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4 Download: 0

경제활동 장애인의 코로나19 위험 인식 정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경제활동 장애인의 코로나19 위험 인식 정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level of COVID-19 risk awarenes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ho stay active economicall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y service trust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경제활동 장애인, 코로나19 위험 인식, 삶의 만족, 정책서비스 신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활동 장애인의 코로나19 위험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정책서비스 신뢰의 조절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코로나19와 같은 전 세계적 감염병이 다시 도래되었을 때 감염병에 대한 위험 인식으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장애인이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법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통합과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제활동 장애인의 코로나19 위험 인식이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경제활동 장애인이 인지하는 정책서비스 신뢰가 코로나19 인식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한다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장애인고용 패널조사 2차 웨이브 6차 조사 자료(2021년)를 활용하였으며,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리,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패널은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약 3개 월간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 장애인의 코로나19 위험 인식은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위험 인식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정책서비스 신뢰도가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활동 장애인의 코로나19 위험 인식이 삶의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를 고려할때 경제활동 장애인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 위험 인식에 대한 불안감을 낮출 필요가 있다. 둘째, 코로나19와 같은 국제 감염병이 다시 도래되기 전, 감염병에 대한 경제활동 장애인의 정책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경제활동 장애인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개입을 사전에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하여 경제활동 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 모두 사회적으로 고립 기간이 장기화하였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 한 적절한 복지지원 정책과 전달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코로나19에 대한 장애인 정책서비스 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요구되기에, 정부는 장애인과 경제활동 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대우를 통해 정책서비스의 신뢰를 높여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비경제활동을 포함하여, 각 집단을세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 패널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한 양적연구로써 경제활동을 하는 장애인의 결과를 살펴보았지만, 경제활동 코로나19 위험 인식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 구를 통한 심증적 자료수집이 뒷받침되면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stay active economically,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cy service trust in this relationship. When glob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outbreak once again,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happy life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by presenting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which can lower risk awareness of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e perception of COVID-19 risk among people with economic activity disabilities will nega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a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e trust in policy services perceived by the disabled who are active economically alleviates the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6th Wave of the 2nd Wave of the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2021)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and the IBM SPSS 26.0 program was utilized in implementing organization and the analysis. This panel was survey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May 2021 to August 202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COVID-19 risk among the disabled in economic activity negatively affects life satisfac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policy service trust alleviates the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analysis that the perception of COVID-19 risk among the disabled in economic activity negatively affects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lower anxiety on COVID-19 risk 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in economic activity. Second, before internation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outbreak agai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ep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economic activity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in economic activity. Third, due to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not only the disabled but also the disabled have been exposed to socially isolated environments for a prolonged period.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prepare appropriate welfare support policies and delivery system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as various measur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trust of policy services in compliance with in COVID-19 for the disabled, it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increase the trust of policy services through active support and treatment of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in economic activitie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verify each group in detail, including non-economic activities as well as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conomic activities as quantitative research using secondary data, but in order to deepen the perception of the risk of COVID-19 in economic activities, a wide understanding can be promoted if empirical data collec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s suppor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