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9 Download: 0

성호의 심(心) 이론 연구

Title
성호의 심(心) 이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ongho’s Theory of Heart-Mind 心 : Focusing on the Integration with the Theory of Human Body
Authors
임재령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희
Abstract
이 연구는 성호의 심(心) 이해에서 나타나는 전통의 계승과 이탈의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전통적인 심성론의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학의 인체 이론을 활용했음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기존의 성호 연구는 그의 심성론과 서학 수용의 측면을 분리해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성호의 심성론을 다루는 연구는 서학 수용의 문제를 다루지 않으며, 서학 수용을 다루는 연구 역시 심성론을 소략하게 다룬다. 그러나 이와 같이 두 측면을 분절적으로 이해할 경우, 성호의 심 이론을 구성하는 복합적인 계기들이 해명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심성론과 서학 수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분리해서 다루는 기존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양자를 통합적으로 다룸으로써 성호의 심 이론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성호가 퇴계의 심성론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서학의 인체 이론을 수용했으며 이를 통해 전통적인 심성론과 다른 심 이해를 가지게 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해본다.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성호가 마주한 전통적인 심성론의 과제와 그에 대한 대응을 분석한다. 성호는 사단칠정의 문제에서 퇴계를 계승하고 고봉과 율곡의 비판을 재반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퇴계, 고봉, 율곡의 논쟁을 검토한 뒤 그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리의 발현이라는 이론을 제출한다. 그 과정에서 심 이론의 초점이 전통적인 심 이해로부터 변화하게 됨을 확인한다. Ⅲ장에서는 성호가 접한 서학의 영혼론과 뇌에 관한 지식의 성격을 분석하고 성호의 수용 양상을 확인한다. 영혼론과 뇌에 관한 지식은 동아시아에 전달되면서 일정한 논점을 낳는다. 성호는 이 지식을 원본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개념적 조작과 재맥락화를 통해 선별적으로 받아들인다. 성호가 영혼론과 뇌에 관한 지식을 심성론의 차원에서 수용했음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다룬 논의를 종합하여 성호의 심 이론에 보이는 초점의 변화가 서학의 인체 이론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을 검토한다. 심성론의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제출된 대기소기론(大氣小氣論)에 서학의 인체 이론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확인한다. 나아가 뇌에 관한 지식을 통해 전통적인 미발 지각(未發知覺)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할 가능성을 확보했음을 밝힌다. 결국 기존의 심 이해와 달리 성호의 심 이론에서 보이는 마음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작동에 대한 관심은 유학의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서학의 지식을 일방적으로 수용한 결과가 아닌, 새로운 자원을 통해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여 유학의 내부를 넓힌 결과라고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continuity and deviation that arise from the understanding of Seongho’s theory of heart-mind, and highlighted the utilization of the theory of human body in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heories of heart-mind. Previous studies on Seongho tended to treat his theory of heart-mind and adoption of Western Learning as separate domains. Research on Seongho’s theory of heart-mind does not address the issues surrounding the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Conversely, research on his incorporation of Western Learning only briefly deals with the theory of heart-mind. However, understanding these two aspects separately cannot explain the complex element that constitute Seongho’s theory of heart-mind.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Seongho’s theory of heart-mind by integrating these two aspects, namely the theory of mind and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human body from Western Learning, departing from the previous research trend of treating them separately. In particular, it identified the possibility that Seongho, in the process of inheriting the traditional theory of heart-mind, accepted the theory of human body, resulting in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mind compared to traditional theories of heart-mi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apter 2 analyzed the challenges faced by Seongho in traditional theories of heart mind and his responses. He aimed to inherit Toegye’s ideas and counter the criticisms of Kobong and Yulgok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四端七情. After reviewing the debates among Toegye, Kobong, and Yulgok, Seongho proposed the theory that both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are manifestations of the principle, also known as li 理. In this process, the focus of the heart-mind shifted from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mind. Chapter 3 analyzed the nature of the soul theory and knowledge of the brain encountered by Seongho in Western Learning and identified Seongho’s mode of acceptance. The acceptance of soul theory and knowledge of the brain in East Asia raises certain issues. Seongho selectively accepted this knowledge through conceptual operation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rather than accepting it as is. This study explored how Seongho incorporated the soul theory and knowledge of the brain into the dimension of his theory of heart-mind. Chapter 4 synthesized the discussions covered in Chapter 2 and 3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the shift in focus of Seongho’s theory of mind originated from the West Learning’s theory of human body. It identified the possibility that the theory of human body in West Learning influenced Seongho suggesting the theory of Daegi-sogi 大氣小氣論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hallenges of the theory of mind.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traditional weifa-zhijue 未發知覺 through knowledge about the brain. Ultimately,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interest in the functioning of heart-mind that was evident in Seongho’s theory of mind, unlik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mind, could be interpreted not as a result of one-sided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but as a broadening of Confucianism by utilizing new resource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