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반페미니즘 남성 소비자 정치의 탄생

Title
반페미니즘 남성 소비자 정치의 탄생
Other Titles
ANTI-FEMINISM MALE CONSUMER POLITICS
Authors
이민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온라인 남성 커뮤니티, 소비자 정치, 반페미니즘, 페미니즘 백래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이 연구는 개인 또는 조직의 페미니즘과 관련이 색출과 공격의 대상이 되어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해당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위협하는 현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 배경에 페미니스트 주체나 실천을 ‘메갈’로 낙인찍고 이를 퇴출하기를 기업에 요구하는 온라인 중심의 소비자 행동주의로서 ‘메갈 색출’이 영향력을 키워온 맥락이 있다고 보고, ‘메갈 색출’의 전개 과정과 젠더 정치에의 영향을 밝히기를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2016년 ‘넥슨 사건’ 이후 서브컬처 시장에서 발생한 ‘메갈 색출’의 대표적인 사건과 이를 주동한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갈 색출’은 대중문화와 온라인 공간의 남성 중심적 문화 영역에서 ‘메갈’로 표상되는 새로운 여성 주체와 페미니즘 운동이 가시화되면서 부상한 ‘메갈’에 대한 부정적 정동과 담론을 배경으로 등장했다. 여성이 주변화되는 게임 시장 구조와 성적 대상화된 여성 이미지가 핵심 상품으로 거래되는 남성향 서브컬처 시장의 소비문화는 ‘메갈’에 대한 강한 반발을 응집시켰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메갈’의 등장은 남성이 점유하는 커뮤니티 공간과 여성혐오에 기반한 놀이문화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이는 남초 커뮤니티에서 ‘메갈’을 반사회적 여성상으로 구성하는 담론을 생산하도록 했다. 둘째. ‘메갈 색출’을 주장하는 소비자는 ‘메갈’로 인한 소비자 피해 담론을 생산하고, 피해자로서 남성 소비자 정체성을 형성했다. 이 과정에서 ‘메갈’은 문화상품의 상품성을 해치며, ‘메갈’ 창작자는 소비자와 대립하는 존재이고, 남성이 주 소비층인 시장에서 ‘메갈’ 생산자의 존재는 소비자 기만이라는 주장이 등장했다. ‘메갈 색출’의 불매와 구매 인증, 집단행동 등의 소비자 행동전략은 남성 소비자가 남성으로 상정되는 기업과 협상하여 ‘메갈’ 여성을 퇴출하고, 문화시장에서 남성 소비자의 영향력과 지위를 확인하는 수단이었다. ‘메갈 색출’이 수용되는 사례가 늘면서 남성 소비자로서 남성연대와 권력, 정당성을 확인하는 기회로 작용하자, ‘메갈 색출’은 남성 집단의 놀이 문화로 재생산되었다. 셋째. ‘메갈’을 반사회적 집단으로 낙인화 하는 ‘메갈 색출’의 정치는 공격 대상을 페미니즘 전반으로 확장해갔다. 페미니즘의 주체와 상징, 실천을 ‘메갈’로 낙인찍어 사회적 인식을 격하시키는 공격이 강화하면서, 가시화를 추구하는 대중화된 페미니즘 정치의 전략이 위축되었다. 또한, ‘메갈 색출’의 선례에 관해 남성 소비자 집단이 선택적으로 구성한 지식이 온라인상에서 확산하면서 ‘메갈’ 지지가 시장 실패의 원인이라는 담론이 강화하였다. 그리고 ‘메갈’을 둘러싼 젠더 정치 의제가 소비자 문제로 논의되면서, 경제적 이윤과 소비자 지향 경영 등 시장 가치체계로 페미니즘을 평가하고 공격하는 담론이 구성되었다. 이 연구는 페미니즘 부상에 따른 남성의 불안이 여성/페미니스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집단적 공격으로 표출되는 현상과 신자유주의적 시장 논리로 페미니즘 정치의 상징과 가치체계가 공격받는 현상을 지금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백래시 양상으로 보고, 이러한 백래시의 역동을 사례를 통해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메갈 색출’은 남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게임과 서브컬처 소비자라는 비교적 협소하고 주변적인 집단에 의해 이루어진 현상이다. 그러나 대표성을 가진 여성의 경제적 기반을 박탈하는 공격 양식, 남성을 피해자로 위치시키는 담론 및 이에 따른 분노와 복수심 등의 정동, 소비자본주의 배경 위에서 대중화된 페미니즘 운동의 전략을 그대로 전유하는 역행의 전략, 젠더 정치를 경제영역으로 재편하는 신자유주의 통치성 등 현시점의 한국 사회 백래시 정치를 구성하고 작동시키는 다양한 요소들을 드러내는 징후적 현상으로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양식화된 반페미니즘 행동주의로서 ‘메갈 색출’이 오랜 기간 지속하며 영향력을 확대해가면서, 온라인상 반페미니즘 정치를 뒷받침하는 근거 담론과 세력 등 자원을 제공하였음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상세히 드러낸 ‘메갈 색출’ 사건 사례의 내용과 의미가 페미니즘 백래시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분석할 때 참고할 만한 자원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was motivated by a concer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an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relationship with feminism could be singled out and attacked, causing social controversies and threatening the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background,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context in which 'Hunting out Megalian' has grown in influence as an online-centered consumer activism that stigmatizes feminist subjects or practices as 'Megalian' and demands companies to withdraw them, and then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process of ‘Hunting out Megalian’ and its impact on gender politics. For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 representative "Hunting out Megalian" case in the subculture market since the ‘Nexon Incident’ in 2016 and the online consumer community that led i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unting out Megalian’ emerged against the backdrop of negative sentiments and discourses about 'Megalian' that have appeared with the visibility of new female subjects and feminist movements represented as 'Megalian' in the male-dominated cultural sphere of popular culture and online spaces. The game market structure in which women are marginalized and the consumption culture of the male-oriented subculture market, in which sexually objectified female images are traded as core products, have consolidated a strong backlash against 'Megalian'. The rise of 'Megalian' online was also seen as a threat to male-dominated community spaces and misogynistic-driven play cultures. It led to producing a discourse that constitutes 'Megalian' as an anti-social female image in the male-dominated community. Second, consumers who advocated for 'Hunting Out Megalian' produced a discourse of consumer victimization caused by 'Megalian' and constructed a male consumer identity as a victim. In this process, a discourse was formed that ‘Megalian’ harms the marketability of cultural products, that ‘Megalian’ creators are in conflict with consumers, and that it is a consumer deception that a ‘Megalian’ is a producer in a market where men are the main consumers. Consumer behavioral strategies such as boycott and purchase certification of 'Hunting out Meglain', and collective actions are a means for male consumers to negotiate with companies assumed to be male to expel 'Megalian' women and to affirm the influence and status of male consumers in the cultural marketplace. A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Hunting out Megalian’ was accepted increasingly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male solidarity, power, and legitimacy as male consumers, ‘Hunting out Megalian’ was reproduced as a male group’s play culture. Third, the politics of ‘Hunting out Megalian’, which constitutes ‘Megalian’ as an anti-social group to be excluded from the public sphere, has expanded the target of the attack to feminism in general. The strategy of popularized feminist politics, which seeks to make feminism visible, has been undermined by the intensification of attacks to degrade the social recognition of feminism by stigmatizing its subjects, symbols, and practices as "Megalian. In addition, selectively constructed knowledge among male consumers about the precedent of the 'Hunting out Megalian' spread online, reinforcing the discourse that supports the 'Megalian' was the cause of market failure. And as the gender politics agenda surrounding 'Megalian' was discussed as a consumer issue, a discourse was constructed that evaluated and attacked feminism through the market value system of economic profit and consumer-oriented manag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s the phenomenon of men's anxiety over the visibility of feminism as a collective attack 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women/feminists and the attack on the symbols and value systems of feminist politics by neoliberal market logic as typical backlash patterns in current Korean society and reveals the dynamics of this backlash through case studies. ‘Hunting out Megalian’ is a phenomenon driven by relatively narrow and marginal groups of game and subculture consumers centered around the male-dominated community. However, it is worth noting as a symptomatic phenomenon that reveals various elements that constitute and operate in the current Korean social backlash politics, such as modes of attack that deprive represented women of their economic base, discourses that position men as victims, and the resulting collective sentiments of anger and revenge, strategies of retrogression that appropriate the strategies of feminist movements popularized against a background of consumer capitalism, and neoliberal governance that reframes gender politics into the economic sphe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Hunting out Megalian' as a stylized anti-feminist activism lasted for a long time and expanded its influence, providing resources such as discourse and forces supporting the anti-feminist politics conducted mainly online.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Hunting out Megalian' case detail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source for analyzing various social phenomena that manifest as backlash against femin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