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9 Download: 0

高麗前期 對契丹 使行 연구

Title
高麗前期 對契丹 使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Goryeo’s Envoys to Khitan in the First Half of the Goryeo Period
Authors
정나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고려, 거란, 사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미
Abstract
본 연구는 고려의 대거란 사행을 통해 고려가 거란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외교를 전개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근대 시기 사행은 핵심적인 외교수단으로 중시되었는데 특히 고려-거란 관계에서는 사행의 종류와 횟수가 증가하며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국 관계 속 다양한 명목의 사행과 사신 인선을 비롯해 사절단 구성과 사신의 역할, 사행 여정 및 사행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고려의 외교와 대거란 사행 양상을 자세히 살피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려는 건국 초기에 몇 차례 거란과 사절을 주고받았지만, 거란과 국교를 수립하면서 본격적으로 대거란 사행이 이루어졌다. 고려는 거란의 침략을 받아 공식 관계를 정립한 만큼 거란을 우위로 하는 질서를 빠르게 수용하고 거란에 빈번하게 사절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거란은 새로운 외교 대상으로 이전에 없었던 사행의 종류가 신설되었고 시기에 따라 사행이 이루어지는 모습에 변화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사행 양상은 양국 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지만, 사절이 파견되는 대상이나 목적은 거란이나 고려의 국내외 사정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거란 사행의 정형이 갖추어지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양국 간 처음 국교가 수립된 후 고려는 전후 처리나 향후 사행 방식을 모색하기 위해 사절을 주로 파견하였다. 그리고 거란이 다시 고려 침략을 준비하자 이를 막기 위해 외교적 교섭을 늘리는 과정에서 이전에 없었던 사행 종류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때 관품이 높은 관원이 자주 거란에 파견된 점에는 갈등을 해소하고 관계를 안정시키려는 고려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었다. 그러면서도 고려-거란 관계가 정상화 된 후에는 정기 사행에 대한 지침이 전해져 1년 6貢制가 성립되었으며, 사행도 이전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후 고려는 거란 일변도의 외교를 전개하며 양국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갈등이 생기면 고려는 사행을 통해 요구사항을 거란에 전하였다. 11세기 말 고려는 외교를 다변화하며 송과 사절을 왕래했으나 대거란 사행은 고려가 거란의 연호 사용을 중단하는 예종 11년(1116)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이를 통해 당시 복잡한 국제정세 속에서 고려가 다양한 대상과 어떻게 교섭하며 외교적으로 대응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거란 사행의 사절단 구성과 사신의 역할에 대해 검토하였다. 사절단 구성은 사신이 正使와 副使를 모두 갖추기보다 대체로 1명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적이었다. 해마다 파견되는 사행은 대부분 책임자가 1명이었고, 국왕이나 황제의 권위와 직결된 冊禮나 양국 관계에서 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만 정사와 부사를 갖추었던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구성은 사행 횟수가 증가하면서 사절단 규모를 줄이고 사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신 외에도 사절단에는 문서 작성이나 통역을 담당하고, 실무 사안을 맡은 관리가 동행하였다. 그리고 사절단을 호종하거나 사행에서 교역에 참여하기 위한 인물도 포함되었다. 사행에서 사신은 무엇보다도 정치·외교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고려에서 준비한 외교문서를 전달하고 황제를 알현하거나 파견 목적에 해당하는 외교의례에 참석해 그 의식을 잘 수행해야 했다. 또 사신은 거란이 의구심을 갖거나 추궁하는 사안이 있으면 이에 대응해 불필요한 오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상황에 따라 양국 간 정해진 규정에 대해 변용을 요구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외에도 거란에 파견된 사신은 義天과 高昌國 승려와의 교류를 매개하고 거란인 관원과 교류하며 불교를 중심으로 한 문화 교류와 인적 교류를 하였다. 사행에서의 여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거란은 고려가 이전에 국교를 수립했던 국가와 달리 유목민이 중심이 된 국가로, 계절별로 이동하며 국가를 통치하였다. 이러한 거란의 통치 방식으로 인해 대거란 사행에서 최종 목적지는 고정적이지 않았고 五京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이에 고려 사절이 방문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다양한 장소를 확인하고, 거란의 東京을 거쳐 中京과 南京, 上京道 내 여러 지역으로 가는 이동 경로를 추측해보았다. 그리고 對宋 使行과 비교할 때 대거란 사행에서는 사절이 거란에 머무르거나 이동하는 기간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이동 방법의 변화나 거란의 통치 방식이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대거란 사행은 고려와 거란 간 책봉-조공 질서를 수용하며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거란의 외교 방식이나 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사행 종류가 나타났고 그 횟수도 증가하였다. 특히 계절별 황제의 안부를 묻기 위한 季節問候使를 통해 양국 간 상하 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국의 위계에도 불구하고 고려는 필요에 따라 대거란 사행을 자의적으로 중단하거나 자국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면 사절을 파견해 자신의 요구사항을 계속해서 전달하였다. 또한, 고려는 국왕 후계자의 권위를 높여 왕위계승을 확립하는 데 사행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대거란 사행은 고려가 거란을 우위로 한 질서를 수용하면서도 스스로 중심임을 인식하며 거란과의 외교를 주도적으로 전개했던 모습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This paper aims to examine Goryeo’s diplomatic policy in its relations with Khitan through the dispatch of envoys. In pre-modern times, diplomatic envoys carried heavy significance as an essential instrument of diplomacy, and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Goryeo-Khitan relations, the types and frequency of envoys increased and demonstrated varying patterns compared to the past. This paper closely examines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Goryeo’s diplomacy and patterns in its dispatch of envoys to Khitan,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envoys dispatch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Khitan, appointment of envoys and diplomatic delegates, composition of delegations, roles of delegates, itineraries for diplomatic trips, and characteristics of envoys. Although Goryeo and Khitan had already exchanged multiple diplomatic missions in the former’s early founding era, Goryeo began to dispatch envoys to Khitan in earnest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Khitan. As such bilateral ties were established after Khitan’s invasion of Goryeo, the invaded state swiftly accepted the then political order in which Khitan was superior to Goryeo and frequently dispatched its emissaries to the invader. New types of diplomatic envoys were also established for Khitan as a new diplomatic partner of Goryeo, evolving into changing aspects in which diplomatic trips took place. In this process, the patterns of diplomatic envoys closely ref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ut the subject and purpose of envoys occasionally reflect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facing either Goryeo or Khitan. Against this backdrop, it was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Goryeo’s envoys to Khitan could be formalized. After diplomatic relations were initially formed between the two states, Goryeo mainly dispatched its envoys to deal with post-war issues and explore protocols for future envoys. As Khitan began preparing to invade Goryeo again, however, entirely new types of envoys emerged in the course of expanding diplomatic negotiations to prevent a second invasion. Goryeo’s frequent dispatches of high-level officials to Khitan reflected the Goryeo dynasty’s intent to resolve disputes and stabilize the bilateral relations.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Goryeo-Khitan relations, Khitan delivered guidelines to Goryeo, recommending regular diplomatic envoys and thereby establishing the one-year, six-tribute system, which led to a more systematic operation of the envoy system. Thereafter, Goryeo’s diplomacy was centered on Khitan and it began to communicate its demands to Khitan through envoys in times of conflict while maintaining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Goryeo exchanged diplomatic missions with the Song dynasty to diversify its foreign policy around the end of the 11th century, while continuously dispatching envoys to Khitan until the 11th year of King Yejong’s reign (1116), when Goryeo ceased to follow Khitan’s regnal years. This indicates how the Goryeo dynasty negotiated with and responded diplomatically to diverse partners under the complicate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of the time.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composition of Goryeo’s diplomatic delegations and the roles of envoys dispatched to Khitan. In particular, such delegations generally consisted of a single envoy, rather than being composed of both a chief envoy and a deputy envoy. Annual diplomatic trips were mostly led by a single envoy, whereas both chief and deputy envoys were dispatched for occasions with direct connotations for the authority of a king or emperor such as the installation of a crown prince, or other significant issues in the bilateral relations. This composition was intended to reduce the scale of envoys in line with their increased frequency and to ensure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diplomatic trips. In addition to the envoy, diplomatic delegations included officials responsible for preparing documents, interpretation and practical matters, as well as guards and merchants accompanying the delegations to conduct trade. Above all, envoys played a pivotal role in political and diplomatic affairs during diplomatic trips to Khitan. They were required to deliver diplomatic documents prepared by Goryeo, have an audience with the Khitan emperor, and attend and effectively perform the diplomatic ceremonies that were the purpose of their dispatch. They were also tasked with appropriately responding to suspicions or inquiries from Khitan,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nd requesting changes in the diplomatic provisions agreed by the two states as needed. In addition, envoys sent to Khitan connected Uicheon to Buddhist monks from Gaochang and interacted with Khitan officials, contributing to promoting Buddhism-oriented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cultures and peoples. Third, this paper explores the itinerary of diplomatic trips. Unlike other states with which Goryeo had built diplomatic ties, Khitan was a nomadic state whose emperors traveled seasonally. Due to this government system, Goryeo’s envoys to Khitan did not always travel to a set final destination, and once their destination was determined, it was oftentimes not one of Khitan’s Five Capitals. In this respect, this paper identifies various potential locations that Goryeo envoys may have visited and further estimations of their travel routes through the Eastern Capital to the Central Capital, the Southern Capital, and various regions in the Supreme Capital Circuit. It was also found that envoys stayed in or traveled to Khitan for a shorter period than those dispatched to the Song dynasty. This was attributable to changes in travel methods or Khitan’s government system. As such, Goryeo sent its envoys to Khitan in obedience to the installation and tribute order between the two states. In this process, new types of envoys emerged to reflect Khitan’s diplomatic methods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frequency of envoys also increased. In particular,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is demonstrated by the seasonal envoys that were dispatched to inquire about the Khitan emperor’s well-being. In spite of this hierarchical relationship, however, Goryeo at times unilaterally suspended the dispatch of envoys to Khitan when necessary or continued to dispatch envoys to communicate its demands in cases where it deemed the situation to be a threat. Goryeo also used diplomatic trips to secure its royal successions by elevating the authority of the royal heir. In this sense, Goryeo’s envoys to Khitan aptly reflect how Goryeo took the initiative in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Khitan in recognition of its own national interests while accepting Khitan’s superio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