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6 Download: 0

친밀한 대상과 사별한 성인의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관계

Title
친밀한 대상과 사별한 성인의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rolonged Grief: Testing the Mediation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oderated by Ego-resilience
Authors
장효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성인애착, 지속비애, 정서조절곤란, 자아탄력성, 비애상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의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으로 조절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동안 사별이라는 사건의 보편성과 DSM-5, ICD-11과 같은 정신병리 진단 체계의 확립에 따라 지속비애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기존 국내외 사별 연구는 사별과 비애 반응에 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학문적 이해와 관심을 높여왔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두 가지 한계가 있었다. 첫째, 대부분 지속비애의 발생 경로를 병리적인 관점에서 지속비애의 위험요인에만 주목하였으며, 둘째,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정적 관계는 밝혀진 바 있으나 두 변수 사이의 매개변수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데, 애착은 유아기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개입이나 변화가 쉽지 않아, 비교적 개입이나 변화가 쉬운 매개변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속비애 증상의 수준을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친밀한 대상과 사별한 지 6개월 이상 지난 국내 성인 남녀 323명으로부터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SPSS 23.0과 Mplus 8.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이 지속비애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과 지속비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자아탄력성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애착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일수록 높은 수준의 지속비애 증상을 경험하기도 하고, 높은 수준의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높은 수준의 지속비애 증상을 경험하기도 하고, 이러한 정서조절곤란이 지속비애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관계를 인과적이면서 상호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해 지속비애의 복합적인 발생 경로를 살펴보았다. 둘째, 정서조절곤란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지속비애의 정서적 기제를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지속비애의 보호요인으로 기능하는 개인 내적 성격 특질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애 반응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있는 역동적인 특성이 있음에도 설문조사 시점에서 단 한 번 측정되었기 때문에 지속비애 수준을 명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였다. 둘째, 참여자의 인구통계학 변인과 사별 경험 변인을 함께 측정하였으나, 표본크기의 제한 문제로 공변수로 통제하지 못하여 맥락적 다양성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종단 설계를 하여 본 연구 결과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안정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충분히 큰 표본크기를 통해 사별 맥락을 반영하는 변인들을 통제한 채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애 상담(grief counseling)에서의 통합적 내담자 이해, 치료적 개입, 상담 관계와 관련된 제언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moderated by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rolonged grief among Korean adults. The need for research on prolonged grief has emerged due to the universality of berea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psychiatric diagnosis systems such as DSM-5 and ICD-11. Previous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have contributed to academic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bereavement and grief reactions through various empirical studies. Regardless, there were two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Firstly, most studies have focused solely on the risk factors of prolonged grief from a pathological perspective. Secondly, although some studies have exami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rolonged grief, there has been a lack of focus on the mediator variable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is calls for research that explore more flexible mediator variable that are prone to intervention or change compared to attachment, which is the outcome of the interaction with the primary caregiver and the infant during infancy.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o identify both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predict the level of prolonged grief symptoms.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Korean adults who experienced the loss of an intimate person at least 6 months ago.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elf-reporting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Mplus 8.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prolonged grief. Seco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rolonged grief. Lastly, it was revealed that ego-resilie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rolonged grie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adults with high levels of attachment anxiety experience high levels of prolonged grief symptoms. Furthermore, they experience high level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which in turn leads to high levels of prolonged grief symptoms. In other words, the positive influence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 prolonged grief is weakened as one's level of ego-resilience increa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everal aspects. First, it examines the pathway of occurrence of prolonged grief through a moderated mediation model, allowing for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from a causal and mutual perspective. Second, it empirically identifies the emotional mechanism of prolonged grief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Third, by considering ego-resili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it identifies an individual's internal personality trait that can function as a protective factor of prolonged grief. Meanwhile, there are two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the grief reaction was measured only once at the time of the survey,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dynamic process that evolves over time. Second, the impact of contextual diversity was not taken into account.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variables and bereavement experience variables were measured, they were not treated as control variables due to limitations in sample siz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adopts a longitudinal design to examine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main consistent over an extended period, and aims for large sample size that allows the account of control variables to reflect the contextual aspects of bereavement. Lastly, suggestions for grief counseling, related to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clients,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counseling relationship are st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