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4 Download: 0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

Title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
Other Titles
Negative Belief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 Distress Overtolerance, Ego Depletion, Entrapment as a Mediator
Authors
황재인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부정적 정서표현신념 고통과잉감내 자아고갈 속박감 자살사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자율적인 성인으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발달시기와 취업과 진로 등 외부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대학생 시기는 여러 가지 생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우울과 불안, 자살사고 등의 심리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자살사고는 한국 청년층의 주요 사망원인인 자살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고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고통과잉감내, 자아고갈과 속박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부정적 정서표현신념은 자신의 정서를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부정적 신념을 뜻한다. 부정적 정서표현신념은 정서표현양가성과 억제 등에 관련되어 있다. 이처럼 자연스러운 정서의 억제는 심리적 각성을 일으키고 병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부정적 정서표현신념 자체가 단독으로 자살사고를 예측하기보다 여러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끼친다고 예측해볼 수 있다. 이어서 심각한 고통을 견디고 인내하는 능력인 고통감내력은 삶을 살아가면서 필수적인 능력이다. 그러나 고통 감내력이 낮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통 감내력이 과하게 높을 경우에도 심리적 부적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과도한 고통 감내력을 고통과잉감내(Distress Overtolerance)로 정의한다. 고통을 부적응적인 수준으로 과잉감내하는 사람은, 고통 감내력이 부족한 사람보다 심리적 문제가 외현화되는 경향이 적으나 실제로 심리적 문제가 적은 것이 아니라 그를 견디고 있을 뿐 적응적인 대처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충동적이기보다 억제적이고, 신중한 성격을 보이는 사람들은 충동적인 자살시도자들과 달리 자살시도나 행동은 적지만 자살사고를 더 많이 보일 수 있다. 한국 대학생의 자살은 지속적 증가 추세이며, 자살사고는 자살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작용한다. 고통과잉감내를 예측하는 선행요인에 대해서는 연구로 검증된 것이 적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져 온 완벽주의와 같은 성격적 경향성이 아니라 보다 정서에 특정적으로 관련된 정서표현신념의 역할도 함께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부정적 정서표현신념을 고통과잉감내의 선행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의 관계에 더하여, 자살사고를 유발하는 기제로 고통과잉감내와 자아고갈, 속박감이 각각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통과잉감내와 자아고갈, 속박감이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의 관계를 각각, 그리고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국 만 20~29세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8.3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정적 정서표현신념은 고통과잉감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서를 타인에게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부정적 신념이 고통과잉감내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고통과잉감내가 자아고갈과 속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부정적인 정서 상태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자기조절자원이 소모될 수 있으며, 만성화된 상태에서 속박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어 자아고갈은 속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속박감은 자살사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기조절자원의 소모는 자신의 부정적 상황에 대한 타개능력을 과소평가하게 만들어 속박감을 크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매개효과검증 결과에서는 고통과잉감내와 속박감은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순차매개하며, 고통과잉감내와 자아고갈, 속박감은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순차매개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정적 정서표현신념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고통과잉감내와 속박감의 순차매개효과, 고통과잉감내와 자아고갈, 속박감의 순차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적 정서표현신념으로 인해 고통을 과도하게 감내하고 있는 대학생의 경우 자살사고를 경험할 수 있으며, 고통과잉감내로 인하여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자기자원의 고갈과 더불어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느끼는 속박감이 함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부정적 정서표현신념에서 기인한 고통과잉감내가 있음을 밝혀내어, 자살사고를 보이는 대학생 내담자의 과도한 억제 경향성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Due to the interaction of developmental periods that require the transformation into autonomous adult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employment and career paths, the college years can cause various life stresses, which in turn can lead to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Suicidal ideation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suicidal behavior, which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young adults in Korea.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pain and distress overtolerance, self-depletion, and entrapment are antecedents to suicidal ideation. Firs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re about revealing one's emotio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re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hibition. Research has shown that suppression of natural emotions can lead to psychological arousal and contribute to pathological symptoms. Rather than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on its own, it can be predicted tha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interact with other factors to influence suicidal ideation. Next, distress tolerance, the ability to tolerate and endure severe pain, is an essential life skill. However, just as low pain tolerance can lea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o can excessive pain tolerance. This excessive pain tolerance is defined as distress overtolerance. Individuals with maladaptive levels of distress tolerance are less likely to externalize psychological problems than those with distress intolerance, but they may not actually have fewer psychological problems; they may be tolerating them, but not adapting to them. In addition, individuals with inhibited, cautious rather than impulsive personalities may have fewer suicide attempts or behaviors but more suicidal ideation than impulsive suicide attempters. Suicid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has been on the rise, and suicidal ideation is a strong predictor of suicide. In this study,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were set as an antecedent of distress overtolerance to test the role ofemotional expression beliefs rather than personality tendencies such as perfectionism, which have been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nd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distress overtolerance, ego-depletion, and entrapment as mechanisms that trigger suicidal ide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nd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distress overtolerance, ego depletion, and entrapment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aged 20 to 29 years ol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structural models were tested using MPLUS 8.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have a positive effect on distress overtolerance. This means that negative beliefs about disclosing emotions to others have an effect on distress overtolerance. Next, we verified that distress overtolerance positively affects feelings of ego-depletion and entrapment. This suggests that continuous exposure to negative emotional states can drain self-regulatory resources and lead to feelings of entrapment in chronic conditions. Furthermore, ego-depletion positively affects entrapment, and entrapment positively affects suicidal ideation.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may lead to an underestimation of one's ability to cope with negative situations, which may lead to a greater sense of entrapment. The mediation effect test results showed that distress overtolerance and trappednes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nd suicidal ideation, and distress overtolerance, ego depletion, and entrpament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we identifi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overtolerance and entrapment,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overtolerance, ego depletion, and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and suicidal ide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excessive distress due to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may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and that the depletion of self-resources to control distress due to distress overtolerance, coupled with the feeling of trappedness, which is the inability to escape from one's situation, contributes to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stress overtolerance stemming from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is a factor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needed to address the distress overtolerance tendencies of college students who exhibit suicidal ide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