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3 Download: 0

한·중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Title
한·중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Folktales - Focusing on and -
Authors
Zheng, Yaying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Keywords
설화 교육, 한국어 교육, 문학 교육, 중국인 고급 학습자, 비교문학, 한·중 설화, 고전문학 교육, <나무꾼과 선녀>, <견우직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mparing Korean folktales with Chinese folktales for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It was conducted to remove the distance from Korean literary works as much as possible and improve literary skills in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knowledge of Chinese learners. As a work of classical literature, folktales have had a continuous value over many years and not only remain as classics, but also as a way to teach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recognized that folktales are good tex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most focus on 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functional education. Folktales contain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and it is possible to learn literature in a comprehensive way through the use of folkta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learners about folktales with a focus on literature and what they can learn about lif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narrativ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and analyze the pattern of using narrative in advanc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after selecting folktale works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in literary education, a specific discussion on literary education methods was conducted by using comparative literature as an educational method. In Chapter I, after confirming the necessity of comparing Korean-Chinese tales, these three aspects were considered: a study on folktale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study using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 study on and . It was confirmed that comparative literature was used as a useful educational method for literary educa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suggested that it’s appropriate to choose < A wood cutter and a nymph> and as the subjects of comparison. Finally, the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ere confirmed. In Chapter II, Taking Chinese advanced learners as the target, preliminary considerations were made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Korean-Chinese tale. First of all, the concept of Korean and Chinese folktales and the definition of branches were reviewed for the classification of folk tales. After that, the background of folktale education of Chinese learners and the subject of learning in this study were examined. In the compulsory education accepted by everyone, the folktale learning situation of Chinese learners in the course of Chinese education is observed. The result of shows that the publishers of elementary school Chinese textbooks generally included about 20 folktale pieces, with rich learning activities and additional materials, although the number of folktale pieces included slightly different. This confirms that Chinese learners are not lightly aware of folktales, and that they are works that Chinese learners can relate to. Then this study analyzed eight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 , , , , , . Through this analysis,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folktales in Korean textbooks and how the folktales are educated in advanced textbooks. The analysis criteria are consisted of collection method of works, collection type of works, and the themes and func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25 texts of 16 folktales were analyzed, and the significance of folktales education for Advances learners could increase language expression skills, resolve distance from Korean culture,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lead to self-reflection. In addition, it was derived that in the learning activities section, there is a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ully explore the folktales. In this way, the basis of the folktale education plan to be presented in this study was reviewed. Finally, In Korean folktale education, it was suggested that comparative literature is meaningful in terms of understanding human universal emotions and the specificity of Chinese and Korean culture, forming cultural identity, and intriguing Korean language learners. Chapter III, the selection of comparative works and contents to be compared are discusse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of Korean folktale using the comparison of Chinese and Korean folktale. First of all, in order to select the legendary works suitable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in China, five criteria were proposed, namely, works with clear educational value, literary character, works that influence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Koreans, works that show a variety of aspects of life, works that are controversial, and works that have similarities with Chinese works. According to these selection criteria, six tales were selected: , , , , , and . Among them, was confirmed as the text of the actual educational plan of this study. According to such criteria ---representative in the cultural history of China and Korea, reflecting the national culture, belonging to the same theme, the Chinese folktale work is used as the comparative object. The comparison contents were confirmed in three items: character, ideological culture, and branch. In Section A of Chapter IV,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Chapter II, focusing on and selected in Chapter III, the learning goals of utilizing Korean folktales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wer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of understanding unique national culture, cultivating literary appreciation skills, and improving language skills, exploring the learning skills in classical literary works also has relevance to present life,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of were prepared through comparison with When presen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comparative contents prepared in Chapter III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character, Ideological culture, and branch. The comparison part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male protagonists, female protagonists, and assistants. When dealing with the Ideological culture, five aspects were reviewed: the concept of marriage, punishment of evil and good deeds, the culture of filial piety, violation of taboos,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Finally, a branch comparison of these two works was conducted. Through these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nts of , and grasp the main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with , and the core ideas of the work. In addition, learners can understand the marriage culture and family culture of Korea, recognize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literary works, and explore the modern direction of acceptance of . Finally, Section B sought specific ways to educate tales by us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When presenting the class plan, it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the preparation and motivation stage, actual class activity stage, comparative analysis activity stage, and finishing stage. In the stage of comparative analysis activities, considering the setting of discussion and debate activities, the discussion and debate strategy is proposed. In addition, when preparing the subject of discussion and debate, it is set to express feelings about the work and to have various literary appreciation perspectives and rich sensitivity. Through this, a teaching plan for in-depth learning of folktale works was presented. This study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folktales. Considering this sense of community among East Asians a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Chinese learners, it propose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eaching,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본 연구는 한국 설화 작품과 중국 설화 작품을 비교한 후,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설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중국인 학습자의 배경 지식을 고려하여 한국 문학 작품과의 거리감을 최대한 제거하고 문학 능력과 문화 능력,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행한 것이다. 설화는 고전문학 작품으로서 수많은 세월이 흘러도 계속적인 가치를 지니고 고전으로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지속해서 많은 것을 가르쳐주고 있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설화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좋은 텍스트임을 연구자들이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문화 교육과 언어 기능적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설화는 한국 문학의 보편성 및 특수성을 담고 있어서 설화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문학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래서 설화를 문학 작품으로 감상하고 학습자가 어떠한 삶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는지를 집중하며 문학적 측면에 중점을 두는 설화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설화 교육 배경을 검토하고 고급 한국어 교재의 설화 활용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설화 교육 수업지도안을 모색한다. Ⅰ장에서는 한·중 설화 비교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에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교육 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하는 연구, <나무꾼과 선녀>와 <견우직녀>에 관한 연구 등 3가지 측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비교문학은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에 유용한 교육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나무꾼과 선녀>와 <견우직녀>의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확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중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설화 교육을 위하여 예비적 고찰을 하였다. 우선, 설화 작품의 분류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설화 개념과 갈래 정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뒤에 본 연구의 학습 대상인 중국인 학습자의 설화 교육 배경을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누구나 받는 의무교육에서 어문 교육과정의 설화 학습 양상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검토한 결과는 초등 『어문』 교과서의 출판사마다 설화 작품의 수록 개수가 조금 다르지만 적게는 11개에서부터 많게는 32개의 설화 작품을 수록하고 풍부한 학습활동과 추가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설화에 대하여 낯설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설화 작품은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친근감이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문』 교과서에 수록된 <견우직녀>의 내용을 통해 본 연구에 선정한 비교 대상인 <견우직녀>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는 『말이 트이는 한국어 Ⅲ, Ⅳ』, 『서강 한국어 5B』, 『서울대 한국어 5A』, 『열린 한국어 고급 2』, 『재미있는 한국어 5』, 『한양 한국어 5』, 『함께 배워요. 한국어 6A』, 이렇게 총 7종의 한국어 고급 교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재의 설화 수록 현황 및 고급 교재에서 설화 작품을 어떻게 교육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기준은 작품 수록 방식, 작품 수록 유형, 주제, 및 기능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설화 16개, 작품 25편 텍스트를 분석했다. 고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한 설화 교육의 의의는 언어 표현 능력을 높일 수 있고, 한국 문화와의 거리감을 해소하며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자아 성찰을 이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한국 <견우와 직녀>라는 내용을 통해 한국의 <견우직녀>가 중국의 <견우직녀>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나무꾼과 선녀>를 <견우직녀>와 비교하는 타당성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활동 부분에서 설화 작품의 탐구를 전반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 제시하려는 설화 교육 방안의 기반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설화 교육에서 비교문학이 인간의 보편적 정서, 중국 및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시키며 한국어 학습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Ⅲ장은 한·중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설화 교육을 위하여 비교 대상과 구체적인 설화 작품의 선정과 비교 내용을 검토하였다. 우선,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 적절한 설화 작품을 선정하기 위하여 선정 기준 5항인 교육적 가치가 분명하고 문학성을 가진 작품, 한국인의 문화 의식에 영향을 주는 작품, 삶의 모습을 다양하게 나타내는 작품, 논쟁거리가 많은 작품, 중국 작품과 유사성이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 선정 기준에 따라 <나무꾼과 선녀>, <바리데기>, <온달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혹부리 영감>, <흥부와 놀부>라는 6가지 설화를 선정하였다. 그중의 <나무꾼과 선녀>를 본 연구의 실제 교육 방안의 텍스트로 확정하였다. 한·중의 문학사에서 대표적인 작품으로 민족 문화가 잘 반영되고, 동일한 주제를 가진 작품이어야 한다는 선정 기준을 토대로 중국 설화 작품 <견우직녀>를 한국 설화 작품 <나무꾼과 선녀>의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비교 내용은 인물, 관념문화, 그리고 갈래 3가지 항목으로 확정하였다. Ⅳ장의 A절에서는 Ⅲ장에 선정된 <나무꾼과 선녀>와 <견우직녀>를 중심으로 Ⅱ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와 적합한 한국 설화 작품의 활용하는 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고전문학 작품은 고유한 민족 문화를 이해하고, 문학 감상 능력을 함양하고, 언어 능력을 향상하고, 현재의 생활과도 관련이 있는 것임을 탐구할 수 있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견우직녀>와의 비교를 통한 <나무꾼과 선녀>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교육 내용을 제시할 때 Ⅲ장에 마련된 비교 내용 인물, 관념문화, 갈래로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인물의 비교하는 부분은 남주인공, 여주인공, 조력자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관념문화를 다룰 때 혼인 관념, 권선징악, ‘효’ 문화, 금기 위반, 행복에 대한 추구 등 5가지 측면에 대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두 작품의 갈래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통해 <나무꾼과 선녀>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며 <견우직녀>와의 주된 공통점과 차이점, 작품의 핵심 사상을 파악하게 된다. 더불어 한국의 결혼 문화와 가족 문화를 이해하고 문학 작품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인식하며 <나무꾼과 선녀>의 현대적 수용 방향을 탐구할 수 있다. 끝으로 B절은 교육 내용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설화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수업 방안을 제시할 때 준비·동기 단계, 실제 수업 활동, 비교·분석 활동, 마무리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비교·분석 활동 단계에서 토의·토론 활동의 설정을 고려하여 토의·토론 전략과 같이 제시하였다. 그리고 토의·토론의 주제를 마련할 때 작품에 대한 소감을 밝힐 수 있으며 다양한 문학 감상 각도와 풍부한 감수성을 가질 수 있게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설화 작품에 대한 심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적용을 강조하였다. 동아시아인의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중국인 학습자의 배경 지식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수업을 참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기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