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6 Download: 0

국내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연구 동향 및 주제 분석

Title
국내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연구 동향 및 주제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research trends and topics on Digital Mental Health Interventions in Korea: Using a scoping review and text mining
Authors
장미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용어 사용, 비대면상담, 디지털상담, 기술기반분류, 치료기반분류, 주제범위 문헌고찰, 텍스트마이닝, LDA 토픽모델링,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파이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은 의료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보위원회에서는 심리상담 영역에 초거대 AI를 접목하고자 하는 구상을 발표하며 국내 정신건강 영역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디지털 개입의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근거기반실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개입에 대한 충분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미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에 대한 막대한 자금과 누적된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불신이 지속되는 것은,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이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서 자리잡고 있지 못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영역의 비체계적인 용어 사용 문제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다. 용어 사용에 대한 합의나 체계가 없는 상태에서 기술 개발 과정과 함께 새로운 용어가 계속 등장하였고, 개별적인 논의가 이어짐에 따라 혼란이 더욱 가중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논의가 이어지는데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비체계적 용어 사용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지만, 국내 장면에서는 아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용어 사용의 문제와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용어 사용의 틀을 제안하고 앞으로의 연구 주제 및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문헌 가운데 기준에 따라 118편의 문헌을 선별하였고, 선별된 문헌은 주제범위 문헌고찰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적용하여, 국내의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영역의 연구 동향과 이에 사용되는 용어 및 기술 범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문헌의 일반적 특징에서 2022년까지 출판물이 증가하고, 저자 및 학술지 영역에서는 교육학과 심리학에서의 연구가 많이 진행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 영역에서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연구비는 연구비는 정부에서 지원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 윤리적 측면에서는 일부 연구만 윤리적 절차를 고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담 영역에서는 심리정서 증상을 목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이론으로는 인지행동치료, 연구 영역으로는 성과연구, 상담 적용 영역으로는 상담 및 심리치료에 적용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측면에서, 총 65개의 용어가 수집되었으며, 용어당 평균 1.8회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였다. 각 연구에서 언급한 용어를 실제 적용된 기술을 기준으로 본 연구자가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총 11개의 용어로 정리되었다. 정리된 용어는 여러 하위영역을 아울러 지칭하는 상위용어와 실제 적용된 기술을 반영한 하위용어로 구분하였다. 상위용어는 기술 영역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디지털상담’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하위용어는 적용된 기술에 초점을 두고 용어를 사용하여 전문가들 간의 의사 소통에 혼란이 없게 하였다. 연구 1의 결론 및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분야에서 용어 사용의 비일관성이라는 문제가 확인되었으며, 이에 연구자는 용어의 구조 및 사용을 제안하였다. 둘째, 연구 분석 결과, 국내에서는 화상상담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전반에 대한 충분한 근거 확충을 위하여 연구 주제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연구 2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국내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 수집한 문헌의 국문초록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4개의 토픽을 확인하였다. 각 토픽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키워드 간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4개의 토픽명을 정하기 위하여 다빈도 키워드와 네트워크, 그리고 배정된 문헌을 참고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토픽명은 ‘어플리케이션 등 개발과 효과’(토픽 1), ‘가상현실과 챗봇의 개발과 효과’(토픽 2), ‘상담자-내담자의 디지털 상담 경험과 인식’(토픽 3), ‘코로나19와 상담’(토픽 4)으로 정하였다. 분석 결과, 토픽 1과 2는 개발과 효과에 초점을 둔 주제로, 토픽 1은 디지털상담 확장형과 활용형의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상담을 디지털에서 재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효과에 초점을 두었고, 토픽 2는 디지털 활용형과 디지털 치료형의 기술이 적용되어 새로운 기술을 상담에서 구현해야 하는 과제가 있으므로 개발에 초점을 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토픽 3과 4는 상담자 내담자 경험을 다루고 있는데, 토픽 3은 실제 디지털상담을 사용하며 각 기술에 대한 장단점을 다루고 있다면, 토픽 4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디지털상담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겪은 경험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 2의 결론 및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주제 다양화 측면에서 디지털 개입의 구현 방식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디지털을 이용한 상담 구현 방식에 따라 디지털 확장형, 디지털 활용형, 디지털 치료형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적용과 실현 과정에 대한 논의를 보다 풍부하게 다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활용을 위한 윤리를 마련해야 하며, 셋째, 상담자를 위한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토픽 3과 4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상담자들은 코로나19를 통해 갑작스럽게 디지털 개입을 적용하게 되었는데 준비없이 적용하는 과정에서 혼란스러움과 많은 윤리적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상담자를 위한 디지털 개입 윤리와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 1과 2의 결과를 종합하여 종합 논의와 연구적 함의 및 실무적 함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종합 논의로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에서 체계적인 용어 사용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체계적인 용어 사용의 틀을 제안하였다. 합의된 용어 사용은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근거기반실무를 위한 연구 기반을 쌓아가는데 중요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용어의 기능적 측면 즉, 사용되는 기술 영역을 파악하여 여러 기술을 포괄적으로 언급하는 용어인 상위용어와 특정 기술을 지칭하는 하위용어로 위계적인 틀을 구성하였고, 각 기술 영역에 따라 용어를 구분함으로써 국내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용어 사용 틀을 제시하였다. 연구적 함의로는 첫째,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연구 주제 다양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화상상담 연구와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효과성, 경험에 대한 연구가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으로 정신건강 영역에 적용되는 기술은 점차 확장될 것이며, 상담자들의 주도적인 참여가 촉구된다. 전자 정신건강 외 모바일, 확장현실, 인공지능형 정신건강 개입에 대한 접근과 디지털 기술의 구현 방식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등 연구 주제 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디지털 정신건강 연구 수행시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은 다학제적 성격을 띄는데, 각 학문 분야마다 합의된 윤리적 연구 절차를 따라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자들은 인간대상연구와 이해상충 보고를 통하여 연구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실무적 함의로는 첫째, 국내 임상 현장에서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확산을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도입은 건강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된다. 단계적 치료 모델(stepped care model)을 통하여 내담자의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여 증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나 대기자를 대상으로 디지털을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상담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해야 한다. 앞으로 디지털의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문가로서 유능하게 디지털 상담을 적용하기 위해 상담자들의 디지털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국내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의 용어 사용 문제를 확인한 첫 번째 연구이며, 결과를 토대로 용어 사용의 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을 기술기반분류와 치료기반분류를 시도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 주제의 다양화를 위한 시도를 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 분야에서 생소한 연구 방법인 주제범위 문헌고찰과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함으로써 심리학 분야의 연구 방법론적 다양성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방법은 연구 절차 및 해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분양의 용어 분류 및 사용 제안에 그쳤다. 추후, 용어 분류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류 기준에 따른 특징 및 주제, 효과성 등을 파악하여 개입별 특징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국내의 디지털 정신건강 개입 문헌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대한 많은 문헌을 포함하고자 하였으나 포함되지 못한 연구들이 있어 추후 학위논문이나 연구보고서, 인터넷 게시글 등과 같은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여 분석할 것을 고려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and scope of research on Digital Mental Health Interventions (DMHI) in Korea. To do so, a scoping review and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were conducted using 118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9 to 2023. In Study 1, a scoping review was appli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terminology, and technological categories utilized in the field of DMHI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creased until 2022, and the authors and academic journals were predominantly from the fields of education and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used, and government funding was the most prevalent source of funding. In terms of ethical considerations, only a few studies were found to have taken ethical procedures into account. The majority of studies in the counseling domain focused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ymptoms,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eing the most common theoretical approach, outcome research being the main research area, an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eing the primary counseling application areas. Regarding the terminology used in the literature, a total of 65 terms were collected, with an average of 1.8 occurrences per term, requiring an organiz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terminology. The researchers categorized the terms into 11 categories based on the actually applied technologies mentioned in the studies, distinguishing between overarching terms that encompass multiple subfields and subterms that reflect the applied technologies. The researchers proposed using the term "digital counseling" as an umbrella term considering the expansiveness of the technological domain, while the secondary terms focused on the applied technologies to ensure clear communication among exper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Study 1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 of inconsistent terminology usage in the field of DMHI in Korea has been identified. Researchers have proposed recommendations for terminology usage and structure based on technology-based classification. Secon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research predominated in Korea. Th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to provide sufficient evidence for DMHI overall, such as mobile expended reality, artificial intelligence mental health interventions, was mentioned. In Study 2, text mining was applied to examine the research topics of DMHI in Ko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Korean abstracts of the literature collected in Study 1, and through LDA topic modeling analysis, four topics were identifie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each topic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Based on the frequent keywords, the network, and the assigned literature, the researchers determined the final topic names as follows: "Development and Effects of Applications and Others" (Topic 1), "Development and Effects of Virtual Reality and Chatbots" (Topic 2), "Digital Counseling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Counselors and Clients" (Topic 3), and "COVID-19 and Counseling" (Topic 4).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opics 1 and 2 focus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Topic 1 primarily focuses on reproducing existing counseling in a digital environment by applying technology in digital counseling expansion and utilization, emphasizing effectiveness. On the other hand, Topic 2 addresses the challenge of implementing new technologies in counseling, specifically digital utilization and digital therapeutic approache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spect. Additionally, Topics 3 and 4 deal with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and clients, and Topic 3 actually uses digital counseling and examin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while Topic 4 addresses the experienc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digital counseling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Study 2 are as follows. First, to diversify the topics of DMHI,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DMHI by subdividing them into therapy-based classification as “Digital Expansion,” “Digital Utilization,” and “Digital Therapeutic Approaches.”, thereby enriching the discussions on the application and realization process of DMHI. Second, ethical considerations for utilizing DMHI need to be established. Third, education on DMHI should be provided for counselors. As indicated in Topics 3 and 4, counselors experienced confusion and ethical issues when implementing digital interventions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due to the sudden application brought about by COVID-19.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ethical guidelines and educational programs of digital interventions for counselors to ensure that they are equipped with the necessary skills and knowledge to provide effective counseling services in the digital ag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Studies 1 and 2 were integrated and comprehensively discussed. First, systematic terminology usage is required in DMHI. Consensus on terminology usage is crucia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experts and also for establishing research foundations for evidence-based practices in DMHI. The framework for terminology usage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con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in DMHI is needed.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highlighted digital counseling studies and the effectiveness and experiences of DMHI as the major topics. However, with digital technology gradually being applied to the mental health area, active participation of counselors is encouraged for th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intervention. Moreover, by expanding the research scope, such as an approach toward DMHI using mobile, extend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other than electronic technologie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settings. Third, ethical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conducting digital mental health research. DMHI is a multidisciplinary field and should adhere to agreed-upon ethical research procedures in each academic domains. By considering these aspects, research independence and reliability can be ensured through reporting conflicts of interest in research involving humans. Fourth,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DMHI in clinical settings in Korea need to be considered. The introduction of DMHI is proposed as a means to alleviate health inequaliti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interventions can be considered by classifying clients with low symptom severity or those on a waiting list based on a ‘stepped care model’. Fifth, counselors’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ovide digital counseling as an expert, it is necessary to enhance counselors’ digital compe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it is the first attempt to deal with the issue of terminology usage in the field of DMHI in Korea, and based on the findings, it proposes a terminology structure and usage guidelines. This provides a structural foundation for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interventions. Second, this study applies research methods that are not commonly used in psychology, which are scoping review and text mining. Such attempt to apply a new method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psycholog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involve a high degree of researcher subjectivity in the research procedures and interpretation process. Therefore, additional verification procedures are necessary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cond, this study focused on classifying and proposing terminology for DMHI.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topics, and effectiveness of each intervention by subdividing the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the terminology classification. Third, although efforts were made to include as many literature sources as possible in the examination of Korean literature on DMHI, there may be studies that were not included. As the scoping review covers gray literature,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including materials such as thesis, research reports, and internet postings in the analy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