behavior and, consequently, on delays in receiving health care are education, employment, and income. These factors influence women's reproductive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of empowerment. The study demonstrated a direct association between women's level of empowerment and their reproductive behavior. To overcome maternal mortality in Kyrgyzstan it is critical to address gender inequality and improve the status of women in families and society. Government strategies to reduce maternal mortality must consider the women’s empowerment approach along with improving the healthcare system, and infrastructure and raising living standards. ;임신과 출산 중 여성의 죽음은 거대한 개인적, 의료적, 사회적 비극이다. 모성 사망률은 의료의 질과 여성의 복지를 보장하려는 국가의 헌신을 반영하는 중요한 인간 발달 지표이다. 모성 건강에 대한 정부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키르기스스탄은 구소련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모성 사망률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지연 모델 (Three Delays Model)의 맥락에서 키르기스스탄의 모성 사망률 결정 요인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첫 번째 지연이 모성 사망 위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것은 의사 결정권과 사회적 지위를 포함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가부장적 사회인 키르기스스탄에서 여성들의 신체적, 재정적, 생식적 자율성은 심각하게 제한되어 있다. 이 나라의 많은 여성들은 성교육의 부족으로 인해 생식 건강과 피임 방법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부족하다. 이 문제는 특히 농촌 지역에서 심각하다. 여성의 생식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건강 관리를 제때에 받지 못하도록 하는 주요 결정 요인은 교육, 고용, 소득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점은 여성의 권한 강화가 여성의 생식 행동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여성의 권한 수준과 생식 행동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모성 사망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 불평등을 해결하고 가정과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모성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정부 전략은 의료 시스템 개선과 생활 수준을 높이는 것과 함께 여성의 권한 부여 접근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