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2 Download: 0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 개발

Title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The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Concept Understanding Applying a Cognitive Diagnosis Model’
Authors
곽진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인지요소 숙달 여부 및 프로파일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수준과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1.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를 개발한다. 2.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를 통해 예비 유아교사의 인지요소 숙달 여부 및 프로파일의 특성을 살펴본다. 첫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을 통해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핵심적인 교과내용지식으로서 8개의 음악 개념, 즉 음색, 박ㆍ박자, 리듬, 빠르기, 셈여림, 음높이, 멜로디, 화성을 인지요소로 선정하고, 108문항의 1차 시안과 Q행렬 초안을 개발하였다. 음악전문가의 자문과 2차에 걸쳐 진행된 유아음악교육 내용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1차 시안의 적절성 및 Q행렬 초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97문항의 2차 시안과 Q행렬을 확정하였다. 2차 시안 문항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유아교육과 학부생 135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행하여 문항응답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인지진단모형 중 DINA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 모수(실수 모수, 추측 모수, 변별도 지수)를 확인하고, 내용상 중요도와 중복 정도, 검사의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61문항(음원문항 14문항, 일반문항 47문항)의 3차 시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 3,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12명을 표집하여 3차 시안으로 대면 검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연구와 동일한 방법으로 DINA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 모수를 추정하고 문항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내용상 중요도, 도구의 전체적인 구성 및 검사의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45문항(음원문항 11문항, 일반문항 34문항)의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둘째, 최종 확정된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를 통해 인지요소 숙달 여부와 인지요소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요소 숙달 확률과 숙달한 인지요소 수별 비율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요소 숙달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요소 숙달 확률은 인지요소 별로 차이가 있었고, 인지요소 멜로디와 화성의 숙달 확률이 가장 높았다. 숙달한 인지요소 수에 따른 비율은 8개의 모든 인지요소를 숙달한 예비유아교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모든 인지요소를 숙달하지 못한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으며, 숙달한 인지요소 수별 비율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숙달 확률이 높게 추정된 인지요소는 학습하기 쉬운 인지요소를 의미하므로, 숙달 확률이 높은 음악 개념부터 교육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다음으로 인지요소 프로파일을 산출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상태는 10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요소 프로파일이 다양하게 산출된 결과는 음악 개념 이해 수준의 개인차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개별적인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강점을 강화시키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도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양성과정에서 ‘유아음악교육’ 강의에 활용할 수 있다. 도구가 제공하는 결과는 ‘유아음악교육’ 교수자가 개념별 교육 순서를 결정하거나 보충적인 교육이 필요한 내용을 선별하는 등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예비유아교사에게 검사 결과를 제공한다면 자기 계발의 기회를 갖도록 동기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에 적용하거나 음악 개념 이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도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도구는 자기 평정 형태의 기존 도구와 달리, 인지검사로서 음악 개념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총점에 기반한 검사와 달리 도구 개발 단계에서부터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음악 개념 이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실수와 추측에 의한 응답 가능성을 배제한 실제적인 이해 수준을 측정하므로 교육에 적용하는 데 유용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도구가 지필 형태로만 음악 개념을 평가한 것과는 다르게 청각을 활용한 음원문항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를 측정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가 예비유아교사에게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st to measu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by apply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and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and classify attribute profi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were established. 1. Develop a test to measu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by apply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2.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ribute mastery and profiles were examined through the developed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concept understanding apply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First, the process of developing a test to measu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by apply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is as follows. Through literature review, eight musical concepts were extracted as attributes as co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108 of the initial items and a draft of Q matrix were develop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itial items and the validity of the Q matrix draft were verified through the consultation of the music experts and the review of the contents exper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econd draft and the Q matrix of 97 items were confi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cond draf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n 135 undergradu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llected item response data.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INA model of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item parameters (slip parameter, guess parameter, and discrimination index), and the third draft of 61 items (14 sound items, 47 general items) was complet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ontents, degree of duplication, and efficiency of the test. In this study, 5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ampled and face-to-face 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third draft. In the same way as the preliminary study, the DINA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item parameters and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In addition, the final test of 45 items (11 sound items, 34 general items)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importance of contents, overall composition and efficiency of the test. Second, the results of identifying mastery and nonmastery of attributes and attribute profiles through the finaliz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concept understanding measurement apply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are as follows. The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attribute, and melody and harmony were the highest. The ratio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mastered all eight attributes was the highest, the ratio of nonmastered all attributes was the second highest, and the ratio by the number of mastered attributes varied. Attribute with high preval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attribute that is easy to learn, so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educate musical concept with high prevalence. Nex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was classified into 105 profile patter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man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dividual level of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strengths and deter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that can complement the weaknesses. The developed test can be us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in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lecture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The results provided by the test can be used as data to implement efficient and systematic education, such as determining the order of education for each concept or selecting the contents requiring supplementary education. In addition, score reporting of attribute profiles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motivate them to hav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can be applied to education for inservice teachers or to various studies related to understanding musical concept. The significance of the developed test is as follows: This tes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objectively evaluate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as a cognitive test. In addition, it is a item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by apply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from the stage of test development. It provides useful and fine-grained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education because it measures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excluding the probability of response by guesses and slips. Finally, it is meaningful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musical concept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sound items. ‘The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Concept Understanding Applying a Cognitive Diagnosis Model’ would be used to provide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