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1 Download: 0

박완서 노년소설의 공간성 연구

Title
박완서 노년소설의 공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ity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Authors
LIU, JIA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박완서, 노년소설, 페미니스트 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박완서 노년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이 다양한 공간을 활용해 정체성을 형성해 온 경험과 과정을 바탕으로 박완서 노년소설이 지닌 공간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페미니스트 지리학에 바탕을 둔 이론과 노년학 이론으로 박완서 노년소설의 공간성을 해석하려 한다. 페미니스트 지리학은 페미니즘과 지리학의 결합으로 공간, 장소, 스케일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는 학문이다. 페미니스트 지리학은 전통적인 지리학이 제시하는 공간 연구를 넘어, 기존에는 지리학적으로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미시적 공간인 ‘몸’과 ‘집’을 중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고 젠더, 정체성, 주체성, 위치성 등을 결합해 지리학 내에서 새로운 연구 경향을 형성하고 있다. 박완서의 노년 소설 속 노년 여성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소극적인 경우도 있지만 노년기의 성숙한 통찰력을 이용해 당당하게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경우가 더 많다. Ⅱ장에서는 ‘몸’, ‘집’ 공간에 집중하고 가부장적인 시선이 여성의 몸을 젠더화하는 것을 관찰해고, 수행적인 여성성에 따라 공간을 교란해서 갈등과 충돌을 일으킨다. 박완서 노년소설은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의 교환 가치를 구현하고 있으며, 여성의 몸을 공간으로 본다면 여성의 성욕에 대한 권력의 통제와 생식행위의 제한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몸이 구현하는 방식이나 타인의 시선을 통해 보여주는 방식은 몸이 있는 공간에 따라 다르다. 박완서 노년소설의 여성은 가부장제의 시선에 맞서 자신의 몸이라는 공간으로 억압적 의식을 교란하는 선택을 했다. 여성의 몸은 단순한 사적 영역이 아니라 내외 접면과의 교차점이기 때문에 더 이상 수동적이거나 고정된 물질이 아니라 오히려 자발적이고 유동적이며 생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집’은 확장된 ‘몸’으로 감각적 요소에 따라 노년 여성이 공간에 대해 인식, 부여하는 의미 정도가 달라지고 공간에 대한 기억과 추억이 달라진다. 자신의 의지에 따라 ‘집’에 반복적으로 탈출하고, 규정하는 경계를 어기고 생활공간을 ‘집’에서 밖으로 확장하는 것도 저항이다. Ⅲ장에서는 ‘가족’ 공간을 중심으로 가족 스케일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다. ‘가족’은 사회구성체인 개인이 세계와 대면해 소통하는 공간이자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주체 내부의 인식론 대결을 보여주는 중심 무대이다. ‘가족’은 근대 산업화 이후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으로 재구성된 대표적인 공간으로 사회·경제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부분에서는 박완서 노년소설에서 가족 스케일이 어떻게 변화하고, 최소 단위인 사회 구성원 가족의 변화가 현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한다. 봉건적 가족 구조에서 여성은 광기의 언어 또는 자멸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친다. 자본주의의 침입으로 전통적인 가족주의의 패러다임이 깨지자 박완서는 자신의 상상력으로 사회공동체에 대한 상상을 구축했다.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점차 지리적 상상력을 확장하고, 혈연가족 추구에서 가족구조를 바꾸는 공동체 가족으로의 도약을 실현했다. Ⅳ장에서는 도시공간의 다양한 노년 여성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도시공간에서 노년 여성들은 타인의 억압적인 시선을 의식하면서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공간을 찾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은 대부분 서울 근교이다. 그러나 박완서는 도시공간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고 치유 가능성을 제시해 도시와 농촌 이분법을 깼다. 오늘날 사람들은 한 곳에서 영원히 살기 어렵고 빈번한 이동은 도시와 농촌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공간의 유동성을 반영한다. 박완서의 노년소설에서 공간의 경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공간의 의미는 항상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노년 여성들이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일을 경험하고, 이런 체험으로 인해 이러한 공간들이 익숙한 장소로 변모하고 있다. 이 점은 한 사람이 어떻게 공간을 체험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잘 보여준다. 주체는 공간과 관계를 맺고 사건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그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처럼 남성 주체의 공간 상상 속에 내재된 폭력성에서 다양한 여성의 다양한 공간은 젠더 권리로 구성된 단일하고 규범화된 공간을 분열시키고, 이러한 공간은 역설적이고 확장적이고 유동적이다. 이 논문은 역사적으로 사적인 차원으로 여겨졌던 여성의 몸은 물론 ‘집’과 도시 등 젠더화된 공간을 박완서의 노년소설을 통해 페미니스트 지리학적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박완서 노년소설이 지닌 공간성 및 문학사적 의미를 탐구해보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rocesses through which the female characters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utilize various spaces to form their identitie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nterpret the spatiality of Park Wan Seo’s old age novel through theories based on feminist geography and gerontology. Feminist geography is a discipline that combines feminism and geography to address questions of space, place, and scale. Feminist geography goes beyond the spatial studies presented by traditional geography to focus on the micro-spaces of ‘body’ and ‘home’, which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geography, and combines gender, identity, subjectivity, and locality to form a new research trend within geography. Older women in Park Wan Seo’s novels are sometimes passiv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but more often they use the mature insights of old age to assert themselves. In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spaces of ‘body’ and ‘family(home)’ and observes the gendering of women's bodies by the patriarchal gaze, and the disruption of these spaces by performative femininity, creating contradict and clash.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embody the exchange value of women’s bodies and sexuality, and if we look at women’s bodies as spaces, we can see the power’s control over women’s sexuality and the restriction of reproductive behavior in three dimensions. The way the body embodies and the way it is seen by others depends on the space it occupies. The woman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makes a choice to confront the patriarchal gaze and disrupt the oppressive consciousness with the space of her body. Because the female body is not simply a private sphere, but an interse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s, it can no longer be understood as a passive or fixed substance, but rather as a spontaneous, fluid, and productive interacting force. The family (home) is an extended ‘body’, and different sensory elements change the degree of meaning that older women perceive and give meaning to the space, as well as their memories and recollections of the space. Repeatedly escaping home of own volition, breaking the boundaries others established and expanding your living space outside of your home is also resistance. In the third chapter explores the evolution of the family scale, focusing on the ‘family (home)’ space. ‘Family (Home)’ is a space where individuals, as social constructs, communicate with the world face-to-face, and it is the center stage for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public/private space and showing epistemological confrontation within the subject. The ‘family (home)’ is a representative space that has been reconstituted in the post-industrial era by the combination of patriarchy and capitalism, and is crucial to social and economic life. This section explains how the family scale changes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and how changes in the smallest unit of society, the family, have local effects. In feudal family structures, women assert themselves through the language of madness or self-destruction. When the invasion of capitalism shattered the paradigm of traditional familism, Park Wan Seo used his imagination to build a social community. A gradual expansion of the geographic imagination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a leap from the pursuit of the blood family to a community family that changes family structure. In the fourth chapter focuses on various images of older women in urban spaces. In urban spaces, older women are conscious of the oppressive gaze of others and seek other spaces to form a positive self-identity, mostly in the suburbs of Seoul. However, Park Wan Seo breaks the urban-rural dichotomy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healing without completely denying urban space. Today,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live in one place forever, and frequent movemen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reflects the fluidity of space.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the boundaries of space are not fixed, but the meaning of space always implies the possibility of change. The older women experience various things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se experiences transform these spaces into familiar places. This illustrates how a person experiences and gives meaning to a space. The main body relates to the space and shapes its identity in the course of events. In this way, on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male subject’s imagination of space and the diverse spaces of women fragment the single, normative space of gender rights, and these spaces are paradoxical, expanding, and fluid.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gender spaces such as women’s bodies, ‘families (homes)’, and cities,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considered private, from a feminist geography perspective through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and ultimately explore the spatial and literary history implications of Park Wan Seo’s old age no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