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7 Download: 0

상권 활성화 정도가 인지적 쇠퇴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권 활성화 정도가 인지적 쇠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Commercial Streets’ Vitality on Cognitive Decline: Using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Method
Authors
김민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미
Abstract
The vitality of the commercial districts increases social interaction with geographical features located inside or near residential areas. However, commercial districts in many provincial cities are on the decline along with urban decline, and Seoul is also accelerating its decline due to an unbalanced decline and gentrification. Though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ercial district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Korea,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 of commercial streets’ vitality on the degree of cognitive decline of visitors is insufficient. Proof of whether the degree of commercial vitalization will actually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location of visitors to the commercial district is a prerequisite before planning the commercial activation program. An effective outcome is expected if the factors that dominate in improving cognitive decline are identified and reflected in establishing of the commercial district activation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evitalizing the commercial district on contributing to the perception of location felt by users. Transition learning was performed on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with about 3,000 training images constructed through 170,000 responses. The cognitive decline score for each commercial district calculated through this model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patial Error/Lag Model were performed by setting factors related to commercial activ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decline based on the lowest AIC valu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floating population density and the ratio of buildings aged more than 20 years. The sales per store, commercial building ratio, grassland area, and new permits per area had a negative (-) effect. In addition, if other conditions are equal, the cognitive decline will be improved in the order of traditional markets, alley commercial districts, and developmental commercial district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have the most dominant effect on the cognitive decline were the ratio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 ratio of old building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actor of activating commercial distri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decline, suggesting that building appearance needs to be improved to improve the cognitive decline of commercial districts in that building-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atio of old buildings and commercial buildings have a dominant effect. Based on existing studies’ findings that Street View Imagery (SVI)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urban cognitive research, this study actively applied computer vision technology to SVI, and the model's calculated cognitive declin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image-external non-visible features. In terms of local governments that want to revitalize underdeveloped areas, it can be a means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out incurring a large cost to the situation in the area before the plan was established.;중심시가지의 활력은 주거 지역 내부 혹은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과 더불 어 사회적인 상호 작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많은 지방 도시에서 도시 쇠퇴 현상 과 함께 상권 쇠퇴가 진행되고 있고 수도인 서울 또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빈 발로 상권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상권 활성화 방안을 모 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상업 가로의 활성화가 방문자의 인지적 쇠퇴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상권 활성화 정도가 실제로 해당 상권 방문자의 장소성 인식에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실증은 상권 활성화 프로그램을 계획하기 이전에 선행해야 하는 사항이며 인지적 쇠퇴를 개선시키는데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여 상권 활성화 전략 수립에 반영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상권 활성화가 이용자가 느끼는 장소성 인식에 기여하는 영향에 대 해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만 개의 응답을 통해 구성한 약 3,000여 장 의 트레이닝 이미지로 합성곱 신경망 모델에 전이 학습을 수행하였다. 이 모델을 통해 계산한 상권 별 인지적 쇠퇴 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 상권 활성화 관련 요소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선형 회귀 분석 및 Spatial Error/Lag Model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IC 값이 가장 낮은 Spatial Lag Model 기준으로 인지적 쇠퇴도에는 유동인구 밀도, 20년 이상 노후 건축물 비율이 양(+)의 영향을 미치고, 가게 당 매출, 상업 건물 비율, 초지 면적, 면적 당 신규 인허가 수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다른 조건들이 동등하다면 전통시장, 골목상권, 발달 상권 순서로 인지적 쇠퇴도가 개선된다. 독립변수 중 인지적 쇠퇴도에 가장 지배 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업 시설 비율과 노후 건축물 비율이었다. 이 연구는 정량적 방법을 통해 상권 활성화 요소가 인지적 쇠퇴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한 연구로, 노후 건축물 비율 및 상업 건물 비율 등 건물과 관련된 특징이 인지적 쇠퇴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상권의 인지적 쇠퇴도 개선을 위해서 건물 외관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 인적 차원에서 건축 리모델링, 국가적 차원에서는 도시 녹지 조성과 재개발 및 재 건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SVI (Street View Imagery)가 도시 인지 연구에 효과적인 도구로 쓰일 수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VI에 컴퓨터 비전 기술을 접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모델이 계산한 인지 적 쇠퇴도가 이미지 외재적인 비가시적 특징들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는 컴퓨터 비전 기술을 통한 도시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낙후된 지역을 활 성화하고자 하는 지자체 측면에서 또한 계획 수립 이전 지역의 상황을 비용을 크 게 들이지 않고 예비적으로 조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