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8 Download: 0

코로나19 전후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의 우울 변화 탐색

Title
코로나19 전후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의 우울 변화 탐색
Other Titles
Exploring changes in depression among dual-income couples raising young children before and after COVID
Authors
방지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맞벌이 부부, 우울, 코로나19, 대처, 배우자 지지, 삶의 만족, 결혼만족, 잠재프로파일분석, 잠재전이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의 우울 양상 변화에 대해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재난이 부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맞춤형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우울은 이질적이고 복합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 차원을 넘어 관계에서 전이되기에 가족 체계 중 가장 기본 단위이며 친밀한 관계인 부부 대상의 유형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부부를 대상으로 진행된 우울 유형화 연구는 없으며 소수의 연구에서만 개인 우울의 유형을 살펴보거나 변화를 탐색하였다(김은주, 2022; 김춘경, 조민규, 2017; 유상미 외, 2011; 전진아 외, 2012; 정동희, 심은정, 2018; 허만세,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 418쌍을 대상으로 SPSS 22.0과 Mplus 8.0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잠재전이 분석을 실시하여 부부 단위의 우울 유형화 및 유형 전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코로나 전후 맞벌이 부부의 우울이 어떠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각 유형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소득, 배우자 지지, 대처와 코로나 위험 지각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잠재프로파일별 삶의 만족과 결혼 만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 전 맞벌이 부부의 우울은‘부부 저우울 집단’(82.56%)과‘아내 고우울 집단’(17.43%)으로 분류되었다. ‘부부 저우울 집단’은 부부 모두 CES-D 우울증 증상 절단점 16점 미만으로서 유의한 우울을 경험하지 않는 건강한 집단으로 이해된다.‘아내 고우울 집단’의 아내는 CES-D 33.66점으로 중증도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남편은 CES-D 20.66점으로 경미한 수준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에는 ‘부부 저우울 집단’(61%),‘남편 고우울 집단’(19.2%),‘아내 고우울 집단’(19.8%)으로 분류되었다. 그런데 코로나 이전에는 없었던 ‘남편 고우울 집단’이 새로 출현하였으며 이 집단의 경우 남편 CES-D 28.84점으로 중증도 이상의 우울을 보였고 아내 CES-D는 17.36점으로 경미한 우울을 보였다. ‘부부 저우울 집단’은 부부 모두 CES-D 16점 미만으로 우울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아내 고우울 집단’의 경우 아내 CES-D는 31.36점으로 중증도 이상의 우울을, 남편 CES-D는 16.71점으로 경미한 수준의 우울을 보였다. 코로나 전후 맞벌이 부부의 우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소득, 대처, 지각된 배우자 지지, 코로나 위험 지각을 살펴보았다. 코로나 전 아내의 대처와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주었으며, 코로나 후에는 아내의 대처, 지각된 배우자 지지뿐 아니라 남편의 대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유형 분류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대처와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우울에 보호 자원으로서 기능함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코로나 전후 맞벌이 부부의 우울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는데, 코로나 전 부부 저우울 집단의 부부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은 아내 고우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에는 부부 저우울 집단의 아내와 남편의 삶의 만족, 결혼만족이 나머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만 남편 고우울 집단 아내의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 모두 아내 고우울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남편은 삶의 만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결혼 만족에 대한 부부의 성차가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코로나 전후 부부 우울 잠재프로파일이 어떻게 전이 되는지, 전이에 부부의 소득, 대처, 지각된 배우자 지지 및 코로나 위험 지각이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코로나 전 부부 저우울 집단에서 코로나 후 부부 저우울 집단으로 72% 전이 되었고, 남편 고우울 집단으로는 18.6%, 아내 고우울 집단으로는 9.4% 전이 되었다. 코로나 전 아내 고우울 집단에서 이후 부부 저우울 집단으로는 26.8%, 남편 고우울 집단으로는 24.6%, 아내 고우울 집단으로는 48.6% 전이되었다. 전반적인 경향성으로 보면 우울이 유지된 경우가 65.5% 회복된 경우는 5%라고 이해할 수 있으며, 악화된 경우가 29.5%를 차지해 재난으로서 코로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코로나 전후 우울 잠재프로파일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절 변인으로서 코로나 전 남편이 배우자 지지를 많이 지각할수록 코로나 이후 부부 저우울 집단보다 아내 고우울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 관계에서 개인에게는 보호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자원이라도 상대방에게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뜻하며 추후 개입에서 성차와 우울의 특수성을 고려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코로나 이전 남편이 대처를 많이 한 경우 코로나 이후 아내 고우울 집단보다 남편 고우울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되어 우울을 낮추고 배우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처가 코로나라는 특수한 재난 상황에서는 대처를 사용하는 개인에게는 우울을 높이는 역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뜻한다. 부부 우울 잠재전이집단의 코로나 후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을 살펴본 결과, 코로나 전과 후 부부 저우울에 머무른 잠재전이집단의 아내의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코로나 전과 후 아내 우울이 중증도 이상으로 유지된 유형의 아내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 모두는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이전에 아내 고우울 집단에서 부부 저우울로 회복되어 전이된 집단의 아내 결혼만족이 남편 고우울로 전이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여성이 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반면 남편의 경우 코로나 이후 남편이 중증도 이상의 우울을 나타내는 유형으로 악화되어 전이된 경우 다른 집단들에 비해 남편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지만, 결혼만족은 집단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남편의 결혼만족은 코로나 전후로 우울을 경험하지 않은 건강한 집단 혹은 부부 저우울로 회복되어 전이된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아내와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잠재전이 집단별 코로나 전후의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전후 부부 모두 낮은 우울을 경험하여 건강한 유형을 유지한 집단의 경우 아내와 남편 모두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코로나 전에는 부부 모두 우울이 낮았으나 코로나 후 부부 중 한 명의 우울이 중증 이상으로 악화되어 전이된 경우, 우울이 높아진 쪽의 결혼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코로나 전 아내 고우울에서 코로나 후 부부 저우울로 회복되어 전이된 경우 아내의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 모두 증가하였다. 코로나 전 아내 고우울에서 이후 아내 고우울로 전이된 경우 남편 삶의 만족도만 유의하게 증가하여 전이 유형에 따라 부부가 나타내는 삶의 만족과 결혼만족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일과 가정을 양립해야 하는 맞벌이 부부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과 코로나라는 특수한 재난 상황에서 부부 우울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별 특징 및 변화를 살펴보아 부부 정신건강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데 있다. 또한 부부의 대처와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우울에 보호 자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다만, 부부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개인의 우울 수준에 따라 제공자에게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여 우울을 높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공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배우자 지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덧붙여 일상에서는 개인의 우울을 낮추는 자원으로서 기능했던 대처가 재난 상황에서는 다른 기제로 작용하여 우울을 높일 수 있음 또한 확인되어 추후 재난 상황이 발생할 때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대처방식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pression of couples in depth before and after COVID and to derive basic data for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the depression of dual-income couples raising young children. Accordingly, 418 double-income couples raising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for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Mplus 8.0. In Study 1, the depression of double-income couples before COVID was classified into the "Low depression couple" (82.56%) and the "High depression wife" (17.43%). The "Low depression couple" is understood as a healthy group that does not experience significant depression. The wife of the "High depression wife" experiences severe depression and the husband experiences a minor level of depression. After COVID, the depression of double-income couples was classified into “Low depression couple”(61%), "High depression husbands" (19.2%), and “High depression wife”(19.8%). A new "High depression husband," which did not exist before COVID, appeared, and the husband of this group showed severe depression, while his wife showed mild depression. For the “Low depression couple”, both wife and husband showed no symptoms of depression, while in the case of the "High depression wife," the wife showed severe depression and the husband showed mild depression. Before COVID, the wife's coping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nd after COVID, not only the wife's coping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but also the husband's coping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types. Before COVID, the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Low depression coup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depression wife”. After COVID, the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and husbands in the “Low depression coup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st of the group. However, the wife of the “High depression husbands”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High depression wife”, but the husband 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confirming the couple's gender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In Study 2, 72% of“Low depression couple” before COVID moved to “Low depression couple, 18.6% moved to“High depression husbands” and 9.4% moved to “High depression wife“ after COVID. 26.8% of “High depression wife“ before COVID moved to “Low depression couple”, 24.6% moved to“High depression husbands” and 48.6% moved to “High depression wife“ after COVID. Overall, it can be understood that 65.5% level of depression cases were maintained, 5% of cases were recovered, and 29.5% of cases worsened, confirming the influence of COVID as a disaster. Spousal support as a moderator variable affecting the transition of depression latent profiles before and after COVID, the more husb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before COVI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High depression wife” than “Low depression couple” after COVID. If the husband did coping behavior a lot before COVI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High depression husbands” was higher than “High depression wife” after COVID. Both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wife who stayed “Low depression couple” before and after COVI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And both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wife who stayed “High depression wife” before and after COVI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It was once again confirmed that women were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relationships than men, as marital satisfaction of wife who moved to “Low depression couple” from “High depression wife” before COVID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moved to “High depression husband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usbands, the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hen the husband deteriorated to a type of depression with severe or higher severity after COVID, but marital satisfaction was relatively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healthy group that did not experience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OVID, or in a group that recovered and moved to “Low depression couple”, showing a difference from his wife. Finally, in the case of the group that both couples experienced low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OVID, both wives, and husband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Before COVID, both couples had low depression, but after COVID, if one of the couples' depression worsened to severe level,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ose with higher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Both wife's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d when she recovered from high depression before COVID to low depression after COVID. In the case of the transition from “High depression wife” to “High depression wife”, only satisfaction in the husband's life increased significantly, confirm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expressed by couples depending on the type of transition.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implications for future interven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