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1 Download: 0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디어상에서의 국내 기업 ESG 교육 동향 분석

Title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디어상에서의 국내 기업 ESG 교육 동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Domestic Corporate ESG Education Trends in the Media Utilizing Big Data
Authors
나미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Keywords
ESG 교육, 빅데이터분석, 텍스트마이닝, 생태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종우
Abstract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government agencies,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increasingly emphasize adopting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practices to address the climate crisis and ensure long-term sustainability. In line with this global trend, South Korea is reforming its legal framework to promote ESG management as it approaches implementing the ESG disclosure system in 2025. Concurrently, relevant institutions actively engage in ESG education to enhance societal attitudes and awareness of ESG. The significance of corporate ESG education extends beyond its immediate impact on businesses, as it directly influences evaluation and investment decisions. Although domestic companies began initiating ESG education around 2020 and have been providing ongoing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n this area. This research employed a multifaceted analysis to examine the ESG education trends of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explore their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To effectively analyze these trends, this study utilize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analyzing media articles, social media content, and academic journals. The analysis involved conducting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cross different media sources to identify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and classify them into relevant topics. Additionally,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keyword network in relation to ESG education among domestic companies, while also exploring its connection with ec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big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he findings from the keyword analysis revealed that ESG education in companies tends to place a stronger emphasis on the environmental aspect. Keywords such as ecosystem, support, environment, eco-friendly, and carbon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media coverage, and they held significant importance based on their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weights. The analysis of social media data also highlighted meaningful TF-IDF weights for keywords like ecosystem, society, diversity, and environment. When examining academic journal keywords, it was observed that terms such as company, research, society, management, activity, analysis, impact, evaluation, responsibility, environment, and performance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educational-related keywords were not prominently featured among the top search terms, suggesting a relative scarcity of research on ESG education compared to other areas in the current academic literature. In order to explore the key issues in corporate ESG education, topic modeling techniques were utilized, revealing variations in the core themes across different media sources such as media coverage, Twitter, blog posts, and academic journals. The major focus areas that emerged were ESG education, promotion of ESG management practices, implementation of ES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ESG management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platforms, distinct core topics were identified, indicating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ESG education across various media channels. The findings suggest that companies are currently placing significant emphasis on determining the subject matter of ESG education, as well as implementing, promoting, and evaluating ESG management practices. However, it was also noted that in academic journals, there appears to be a relative scarcity of research specifically focused on educational aspects in comparison to studies exploring ESG-related factors. Secondly, through the analysis of corporate ESG education content,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ecological knowledg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extracted, confirming their relevance and association with ecological education.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e extraction of keywords such as ecology, environment, eco-friendly, diversity, carbon, and conservation, which are related to the ecological knowledge components of ecological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framework of ecological knowledge components showed overlap between the content of ESG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in media coverage and social media, ecological education-related keywords such as ecology, environment, sustainability, eco-friendly, and practice exhibited values in centrality analysis,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corporate ESG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volve exploring the ESG education trends among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suggesting ways to incorporate ecological education.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lies in highlighting the need to consistently analyze the ESG education trends of companies. Despite the current surge of interest in ESG, this study acknowledges the existing limitations and gaps in ESG education trend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relevant ESG education for companies by employing automated techniques. This study delved into the ESG education trends of domestic companies, thereby carrying academic significance. The analytical findings derived from this research can serve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on corporate ESG education, facilitating discussions and advancements in ESG education curriculum.;국내·외 기업, 정부부처, 정부출연기관, 대학에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를 도입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5년 ESG 공시를 앞두고 ESG 경영 추진을 위한 법제도를 개편하고 있으며, 관련 기관에서는 ESG에 대한 사회 전반의 태도와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ESG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평가 및 투자와 직결되는 요소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세계적 흐름 속에서 기업의 ESG 교육이 가지고 있는 파급효과가 크다. 2020년을 전후로 국내 기업들은 ESG 교육을 시작하였고 지속적 교육 제공이 필요하나 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ESG 교육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ESG 교육의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또한 기업의 ESG 교육 중 환경(Environment)영역에서의 교육내용이 생태교육의 교육과정과 유사함을 보이며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성이라는 공통된 목표를 지니기에 기업의 ESG 교육과 생태교육과 관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ESG 교육 동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생태교육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효과적인 동향 분석 방법인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업의 언론기사, 소셜미디어, 학술지 데이터를 통해 국내 기업의 ESG 교육을 살펴보았다. 국내 기업의 ESG 교육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매체별로 키워드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하여 현재 진행 중인 기업의 ESG 교육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키워드는 무엇이며 어떠한 토픽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매체별 국내 기업의 ESG 교육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고 생태교육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분석 결과 기업의 ESG 교육은 환경(E)영역에 포함되는 내용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론보도 상위 빈출 키워드인‘생태계’, ‘지원’, ‘환경’, ‘친환경’, ‘탄소’와 같은 키워드들이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가중치 값도 높게 나타났으며, 소셜미디어 분석결과에서도 ‘생태계’, ‘사회’, ‘다양성’, ‘환경’ 키워드들이 유의미한 TF-IDF 가중치 값을 보였다. 학술지 키워드 분석결과는 ‘기업’, ‘연구’, ‘사회’, ‘경영’, ‘활동’, ‘분석’, ‘영향’, ‘평가’, ‘책임’, ‘환경’, ‘성과’의 키워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교육과 관련된 키워드는 상위 검색어에서 확인할 수 없었으며 현재 ESG 학술연구에서 다른 분야에 비해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ESG 교육의 핵심 쟁점 탐색을 위해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결과 언론보도, 소셜미디어, 학술지 매체에 따라 핵심 쟁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언론보도, 소셜미디어 트위터, 소셜미디어 블로그, 학술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핵심 쟁점은 ESG 교육내용, ESG 경영 홍보, ESG 교육 실천, ESG 경영평가로 확인되었다. 소셜미디어의 성격에 따라 다른 내용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고, 매체별로 현재 ESG 교육을 반영하는 것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기업은 ESG 교육을 통해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와 ESG 경영 실천 및 홍보 및 평가가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술지 토픽 모델링 결과에서는 교육 관련 연구는 ESG 요소들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파악하였다. 둘째, 기업의 ESG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생태교육의 생태 지식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키워드들이 추출됨으로써 연관성을 확인하여 생태교육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생태’, ‘환경’, ‘친환경’, ‘다양성’, ‘탄소’, ‘보전’ 등 생태교육의 생태 지식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키워드와 생태 지식 내용요소 준거틀을 비교 분석한 결과 ESG 교육내용과 생태교육의 교육내용이 중복됨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언론보도와 소셜미디어에서는 ‘생태’, ‘환경’, ‘지속’, ‘친환경’, ‘실천’과 같은 생태교육 관련 키워드가 중심성 분석에서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어 기업의 ESG 교육이 생태교육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는 우리나라 기업의 ESG 교육 동향을 탐색해 보고 생태교육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며 연구의 실천적 의의는 기업의 ESG 교육 동향을 지속해서 분석해야 함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ESG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는 현재 추세와는 달리 ESG 교육 동향의 미비한 한계점을 파악하고 기업의 ESG 교육에 대한 시의성 확보를 위해 자동화된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기업의 ESG 교육 동향을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 결과는 기업의 ESG 교육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ESG 교육과정을 논의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